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확진 40만 명 넘었다…"'1급 감염병' 코로나 등급 조정"

<앵커>

코로나 추가 확진자가 처음으로 4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정부 집계 과정에서 빠진 환자들이 꽤 있어서 실제 확진자는 그보다 더 많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정부는 빠르게 번지고 있는 오미크론에 대응하기 위해서 현재 1급 감염병인 코로나19의 등급을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그럼 뭐가 달라지는 건지, 김덕현 기자가 설명하겠습니다.

<기자>

어젯(15일)밤 9시 기준 17개 시도가 자체 확인한 신규 확진자를 모두 더하면 44만 명 수준이었습니다.

하지만 오늘 0시 기준 정부의 공식 통계는 40만 741명, 오히려 4만 명 정도 줄었습니다.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실시한 병·의원들의 확진자 정보가 제대로 취합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손영래/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 : (신속항원검사로) 상당히 많은 신고 건들이 들어왔기 때문에 후속적으로 미처 통계에 잡지 못한 끊어지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오늘 현행화가 될 예정입니다.]

누락된 확진자들은 내일 발표될 신규 확진자 통계에 포함될 예정입니다.

정부는 조만간 유행 정점에 다다르겠지만, 확진자 감소는 더딜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부겸/국무총리 : 유행의 정점이 지난다고 하더라도 코로나가 곧바로 소멸하는 것은 아닙니다. 어쩌면 정점 이후에도 한동안 우리와 공존할 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

오미크론 치명률이 계절 독감 수준으로 낮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방역정책 완화를 검토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1급인 코로나19의 감염병 등급을 낮추겠다는 겁니다.

최고 등급인 1급 감염병은 감염 즉시 방역 당국에 신고해야 하고, 확진자는 음압병실 등에 격리해야 합니다.

하지만 등급이 2급 이하로 낮아지면 발생 신고는 24시간 이내로 느슨해지거나 사라지고, 3~4급에서는 격리 의무가 없습니다.

지금의 일일 확진자 통계 발표가 사라질 수 있습니다.

정부가 전액 부담하고 있는 치료비와 생활지원금도 없어지진 않지만, 정부 예산에 따라 줄어들 거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김민철, 영상편집 : 최은진)

▶ 8명 또는 8명·12시 고심…정점 후 거리두기 사실상 해제
▶ 개학 이후 학생 60만 명 확진…4월에도 등교 전 자가검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