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환자와 가족은 물론이고 암전문의나 일반인까지도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립암센터 윤영호 박사팀은 오늘 국내 17개 병원에서 암환자와 암환자 가족, 암전문와 일반인 등 모두 3천 840명을 조사한 결과, 암환자의 89%, 가족 87%, 암전문의 94%, 일반인 89%가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고 밝혔습니다.
조사결과를 담은 논문은 캐나다 의사협회지 5월호에 실렸습니다.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소극적 안락사, 적극적 안락사, 적극적인 통증 조절, 의사보조 자살 등 5가지 사항에 대한 태도를 조사했습니다.
소극적 안락사에 해당하는 '식물인간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해서는 암환자의 76%, 가족 70%, 일반인 74%, 암전문의 60% 등의 순으로 찬성 비율이 높았습니다.
적극적인 안락사와 의사보조 자살에 대해서는 암환자와 일반인의 절반 정도가 찬성 의사를 보인 반면 환자가족과 암전문의는 각각 40% 미만, 10% 미만이 찬성했습니다.
윤영호 박사는 "적극적인 안락사와 의사보조 자살에 대해 미국, 네덜란드, 캐나다 등에서는 지지도가 60~90%에 달한다"면서 "삶의 마지막에 관한 의사결정에서 개인주의가 강한 유럽이나 북미가 안락사를 대체로 받아들이는 반면 가족을 중시하는 아시아에서는 덜 수용적인 것으로 이해된다"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