'5분 국무회의·홍장원 메모' 쟁점…헌재, 어떻게 판단할까 비상계엄 선포 절차와 그 목적이 적법했는지 또한 탄핵심판의 핵심 쟁점 가운데 하나입니다. 특히 국회 측은 계엄 직전 5분 동안 열렸던 국무회의가 제대로 된 회의가 아니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헌재의 판단은 어떨지 계속해서 이현영 기자입니다. SBS 2025.04.03 20:28
재판관들 최다 질문은 '국회 무력화'…파면 여부 가를 듯 여러 차례 전해드린 대로 이번 사건에서 윤 대통령의 파면 여부를 가를 핵심 쟁점은 모두 5가지입니다. 이 가운데 재판관들이 가장 많이 물어보고, 또 따져봤던 게 바로 국회 활동을 방해했는지 여부였습니다.그 이유를 백운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SBS 2025.04.03 20:25
헌재 앵커 클로징 선고 이후의 상황을 걱정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큰 혼란이 없으려면 정치권은 물론이고, 윤석열 대통령의 메시지가 중요할 겁니다. 결론을 승복하는 … SBS 2025.04.03 20:25
"윤석열 대통령 승복" "이재명 대표 승복"…여야, 남 탓만 선고를 하루 앞둔 오늘도 여야는 이 단어를 가지고 공방을 벌였습니다. 바로 '승복'입니다. 국민의힘이 민주당 이재명 대표에게 승복 선언을 요구하자, 민주당은 왜 가해자는 놔두고 피해자에게 그러냐고 맞받았습니다.보도에 손기준 기자입니다. SBS 2025.04.03 20:21
국회 주말까지 '경비 강화 조치'…여야 막판 여론전 총력 이곳의 긴장감도 헌재 못지않게 높아져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을 탄핵소추하고 그 최종 결과를 눈앞에 두고 있는 국회로 가보겠습니다.정다은 기자, 국회에도 오늘부터 외부인이 들어갈 수가 없는 상태인 거죠? 20시간 전인 오늘 새벽 0시부터 이곳 국회 청사 내부와 외곽 경비가 강화됐습니다.경비 강화 조치는 이번 주말까지 이어지는데, 국회 안팎의 긴장감은 시간이 갈수록 고조되고 있습니다.국회에 출입하려면 반드시 출입증을 소지해야 하다 보니, 출입증이 없는 외부인이 국회에 들어오려다 발길을 돌리는 모습이 곳곳에서 목격됐습니다.차량 통행을 위한 출입문도 7개 가운데, 4개만 개방한 상태입니다.여야 지도부는 내일 탄핵심판 선고 전에 각각 지도부 회의를 소집했는데요.TV 생중계를 통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함께 모여 지켜볼 것으로 보입니다.선고 이후에는 의원총회 등을 열어 대응책을 논의한다는 방침입니다. SBS 2025.04.03 20:12
8년 전 박근혜 선고 때 불상사 막아야…"불법 행위 엄단" 8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이 결정된 날. 집회 현장 분위기가 격해지면서 불상사가 있었습니다. 결국 4명의 사망자가 나왔었죠. 이런 일은 정말 없어야겠습니다. SBS 2025.04.03 20:07
헌재 앞 집결…"파면" "기각" 탄핵 찬반집회 막판 총력전 헌재를 향한 정반대의 외침도 여느 때보다 높아져 있습니다. 제가 있는 곳에서도 집회 현장의 소리가 들릴 정도입니다. 바로 가보겠습니다.김진우 기자, 헌재 앞에서는 주로 탄핵 반대 집회가 열려왔었는데 오늘은 탄핵 찬성 집회까지 열리고 있다고요. SBS 2025.04.03 20:05
"헌재 주변 진공상태 실감"…학교·상점·회사 모두 닫는다 그럼 지금부터는 서울 종로에 있는 헌법재판소에서 선고를 하루 앞둔 그곳 분위기와 주변 움직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장을 연결해 보겠습니다.정유미 앵커, 전해주시죠.<정유미 앵커>대한민국의 시선이 쏠려 있는 곳, 헌법재판소에서 나와 있습니다. SBS 2025.04.03 19:55
당일 오전도 평의…운명의 탄핵 선고 "윤 대통령 불출석" 트럼프가 던진 관세 폭탄에 전 세계가 혼돈에 휩싸였던 하루였습니다. 물론 이것도 심각한 문제입니다만, 우리 사회는 지금 대한민국 역사에 남을 중요한 선고를 앞두고 있습니다. SBS 2025.04.03 19:54
서울 서초구 아파트서 화재…다친 사람 없어 오늘 저녁 6시쯤 서울 서초구의 한 아파트에서 불이 나 주민들이 대피했습니다.주방에서 불이 났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 당국은 차량 25대와… SBS 2025.04.03 1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