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화요일 친절한 경제, 권애리 기자 나와 있습니다. 권 기자, 오늘(3일) 벌써 연말정산 얘기를 갖고 오셨네요, 서류 준비는 내년에 하면 되지만, 미리미리 올해 안에 체크해둬야 할 것들이 있다고요?
<기자>
네. 올해 끝나기 전에 몇 번 더 나눠서 말씀을 드리려고 하는데요, 오늘은 카드, 앞으로 한 달 동안 신용카드랑 체크카드 잘 배분해서 써서 한 푼이라도 더 돌려받는 법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카드 공제는 연말정산에서 우리가 돌려받는 돈 중에서 가장 비중이 크거든요, 짧게 정리하면 나와 별다른 소득이 따로 없는 내 가족들이 내 카드를 내가 버는 돈의 25% 넘게 쓰면 그 25% 초과분부터 소득공제가 발생합니다.
이때 카드라 함은 신용카드뿐만 아니라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한 마디로 내가 소비한 돈을 다 포함하는 겁니다.
먼저 내가 돈을 쓰는 방법이랑, 어디서 썼는지에 따라서 소득공제율이 어떻게 다른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신용카드의 소득공제율 15%입니다. 체크카드랑 현금영수증은 30%죠, 그리고 이거는 연간 급여가 7천만 원 이하인 사람한테만 해당하는데요, 책을 사거나 공연, 박물관, 미술관 같은 곳을 방문한 데 쓴 문화비에 대해서는 30%의 공제가 또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전통시장과 대중교통 이용하는 데 쓴 돈 증빙이 되면 40%의 공제를 받을 수 있죠.
<앵커>
공제율 차이가 사실 2배나 나다 보니까 연말정산에는 현금카드, 체크카드가 훨씬 이득이다. 그 정도는 다들 알고 계신 것 같기도 해요.
<기자>
네. 그런데요. 연말정산에는 그렇지만 전체적으로 나한테 가장 이득이 되게 카드 쓰는 법을 생각하면 현금카드가 무조건 답은 아닙니다.
처음에 말씀드렸죠, 내가 버는 돈의 25% 이상을 써야 그 초과분부터 비로소 소득공제가 발생하는 거라고요.
그런데 신용카드에는 체크카드에는 잘 없는 이런저런 가맹점의 할인 혜택이라든가 마일리지가 쌓인다든가 여러 부가 서비스들이 있잖아요, 총 급여의 25% 소비할 때까지는 체크카드보다 신용카드가 유리한 겁니다.
여기서 지난달 30일부터 열린 연말정산 미리 보기 서비스를 이용하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포털 검색창에 홈택스라고 치시든지, 지금 자막 나가는 주소를 치시면 국세청 홈페이지가 나옵니다. 가입 안 했어도 공인인증서가 깔려 있으면 비회원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습니다.
여기 가보면 작년 기준으로 내 총 급여도 볼 수 있고요.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내가 쓴 돈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10월, 11월 거는 빠져있기는 한데, 내 돈이고 최근 일이니까 저는 이 정도는 어림해서 추가가 되더라고요. 내가 올해 쓴 돈을 봤더니 내 총 급여의 25%보다 한참 밑이다, 그러면 12월에도 신용카드 혜택들 받으면서 계속해서 신용카드 쓰는 게 유리합니다. 어차피 소득공제받을 돈이 없어요.
그런데 25% 곧 차겠는데, 또는 넘기 시작했다, 그러면 12월에는 현금카드를 써서 소득공제를 두 배로 받는 게 웬만한 신용카드 할인 혜택보다 쏠쏠할 겁니다.
<앵커>
반대로 돈을 많이 쓴 경우에도 체크카드가 유리할 수 있다면서요?
<기자>
네. 금융감독원이 정리한 카드 사용 나한테 유리하게 하는 법 전체적으로 보여드리면서 다시 한번 설명드릴게요.
최저 사용금액 총 급여의 25%까지겠죠, 여기까지는 신용카드를 쓰는 게 유리합니다. 내가 올해 쓰는 돈이 내 총 급여의 25%를 넘어갈 때부터 체크카드를 쓰는 겁니다.
그리고 결혼을 했다거나, 큰돈 나갈 일이 많은 해였거나, 가족이 많으면 소득공제 한도 금액까지 꽉 채워서 돈을 썼을 수도 있습니다.
소득공제를 한정 없이 해주는 게 아니에요, 예를 들어서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인 사람은 카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한도가 급여의 20%와 300만 원 중의 더 적은 액수입니다. 총 급여 7천만 원에서 1억 2천 사이 소득은 250만 원, 그 이상은 200만 원입니다.
이걸 넘겼다, 그러면 현금카드를 쓰다가 다시 신용카드로 돌아와야 합니다. 그 이상은 아무리 쓴다고 해도 소득공제를 더 안 해주니까요.
그리고 아까 보여드렸던 용처에 따른 소득공제가 또 있죠, 대중교통과 전통시장에서 쓴 돈, 그리고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인 사람의 문화비 이 세 가지는 각각 100만 원씩 추가로 공제가 됩니다.
지불수단이 뭐였든지 간에 그건 그거대로 공제받고 중복으로 이만큼씩 공제가 더 될 수 있는 겁니다. 그래서 내가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다, 그러면 이론상으로는 최대 600만 원까지도 카드 공제가 가능합니다.
이거 기억하셨으면 좋겠어요, 이번 달에 챙기면 좋을 연말정산 팁들 이달 안에 조금씩 다시 말씀드리겠습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