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전 지구촌이 독감에 콜록거리고 있습니다. 미국, 중국은 대유행, 우리와 일본도 유행 수준에 근접했습니다. 문제는 더 독한 외국 독감 H3형이 우리나라에 상륙할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
조동찬 의학전문 기자입니다.
<기자>
세계 각국에 일제히 독감 비상이 걸렸습니다.
미국, 영국, 그리고 중국은 독감유행 기준을 훌쩍 뛰어넘었습니다.
우리나라와 일본도 유행 수준에 근접했습니다.
신종플루가 유행했던 2009년을 제외하면 10여년 만에 독감이 전 세계적으로 창궐하고 있는 겁니다.
다만 해외에서 돌고 있는 독감 바이러스는 H3형으로, 우리나라에서 확산되고 있는 H1형과는 유형이 다릅니다.
[권준욱/질병관리본부 전염병센터장 : H3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얘기가 증상이 좀 더 심하고 합병증이 많은 것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몸이 욱신욱신 쑤신다고 얘기하면 H3형이 그런 경우가 많습니다.]
조만간 H3형 독감이 우리나라에 상륙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그럴 경우 1월 말이나 2월 초 독감이 가장 기승을 부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서 높은 우리나라 독감 예방 접종률이 변수입니다.
우리나라의 독감 백신 접종자 수는 1천 600만 명으로 이 백신은 H3형과 H1형 바이러스 모두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해외에서 유행 중인 H3형 바이러스가 국내에는 크게 유입되지 않을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올 겨울 예방접종률이 유독 낮았던 미국에선 지난 겨울보다 3배 넘는 독감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700만 명분의 백신 주사와 1천 600만 명분의 독감 치료제가 아직 남아 있습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