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세종청사 공기서 '새집증후군' 유발 물질 검출

<앵커>

지난해 9월부터 이전이 시작된 정부 세종청사의 실내공기에서 유해 물질이 다량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승구 기자입니다.



<기자>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지난해 말 정부세종청사 내 사무실의 공기 질을 측정한 결과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주요물질 중 하나인 총휘발성유기화합물 수치가 국내 권고 기준보다 평균 4~6배, 최고 10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은 페인트나 접착제 등 건축 마감재와 가구의 마감 도료 등에서 나와 악취나 오존을 발생시키는 탄화수소화합물로 벤젠 등 일부는 발암물질로 분류되며, 피로감과 두통, 정신착란 등의 신경계 장애를 일으킵니다.

세종시에 입주한 지 한 달이 된 부처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공무원들이 근무하는 일반 사무실의 경우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이 ㎥당 2,050~3,100마이크로그램으로 환경부의 국내 권고치를 4~6배 이상 초과했습니다.

특히 별도의 작은 방으로 구획된 장·차관과 1급 고위 공무원의 사무실에선 기준치의 최고 9~10배에 달하는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이 검출됐습니다.

이 때문에 일부 공무원들은 세종청사 이전 이후 심각한 두통과 호흡질환, 피부질환 등의 고통을 호소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전문가들은 충분한 환기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고 공사를 진행한데다 무리하게 입주를 진행하면서 공무원들을 비롯한 청사 근무자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