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하룻밤 사이 산불 사망자가 발생한 청송, 영양, 그리고 영덕 / 스브스뉴스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안동을 거쳐 청송, 영양, 영덕까지 빠르게 번지고 있습니다.1분 1초가 급한 상황이지만 정작 주민들은 밤 사이 어디… SBS 2025.03.26 21:06
도심 진입 트랙터 견인…탄핵 찬반집회 가열 대통령 탄핵을 촉구하는 농민 단체가 끌고 온 트랙터 한 대가 서울 광화문으로 진입하려다 오늘 오전 내내 경찰과 대치했습니다. 경찰이 강제 견인에 나섰는데, 시위대가 이걸 막아서면서 충돌이 빚어지기도 했습니다.김진우 기자입니다. SBS 2025.03.26 21:01
일본 나흘째 산불 비상…주민 1만 명 대피령 우리처럼 일본도 산불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강한 바람에 나흘째 불길이 잡히질 않고 있는데, 1만여 명에 달하는 주민들에게 대피 명령이 내려졌습니다.도쿄 박상진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SBS 2025.03.26 21:00
1월 출생아 증가율 역대 최고…상승 이어지나 지난해 출산율이 9년 만에 반등했다는 소식 얼마 전 전해드렸죠. 이런 분위기가 올해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첫 달 출생아 수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0% 넘게 늘었는데, 역대 최대 증가율입니다.유덕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SBS 2025.03.26 21:00
"용암 흐르는 듯 보여"…제보로 본 산불 피해 상황 이번에는 시청자들이 보내주신 제보 영상으로 산불 피해 상황 살펴보겠습니다. 재난 상황을 빠르게 알리고, 더 큰 피해를 막기 위해 보내주신 소중한 영상들인데요.박재현 기자 나와 있습니다.Q. SBS 2025.03.26 20:54
"4일간 잠도 못 자"…과수원·농가 초토화에 생계 '막막' 불이 나자 다급히 몸만 빠져나온 주민들은 앞으로가 막막한 상황입니다.평생을 일궈온 과수원과 농가가 모두 검게 타버려 당장 어떻게 살아야 할지 걱… SBS 2025.03.26 20:52
'만세루' 잿더미로…국가유산 재난위기 '심각' 천 년 고찰 고운사도, 경북의 유형문화유산 만세루도 시뻘건 불길에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우리 문화유산이 잇따라 피해를 입자 사상 처음 국가 유산 재난 위기 경보 '심각'단계가 발령되기도 했습니다.이어서 이주상 기자입니다. SBS 2025.03.26 20:49
천년고찰 '고운사' 전소…축사는 그대로 무덤으로 '참혹' 야속한 산불은 주민들이 평범한 삶을 살아왔던 터전을 한순간에 무너뜨렸습니다.속절없이 타버린 피해 현장에 TBC 남효주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경북이 보유한 국가지정문화유산 가운루가 새까만 잿더미가 됐습니다.고운사의 또 다른 보물 연수전도 형태조차 알아보기 어려울 만큼 무너져 내리고 널브러진 기왓장과 탄내만이 가득합니다.다행히 대웅전은 불에 타지 않아 경내에 있던 고운사의 마지막 보물, 석조여래좌상은 화마를 피했습니다.폭탄을 맞은 듯 폭삭 주저앉은 주택 위로 흰 연기가 피어오릅니다.새로 산 가재도구도 모두 잿더미로 변했습니다.소 50마리를 먹이던 축사는 그대로 무덤이 돼 버렸습니다.[김대현/안동시 길안면 명덕리 : 어제저녁에 술 먹고 울기도 했고. SBS 2025.03.26 20:48
'의성 산불'에 22명 희생…대부분 거동 불편한 고령자 피해 다시 산불 소식 전해 드리겠습니다.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강한 바람을 타고 곳곳에 역대 최악의 상처를 남기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북에서만 22명이 목숨을 잃었는데 대부분 60대 이상으로 스스로 움직이기 불편한 분들이 많았습니다.TBC 박가영 기자입니다. SBS 2025.03.26 20:44
이재명 '사법 리스크' 덜었다…향후 정치권 움직임은 이 내용은 정치부 강청완 기자와 정리해 보겠습니다.Q. 이재명 '사법리스크' 해소? 대법원판결은?[강청완 기자 : 지난해 11월 1심에서 피선거권 박탈형, 그러니까 앞으로 대선에 출마할 수 없는 형을 선고받았던 만큼 이 대표 입장에서는 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이 가장 큰 사법리스크였습니다. SBS 2025.03.26 2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