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경제] 농심 이어 오뚜기도 라면값 인상…팔도 "검토 중" 금요일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도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한 기자, 먹거리 물가가 여전히 불안정합니다. 요즘은 이것저것 안 오르는 게 없다고 느껴질 정도인데, 특히 서민 먹거리라고 할 수 있는 라면값마저 오른다고요? 오뚜기가 다음 달 1일부터 라면류 가격을 올립니다.27개의 라면 중에 16개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7.5% 올립니다.대표적인 게 진라면이죠.대형마트 기준으로 봉지라면은 716원에서 790원으로, 또 진라면 컵라면은 1천100원에서 1천200원으로 올립니다.오뚜기의 라면값 인상은 2022년 10월 이후 2년 5개월 만인데요.최근 환율이 높아져서 1천450원대 안팎에서 내려오지 않고 있죠.수입 원료 가격이 급등했고요.농산물 가격도 오름세가 계속되고 있는 데다가 물류비와 인건비도 높아진 상황입니다.이런 원가 부담이 누적돼 불가피하게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는 게 오뚜기 측의 설명입니다.라면 가격 올린 게 올해 들어 오뚜기가 처음은 아니죠.지난 17일, 농심이 먼저 가격을 올렸습니다.신라면 가격을 2023년 6월 수준인 1천 원으로 다시 올렸고요.라면과 과자 17개 제품의 가격을 인상한 바 있습니다.원래 이렇게 대표적인 업체들이 올리면 다른 업체들이 눈치를 보다가 우르르 따라 올리는 경향이 있는데요.팔도는 가격 인상을 내부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요, 삼양식품과 하림은 현재는 가격 인상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는 밝히고 있습니다. SBS 2025.03.21 09:46
[친절한 경제] 소상공인 폐업 결심한 시점 부채액, 이 정도였다 목요일 친절한 경제입니다. 오늘도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중산층들이 어려워서 지갑을 닫는다' 이런 얘기를 저희가 최근에 했었는데, 오늘은 '소상공인들이 폐업을 한다' 이런 주제 갖고 나오셨네요. SBS 2025.03.20 09:39
[친절한 경제] '고속버스 노쇼' 방지…취소 수수료 이렇게 바뀐다 수요일 친절한 경제, 오늘도 한지연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예약해 놓고도 나타나지 않는 '노쇼', 보통 우리가 노쇼 하면 음식점 … SBS 2025.03.19 09:45
[친절한 경제] 저소득층도 늘었는데…코로나 이후 중산층만 소비 줄었다 화요일 친절한 경제, 오늘도 한지연 기자와 함께합니다. 어서 오세요. 코로나 전후로 우리의 소비 지출이 어떻게 되나 살펴봤더니 중산층만 회복을 … SBS 2025.03.18 09:45
[친절한 경제] 중고생들 용돈 어디에?…탕후루 열풍도 끝, 새로 뜬 최애 월요일 친절한 경제 오늘도 한지연 기자와 함께합니다. 안녕하세요. 한 기자 오늘은 최근 5년간 중고등학생이 용돈을 어디에 얼마큼 쓰는지 분석한 … SBS 2025.03.17 09:11
[친절한 경제] '엔테크' 관심…원엔 환율 상승 이유는 금요일 친절한 경제입니다. 오늘도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최근에 엔화 강세가 이어지면서 원, 엔 환율이 2년여 만에 100엔당 1천 원 선을 눈앞에 두고 있네요. SBS 2025.03.14 09:32
[친절한 경제] "똘똘한 한 채" 일제히 신고가…가계대출 반등 목요일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한지연 기자와 함께합니다. 어서 오세요. 한 기자 10개월 만에 줄었던 가계대출이 지난달 또다시 늘어났다고요? 지난달 말 기준으로 해서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1천672조 원으로 한 달 전보다 4조 300억 원 늘었습니다.한국은행 기준금리가 1년 9개월 동안 3.5%를 유지하다가 작년 10월과 11월, 올해 2월, 베이비 스텝으로 세 차례 낮춰서 2.75%가 됐죠.이후 친절한 경제에서 그 높던 은행 대출금리가 낮아지기 시작한다고 알려 드린 지도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이런 금리 인하 영향으로, 또 주택 거래가 회복이 되면서, 지난 1월 가계대출이 10개월 만에 9천억 원 줄었던 게 한 달 만에 도로 늘었습니다.업권별로 나눠보면, 은행이 3조 3천억 원 늘었고 2금융권도 1조 원 불었습니다.2금융권 중에서는 특히 상호 금융권이 8천억 원 늘면서 전반적인 증가세를 이끌었습니다.신용 대출 등 기타 대출은 6천억 원 줄었지만, 1월에 4조 1천억 원 준 것과 비교해 감소폭이 많이 축소됐습니다. SBS 2025.03.13 09:38
[친절한 경제] OTT 공세에 CGV 결국…코로나 이후 4년 만 수요일 친절한 경제입니다. 오늘도 한지연 기자와 함께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제가 먼저 질문 하나 드릴게요. 앵커께서는 최근 언제 극장 가서 영화를 좀 보셨나요? 작년 추석 때 봤던 베테랑 2였던 것 같습니다. SBS 2025.03.12 09:04
[친절한 경제] 미 '관세'에 국내 자동차 생산 미래는?…세계 7위로 떨어져 화요일 친절한 경제 한지연 기자와 함께합니다. 어서 오세요. 방금 박원경 기자 보도에서 우리 반도체가 위기다 이렇게 알아봤었는데 우리 자동차도 … SBS 2025.03.11 09:05
[친절한 경제] '홈플러스 사태' 납품업체들 '불안'…파장 커지나 월요일 친절한 경제입니다. 오늘도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오늘 주제는 홈플러스 사태네요. 지난 4일에 기업 회생 절차가 들어가고 나서 첫 번째 주말이 지났는데 저희가 일부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SBS 2025.03.10 0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