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순식간에 새빨간 불길…늘어나는 에어컨 화재, 왜?

<앵커>

이렇게 계속되는 더위에 에어컨 켜는 집들이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름철에 이 에어컨 때문에 불이 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왜 그런 건지, 또 어떤 걸 주의해야 하는지 박재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창문 밖으로 뿜어져 나오는 불길, 서울의 한 고층 아파트 30층에서 발생한 화재입니다.

에어컨 실외기실에서 불이 시작된 걸로 알려진 사례입니다.

[김강문/인근 주민 : 빨간 불이 밖으로 엄청나게 솟구쳤어요. 잔해물이 거기서 떨어지고 막 그랬죠.]

연간 에어컨 화재의 63%는 6월에서 8월 사이에 발생합니다.

낡은 전선이 벗겨져 과열되거나, 실외기 부근의 담배꽁초에서 시작된 불이 많습니다.

에어컨, 실외기 화재 가운데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화재 요인들을 모아 실험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에어컨 화재재현실험
에어컨 화재재현실험

에어컨과 실외기를 연결한 전선이 손상된 채로 전원을 켰더니, 채 5분도 되지 않아 전선과 배관 쪽에서 하얀 연기가 피어 나오고, 전선 온도가 순식간에 오르더니 불이 확 타올랐습니다.

실외기도 화재에 취약합니다.

담배꽁초로 시작된 불은, 실외기 배관에 쉽게 옮겨 붙었습니다.

실내에 둔 실외기라도 관리 상태에 따라 불이 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외부로 통하는 창문이 닫힌 상태로 에어컨을 틀면, 불과 15분 만에 실외기실 온도는 50도를 넘어섭니다.

창고처럼 쓰다 보면 먼지가 잔뜩 쌓여 화재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정신영/서울 양천구 : 재활용을 놓거나 베란다 쪽에 있으니까 아무래도 먼지가 많이 쌓이는 곳에 실외기를 놓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긴 한 것 같아요.]

새로 구입한 에어컨도 안심할 수 없습니다.

오존 파괴 주범인 프레온 가스가 최근 친환경 냉매로 대체됐는데, 친환경 냉매가 '가연성 가스'라 오히려 화재 위험이 커졌습니다.

[김성제/화재보험협회 방재시험연구원 책임 : 환경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인해서 냉매가 자꾸 변해가고 있거든요. 친환경 냉매가 가연성 가스, 인화성 가스이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해서 더 주의를 해야 되는 부분이….]

전문가들은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에어컨, 실외기 내부를 청소하고, 주위에 인화성 물질을 치워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영상취재 : 하 륭, 영상편집 : 김윤성, 디자인 : 임찬혁, VJ : 신소영)

▶ "밤에 자기 힘들어" 올해 최고기온 경신…금요일 더 덥다
▶ 36도 넘은 경북…농가마다 폭염과 사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