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4대강 사업의 준공을 앞두고 '보'의 안전에 관한 문제 제기가 잇따르자 정부가 특별 점검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점검단에는 민간 전문가들도 포함됐는데, 4대강 사업에 비판적인 인사들은 제외돼 논란이 예상됩니다.
보도에 이민주 기자입니다.
<기자>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한 4대강 사업은 현재 90%의 이상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창녕 함안보 하류에 대규모 세굴 현상, 즉 강물의 흐름에 구조물이나 주변 바닥이 깎이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안전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또 지난해 13개 보에서 바닥보호공이 유실되고 대구 달성보에서는 누수 현상이 생기는 등 부실공사 의혹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논란과 의혹이 확산되자 정부가 오늘(20일) 기자회견을 통해 진화에 나섰습니다.
[권도엽/국토해양부 장관 : 최근 창녕함안보 세굴, 보 누수와 같은 문제들이 이슈화되어 국민들께서 우려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만, 보의 안전이나 기능에는 기술적으로나 구조적으로 전혀 문제가 없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정부는 국민적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민관 합동 점검반을 꾸려 오는 27일부터 4대강 사업 전 구간에 걸쳐 특별 점검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보와 수문, 바닥보호공, 하상유지공 같은 주요 시설물을 집중 점검해 미비점을 보완할 방침입니다.
모두 93명으로 구성된 점검단에는 교수를 비롯한 민간 전문가도 44명이 포함됐습니다.
하지만 4대강 사업에 비판적인 시민단체 인사나 전문가들은 포함되지 않아 공정성 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