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취업난 속에 구직자들의 절박한 심정을 악용한 자격증 돈벌이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있으나 마나한 자격증이 너무 많습니다. 
  
 
  
어떻게 하면 피해를 막을 수 있는지 하대석 기자가 설명합니다. 
  
 
  
  
   
  
 
  
<기자> 
  
 
  
'월급 200만 원을 받는 좋은 직장에 바로 취직할 수 있다' 58살 고혜숙 씨는 이 말에 솔깃한 나머지 교재비 등 80만 원을 들여 다문화가정 상담사 자격증을 땄습니다. 
  
 
  
[고혜숙/민간자격증 피해자 : 월 120만 원부터 시작을 하고, 근무조건은 9시부터 5시까지고, 주 5일 근무고…] 
  
 
  
하지만 직장을 알선해주겠다던 협회는 1년째 연락이 없었습니다. 
  
 
  
[고혜숙/민간자격증 피해자 : 속았다는 게 제일 분하죠. 전혀 수요도 없는 것을 수요가 있는 것처럼…] 
  
 
  
지난 2007년 민간자격증 등록제가 도입된 뒤 현재 2,169개의 자격증이 난립하고 있습니다. 
  
 
  
이중 국가 공인 자격증은 97개, 4.5%에 불과합니다. 
  
 
  
다문화가장 상담사처럼 공인은커녕 등록조차 안된 민간자격증이 넘쳐나다 보니, 소비자원에 접수된 자격증 관련 피해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박종성/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 민간자격증 중에서 등록을 안하고 운용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 분야는 부처에서 금지하는 분야들이거든요. 그런 부문에 있는 자격증들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소비자원은 '100% 취업 보장'과 같은 광고 문구에 현혹되지 말고 관련 업계나 기관에 자격증의 실효성을 충분히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