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늘(24일) 회의에서는 자금난을 겪고 있는 자영업자와 기업들 그리고 금융시장을 살리기 위한 추가 대책도 나왔습니다. 정부는 지난주 발표했던 것까지 포함해서 모두 100조 원을 긴급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어디에 쓰이는지는 제희원 기자가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기자> 
  
 
  
 이번 대책의 초점은 폭과 강도를 가늠하기 어려운 이번 위기 국면에서 기업도산은 막아야 일자리를 지킬 수 있다는 데 있습니다. 
  
 
  
 우선 자영업자와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과 보증 지원을 29조 1천억 원 늘렸습니다. 
  
 
  
 1차 비상경제회의 때 발표된 지원금액을 합치면 52조 원 정도로 늘어납니다. 
  
 
  
 이번 경영안정자금 지원 대상에는 중견기업과 대기업도 포함됐습니다. 
  
 
  
 [은성수/금융위원장 : 자구노력이 피를 말리는 자구노력이냐? 이런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국민들이 납득할 만한, 그다음에 본인들이 시장에서 노력할 정도로…]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으로 주력산업까지 쓰러지는 건 막겠다는 뜻입니다. 
  
 
  
 신용위험 기피로 돈이 돌지 않는 자금시장에는 모두 48조 원이 투입됩니다. 
  
 
  
 먼저 20조 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를 조성해 회사채는 물론, 기업어음과 금융채도 사들이기로 했습니다. 
  
 
  
 10조 원을 우선 가동한 뒤 나머지 10조 원을 추가 조성하기로 했습니다. 
  
 
  
 회사채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중견기업과 대기업을 위해 기업이 20%를 갚으면 나머지 80%를 산업은행이 인수해 주는 회사채 신속인수제도 시행됩니다. 
  
 
  
 경색 조짐을 보인 기업어음 등 단기자금 시장에도 7조 원이 투입됩니다. 
  
 
  
 증시 불안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10조 7천억 규모의 증권시장 안정펀드를 조성해 다음달부터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증시 수요기반을 넓히기 위해 ISA, 즉 개인종합 자산관리계좌에서 주식 투자도 허용할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 정성화, 영상편집 : 김호진)  
  
 
  
 
  ▶ 文 "생계지원 방안 신속 결론"…4대 보험료·공과금 면제  
  
 
  ▶ '전 국민 vs 필요한 계층'…재난기본소득 시행 가능성은?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