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필요할 때만 특정 유전자가 발현되는 개를 세계에서 처음으로 체세포 복제 방식으로 생산했습니다.
서울대학교는 27일 수의과대학 이병천 교수팀이 '독시사이클린'이라는 항생제를 먹으면 녹색형광단백질이 발현되는 형질전환 복제개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 결과는 담은 논문은 저명한 국제 학술지 '제네시스(Genesis)'에 표지 논문으로 실렸습니다.
연구팀은 연구용 개에서 채취한 체세포를 녹색형광유전자와 함께 독시사이클린 반응 유무에 따라 발현 '스위치' 역할을 하는 유전자를 함께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주입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세포를 핵이 제거된 난자에 넣고, 이 난자를 대리모 개에 착상시켜 체세포 복제개 '테곤(Tagon)이'를 얻었습니다.
테곤이는 독시사이클린을 투여하면 2주 뒤에 녹색형광 유전자가 발현해 자외선을 비추면 형광색을 띠었고, 약물을 끊자 9주 뒤에는 다시 형광색이 사라졌습니다.
이병천 교수는 "외래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복제개 생산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100% 국내 기술로 이뤄졌다"면서 "개의 260여가지 질병이 사람과 유사한 방식으로 발생하는 만큼, 인간 질병 연구와 치료제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