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년 동안 21대 국회는 어떤 이념을 보였을까? SBS 데이터저널리즘팀 <마부작침>은 우선 21대 국회의원들이 본회의 가결 법안에 던진 찬반표를 전수 분석해 이념 성향을 분석했다. 21대 본회의 통과 법안에 던져진 찬반표 수는 181만 2115개다. 비교를 위해 19, 20대 국회 8년 동안 본회의 가결 법안 찬반표 데이터도 모두 살펴봤다. 사용한 통계 분석 방법론은 <w-nominate>다.
W-NOMINATE란?
본회의 표결 데이터를 분석해 표결의 행태를 상대적 개념의 진보와 보수로 구분하는 통계적 방식이다. 이 방식은 개별 법안에 던진 찬성·반대·기권표를 분석, 진보(-1)와 보수(+1) 구간 사이에 의원들의 이념 점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진보와 보수는 상대적이다. 따라서 분석 결과 -1점의 기준인 더불어민주당이 정치사상적 의미의 "진보"를 의미한다거나, +1점의 기준인 국민의힘이 역시 정치사상적으로 완전 "보수"를 의미한다는 건 아니다. 이런 맥락에서 -1과 +1 한 가운데의 0점 역시 중도를 의미하진 않는다. 정의당의 경우 19,20대에는 더불어민주당 보다 더 -1에 가까웠지만 이번 21대에서는 0에 가까워졌다.
이를 통해 정당, 의원, 선수, 지역구별 의원들의 이념 분석이 가능하며 국회를 분석하는 다양한 지표 중에서 의원들이 남긴 데이터로 이념을 검증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미국에서도 워싱턴포스트, 퓨리서치센터(Pew Research Center)와 같이 권위있는 기관에서 분석을 하고 있으며 시사주간 ‘내셔널 저널’은 매년 미 연방 상 하원 의원들의 투표 성향을 이 같은 방식을 통해 분석해 공개하고 있다.
데이터 출처 : 의안정보시스템 본희의 표결정보
더 왼쪽으로, 더 오른쪽으로
이념 양극화의 경향성을 판단할 때는 두가지 요소를 본다. 동일 정당 의원들끼리 얼마나 뭉치는가인 '이념 응집도(intensity)', 그리고 다른 정당과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인 '정당 사이 이념 거리(distance)'다. 응집도가 높으면서 거리가 멀면 국회는 양극화 됐다고 볼 수 있다. 21대 국회에서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간의 이념 거리는 19대 국회 이후 가장 멀었고, 정당내 의원들의 이념은 탄탄하게 묶여있었다.
여당은 똘똘 뭉친다
이런 경향성은 19대 국회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당시 집권당인 새누리당의 응집도는 0.012,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 0.082로 약 7배 정도 새누리당 의원들이 잘 뭉쳤다고 보인다. 다만 20대 국회는 더불어민주당 0.022, 자유한국당 0.067로 차이는 덜했다.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박종희 교수는 이런 분석 결과에 대해서 "법안을 통과시켜야 하는 입장인 '여당'의 전형적인 투표 행태"라고 설명했다.
응집도가 집중되는 구간의 위치도 중요하다. 거대 양당 의원들이 뭉치는 이념 구간이 약한 진보, 약한 보수 사이면 이념 양극화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전체 이념 구간(-1 ~ +1)에서 4분위간 범위(InterQuartile Range)로 나눠보면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상위 25%가 몰려있는 구간은 -0.769에서 형성되지만 국민의힘 의원 상위 25%는 +0.267이라는 상대적으로 낮은 이념 구간에서 느슨하게 몰렸다.
더 멀어진 진보여당·보수야당
격돌했던 법사위, 환노위… 실제로 이념 간극은 컸다
두 상임위원회는 공수처법, 중대재해처벌법 등 쟁점 법안을 두고 치열하게 대립한 바 있다. 눈에 띄는 건 더불어민주당의 이념 수치가 둘 다 만점(-1)에 가까웠다는 점이다. 법률과 환경 및 노동 분야 법안에서는 양보 없이 높은 이념성을 보이며 표결에 참여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코로나 이슈와 같이 민생 법안을 다루는 행정안전위원회(1.038)와 보건복지위원회(0.678)등 상임위원회 이념 거리는 상대적으로 덜한 것으로 분석됐다.
취재: 유덕기, 배여운, 안혜민 디자인: 안준석 인턴: 이수민, 김혜민
▶ [국회 점검] ② 21대 국회 법안을 가장 많이 발의한 의원은?
▶ [국회 점검] ③ 여야(與野), 공동발의에서도 더 멀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