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이 낮을수록 과체중, 또는 비만율은 높은 반면 영양섭취나 건강관리는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의 양극화가 건강의 양극화를 가져오는 셈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원희목 의원(한나라당)은 12일 국민건강 통계와 국민 건강영양조사, 국정감사 자료를 종합, 2008년 소득수준을 상·중상·중하·하 4단계로 나눠 분석한 결과 '상'의 과체중·비만율은 29.7%, '중상' 30.5%, '중하' 31.7%, '하' 32.8%로 저소득층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1998년 고소득층의 과체중·비만율이 저소득층보다 더 높았던 것에 대비하면 10년만에 정반대의 결과로 나타난 것이다.
또 소득이 낮을수록 비만은 많지만, 영양 섭취는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체발육을 위해 적절한 영양섭취가 중요한 5세 이하 아동의 경우 '상' 소득계층은 권장량 대비 96.4%의 열량을 섭취하는 반면 '하' 계층은 85.5%를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성장에 필수적인 뼈를 만드는 칼슘과 철의 섭취에 있어서도 '상' 계층은 권장량 대비 97.7%(칼슘), 81.9%(철)를 섭취하고 '하' 계층은 77.9%(칼슘), 60.1%(철)을 섭취했다.
65세 이상 노인도 '상'층과 '하'층의 칼슘 섭취량이 각각 60.4%, 42.2%로 18.2% 포인트 차이가 났고 비타민A는 21.9% 포인트, 성장촉진요소인 리보플라빈은 18.5% 포인트 차이를 보였다.
게다가 저소득층은 국가에서 지원하는 3가지 무료 건강검진조차 제대로 받지 않는 등 건강관리도 부실했다.
기초생활수급자가 대다수인 의료급여 수급자들은 34.5%만이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을 받고 28.5%만이 영유아 건강검진을, 18.2%만이 5대 암검진을 받는 것으로 조사 됐다.
일반 건강보험 가입자의 53.9%가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을, 36.9%가 영유아 건강 검진을, 35.2%가 5대 암검진을 받는 것에 비해 대조적이다.
원 의원은 "대부분 비정규직인 의료급여 수급자들에겐 평일 낮 근무시간에 실시하는 건강검진이 '그림의 떡'에 불과할 것"이라며 "소득수준의 차이가 건강관리의 양극화로 이어지는 만큼 저소득층에 대한 일상적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