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무슨 뜻이야?' 우리나라 공문서 외국어 남용

<앵커>

지금 보시는 이 단어들이 어디에 사용되는 낱말들일까요? 우리 정부가 국민에게 알리는 정책홍보 보도자료에 실린 용어입니다. 뭐라는 것인지 알아듣기도 어려울뿐더러 공문서는 한글로 써야 한다는 규정도 무시한 자료입니다. 정부 문서에 불필요한 외국어가 넘쳐나고 있습니다.

심영구 기자입니다.



<기자>

하루에도 수십 건씩 쏟아지는 정부의 정책 브리핑.

[미스 매치를 일·학습 DUAL 시스템을 도입하여….]

[C-KOREA 프로젝트 추진하고, BT, NT, ET 및 우주 원자력….]

[RCEP 협상을….]

시민에게 물었습니다.

[전지훈/대학생 : (대충 무슨 의미인지 아시겠죠?) 잘 모르겠는데요. 뭐하러 꼭 이렇게 어려운 말을 쓰는지 잘 모르겠네요.]

국립국어원은 최근 외국어 남용이 심한 정부 보도자료를 선정해 해당 부처에 개선요청 공문을 보냈습니다.

뜻이 분명치 않거나 한글표기 없이 외국어만 사용한 용어 300여 개를 지적하고, 대체할 수 있는 말도 제시했습니다.

하지만, 62건의 공문 중 회신 온 건 0건, 개선된 것도 전혀 없습니다.

[조원형/국립국어원 연구사 : 회신도 없고, 고쳐지는 것도 없고, 일선 정부 부처에서는 거의 이걸 받아들이지 않고 있는 그런 실정이죠.]

"공문서는 어문규범에 맞춰 한글로 써야 한다"는 국어기본법 자체가 무색합니다.

앞서 지난해에도 정부 보도자료 1건 당 평균 4.5회나 국어기본법을 어기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건범/한글문화연대 대표 : 국민이 알아들을 수 있는 말을 사용해야 되거든요.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켜주기 위해서 봉사해야 된다고 생각을 해요.]

정책 홍보는 말 그대로 정책을 알려 국민의 동의와 이해를 구하는 절차입니다.

대체할 우리말이 있는데도 알쏭달쏭한 외국어 남용으로 정책 홍보 효과가 반감된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영상취재 : 주용진·홍종수, 영상편집 : 김호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