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종식 대신 재유행 강조…코로나19 더 독해질까

코로나19 백신, 이르면 내년 초 개발 가능

<앵커>

우리나라뿐 아니라 유럽은 물론 미국도 이제 코로나19가 정점을 지난 것으로 분석됩니다. 하지만 각 나라 보건 당국은 종식이라는 말을 쓰는 대신에 올해 가을이나 겨울쯤 다시 유행할 수 있다며 거기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먼저 조동찬 의학전문기자 리포트 보시고 나서 이 내용 조금 더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기자>

코로나19는 1918년부터 1920년까지 대유행했던 스페인 독감과 닮았습니다.

다른 감염병보다 감염력과 치명률이 높고 백신과 치료약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등장했기 때문입니다.

스페인 독감은 세 번의 대유행이 있었는데 1918년 여름과 가을 그리고 이듬해 겨울이었습니다.

1차와 2차 대유행 후 일시적인 소강상태는 감염자를 분리 시키는 봉쇄 정책의 영향으로 분석했고 3차 대유행 후 종식은 집단 면역의 결과물로 파악했습니다.

스페인 독감의 베일은 대유행 90년 후인 2008년에 본격적으로 벗겨집니다.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의 1차, 2차, 3차 대유행 희생자를 각각 살펴보니 2차 때 가장 많았습니다.

종합해보니 1차 대유행 치명률은 0.3%에 불과했지만 2차 대유행 때는 2.3% 무려 7.6배나 상승했습니다.
스페인 독감 관련
사람 유행이 소강상태일 때 바이러스는 생존 위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더 독하게 변할 수 있다는 가설이 힘을 받고 있는 이유입니다.

2차 유행 때는 아주 어리거나 나이 든 사람은 물론 20~30대 가장 강한 연령층에서도 희생자가 늘어나는 W 형태를 보였는데, 강한 사람이 1차 때 걸리지 않아서 면역력이 없는 상태에서 더 독한 바이러스를 맞이했다는 설명과 젊은 사람에게서 면역력이 지나치게 발현되는 이른바 사이토카인 폭풍 때문이라는 설명이 공존합니다.

코로나19도 그대로 방치하면 100년 전 스페인 독감의 길을 밟을 수 있습니다.

치료 약과 백신이 나올 때까지 겸허하게 코로나19를 멀리하는 생활 방식을 유지해야 2차 유행의 피해도 작을 수 있습니다.

(영상편집 : 박지인, VJ : 신소영)

---

<앵커>

Q. 에볼라 치료제, 효과 있나?

[조동찬/의학전문기자(전문의) : 우리나라에서는 에이즈 치료제와 말라리아약으로 치료했는데 현재까지는 별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제 주목받는 게 에볼라 치료제인 렘데시비르인데요. 이게 부분적인 연구에 따라 효과가 있다고도 나오다가 없다고도 나오는데, 종합적인 결과는 다음 달쯤에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고용량을 썼더니 수컷 쥐에서 고환을 손상했다는 실험 결과도 있는데, 이것도 용량 조절로 해결이 가능할 수 있어서 아직 렘데시비르를 포기할 단계는 아니라고 보입니다. 그 외 1천700여 개 약물이 현재 검토되고 있는데 치료약 등장은 예상보다 좀 더 빠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Q. 백신은 언제쯤?

[조동찬/의학전문기자(전문의) : 백신은 조금 어려울 것 같습니다. 지금 국제백신연구소가 되게 주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백신들을 대상으로 최상의 시나리오를 돌려봐도 내년 초쯤으로 보이고요, 그런데 치료약은 그것보다는 조금 빠를 것 같고 이르면 올해 내에서도 나올 수 있을 같습니다.]

Q. 재양성, 어떻게 봐야?

[조동찬/의학전문기자(전문의) : 국내외 연구를 종합해 보면 항체가 충분하면 설령 재양성 판정을 받더라도 별로 문제 될 게 없어 보입니다. 중국이 코로나19 완치자 17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항체는 코로나19가 인간 세포벽에 붙는 걸 방해하는 게 확인됐습니다. 다만 완치자 중에서 30%는 항체의 양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이하게도 나이가 많아서 심하게 앓았던 사람이 항체의 양이 많고 젊어서 가볍게 앓으면 항체의 양이 적었습니다. 가볍게 앓고 지나간 젊은 완치자들 방심하면 안 되겠죠. 오늘(28일) 보건당국이 전 국민 항체 검사 이야기도 꺼냈는데, 앞으로 항체는 코로나19 탈출구 찾기의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편집 : 오노영)  

▶ [현장] "마스크는 쓰지만 거리 두기는 쉽지 않네요"
▶ 코로나와 맞선 100일, 의료진은 여전히 "긴장하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