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동학농민혁명은 전북의 자랑스러운 역사 유산인데요. 동학농민혁명 특별법이 제정된지 10년이 다 돼가지만 아직까지 기념일조차 정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차라리 특별법 공포일을 기념일로 하자는 의견까지 나왔지만 여전히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원호 기자입니다.
<기자>
동학농민혁명 특별법은 지난 2004년 3월,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동학난으로 폄하됐던 농민혁명을 정부가 국권 수호 운동으로 공식 인정한 겁니다.
하지만 9년이 지난 지금까지 기념일 조차 정하지 못했습니다.
정읍과 고창 등 관련 자치단체와 동학 단체들이 동학농민혁명이라는 역사적 자산을 놓고 주도권 다툼을 벌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가 기념일 지정이 10년째 표류하면서 유족회는 특별법 공포일인 3월 5일을 기념일로 지정해달라고 정부에 건의했습니다.
지역 갈등 때문에 기념일 조차 정하지 못할 바엔 차라리 지역성이 없는 날이 낫다는 겁니다.
[유태길/동학농민혁명군 유족 : 3월5일, 법 공포일로 함으로써 지역 갈등을 해소하고 전국적인 화합 속에서 기념사업을 하고.]
그동안 황토현 전승일을 주장했던 정읍은 유족회의 의견을 검토할 수 있다며 한 발 물러섰습니다.
[박대길/정읍시 동학농민혁명 선양팀장 : 3월5일 특별법을 기념일로 지정하자는 제안에 대해서 즉각적으로 검토할 의향이 있고요. 특히 정읍이 주장해왔던 부분들에 대해서도 재검토할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고창은 무장 기포일을 기념일로 삼아야 한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오랜 노력 끝에 특별법이 통과됐지만 기념일 조차 정하지 못하면서 동학 농민혁명의 전국화, 세계화는 한낱 구호에 그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