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경제] "2040년 한국 잠재성장률 0% 안팎"…떨어지는 가장 큰 이유는 금요일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도 한지연 기자와 함께합니다. 안녕하세요? 한 기자,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예상치를 크게 밑돌고 있는… SBS 2025.05.09 09:31
[친절한 경제] 어버이날 카네이션 인기 '뚝'…부모님이 받고 싶은 선물은? 목요일 친절한 경제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어버이날이잖아요. 최근에 부모님 선물 문화가 바뀌고 있다고요? 원래 어버이날 꼭 선물로 드리는 거 앵커께서는 뭐가 떠오르시나요? 아무래도 어버이날이니까 카네이션은 기본이지 않나, 이렇게 생각되는데요. SBS 2025.05.08 09:32
[친절한 경제] '잠자는 154조' 고령 치매 환자 자산 전수조사 해보니… 연휴가 끝나고 친절한 경제도 돌아왔습니다. 한지연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정상 안녕하세요. 우리나라가 초고령 사회에 접어들면서 그럼 걱정되는 게 고령 치매 환자도 늘어나잖아요. SBS 2025.05.07 09:32
[친절한 경제] 돌 반지 하나 70만 원대?…10년 새 '4배' 됐다 금요일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도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 기자, 최근에 금값이 온스당 350달러까지 돌파를 했었잖아요. SBS 2025.05.02 09:11
[친절한 경제] '부업 뛰는 사장님' 늘었다…자영업자 절반 3년도 못 버텨 목요일 친절한 경제, 오늘도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 기자, 얼마 전에 자영업자분들이 빚이 많이 쌓여서 힘들다. 이런 소식을… SBS 2025.05.01 09:05
[친절한 경제] 더 벌어진 정규 · 비정규직 임금 격차…8년 전으로 '뒷걸음질' 수요일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도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한 기자 오늘은 고용노동부 조사 결과를 가지고 나오셨네요. 국내 근로자 임금과 근로시간 등이 담겨 있는데 먼저 임금부터 살펴보시죠. SBS 2025.04.30 09:32
[친절한 경제] "내년에 타이완이 추월"…IMF가 전망한 한국경제 화요일 친절한 경제, 오늘도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IMF가 우리나라 경제에 대한 전망치를 내놨는데 또 안 좋은 소식이네요. SBS 2025.04.29 09:41
[친절한 경제] 다른 이익은 줄었는데…4대 금융, 이자로만 10조 넘게 벌었다 월요일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도 한지연 기자와 함께합니다. 안녕하세요. 지금 경기가 어렵다 보니까 금리는 내려가는 시기인데 4대 금융그룹이 예금과 대출의 금리 차이로 이번 1분기에 이자로만 1조 원을 벌어들였다고요? 10조 원, 네. SBS 2025.04.28 09:12
[친절한 경제] '강남' 아니다…올해 아파트값 상승률 '전국 1위'는 어디? 금요일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도 한지연 기자와 함께합니다. 안녕하세요. 한 기자, 올해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 그러니까 상승세가 가장 높았던 곳이 서울 강남이 아니라고요? 바로 경기도 과천시입니다.올해 누적 상승률 4.42%를 기록하면서 송파구를 이렇게 제치고 올해 아파트값 상승률 전국 1위로 올라섰습니다.4월 셋째 주인 이번 주도 지난주 대비 0.28% 오르면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는데요.지난달 24일 토지허가제 확대 지정 이후 네 번의 주간 집계에서 단 한 번을 제외하곤 모두 상승률 1위를 기록했습니다.토허제 확대 지정 이후 서울 동남권이 주춤한 사이 과천이 이렇게 계속 상승한 게, 올해 누적 상승률 1위라는 결과까지 나온 건데요.규제 이후 강남권 일부 수요가 과천으로 이동하면서 투자수요와 실수요가 과천 집값을 밀어 올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과천이 왜 대체지로 급부상한 거냐, 대출 여건이나 입지, 학군 생활권이 강남과 비슷하면서도 규제는 약하기 때문인데요.일각에서는 과천이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될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습니다.과천은 직전 해에도 2년 연속 전국에서 아파트값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지역인데요.2023년과 2024년, 각각 18%와 17%를 넘어서 2년 연속 연간 상승률 1위를 기록했었는데, 이번에도 1위를 달리게 된 겁니다.과천은 전세가 상승률도 주간 기준 1위를 기록했고요.연간 누적 전셋값 상승률 1위 역시 과천이 차지했습니다.재건축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는 단지들이 생겨나면서 공급부족 현상이 나타났고, 전세 품귀 현상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SBS 2025.04.25 08:54
[친절한 경제] 살 날 긴데 무조건 저축?…고령화로 지갑 닫는다 목요일 친절한 경제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 기자,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당분간 어려울 수 있다는 내용 얼마 전 월요일에 … SBS 2025.04.24 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