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경제] 소비쿠폰 신청 열기 이어져…판매·현금화 '제재' 대상 친절한 경제 오늘도 경제부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한 기자 오늘은 소비쿠폰 얘기 한번 해보죠. 어제 지급됐다고 저도 문자가 와서 이걸로 점심을 사 먹었는데 이걸 자기가 직접 안 쓰고 중고 거래에 올리는 사람들이 있다면서요? 중고거래 플랫폼에 올라온 글인데요. SBS 2025.07.23 09:08
어제부터 사라진 '단통법'…지원금 경쟁 불붙나 과도한 보조금 경쟁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됐던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법, 단통법이 어제부로 폐지됐습니다. 휴대전화를 더 싸게 살 수 있게 됐지만, 위약금이나 요금제 유지 기간 같은 계약 조건은 더 꼼꼼하게 따져보셔야겠습니다.김관진 기자입니다. SBS 2025.07.23 06:48
집값 상승 기대 3년 만에 최대폭↓…"대출 규제 영향" 6·27 부동산 대출 규제 이후 집값 상승 기대가 전보다 크게 약해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한국은행이 오늘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SBS 2025.07.23 06:35
"소비쿠폰 쓸 수 있나요?"…손님 발길에 설레는 골목상권 어제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시작되면서 자영업자와 상인들 사이에서 기대감이 번지고 있습니다.매장 등을 찾은 손님들은 쿠폰 사용 가능 여부를 묻… SBS 2025.07.23 05:24
'단통법' 폐지…지원금 경쟁 불붙나 과도한 보조금 경쟁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됐던 이른바 단통법이 폐지됐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휴대전화를 더 싸게 살 수 있는 여건이 됐는데, 위약금이나 요금제 조건 같이 주의할 점도 적지 않습니다.김관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SBS 2025.07.23 0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