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전라북도가 정부의 4대강 살리기에 발맞춰 자체적으로 4대강 살리기를 시작합니다. 10조 원이 넘는 예산 확보와 환경단체의 반발을 어떻게 극복하느냐 하는 것이 사업의 성패를 가를 것으로 보입니다.
김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전라북도가 4대강 살리기로 선정한 곳은 금강과 섬진강, 그리고 만경강과 동진강입니다.
이 사업은 2012년까지 10조 원이 들어가는 대형 프로젝트입니다.
하천 수변에 관광단지를 조성하고 만경강을 따라 전통 뱃길을 복원하거나 하천정비 같은 개발사업이 포함됐습니다.
전라북도는 만경강과 동진강을 살리면 새만금의 수질도 좋아진다면서 이 사업이 전북에 희망을 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경옥/전라북도 행정부지사 : 새만금 개발, 특히 수질과 관련해 만경강과 동진강 개발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번에 4대강을 종합하는 마스터 플랜을 마련하게 됐습니다.]
하지만 생태하천의 복원사업 예산은 1조 2천억 원에 그치고, 나머지 9조 원이 개발사업에 치우쳐 환경파괴의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김진태/전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전라북도가 안고 가야 될 생태자원으로서의 소중한 그런 자원 하나를 버리는 결과가 올 것이라고 봅니다.]
전라북도가 10조 원이 넘는 4대강 살리기의 예산을 확보하는 것도 큰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전체 사업비 가운데 국가예산이 8조 원, 민간자본은 5천억 원이어서 국가와 기업체를 설득해야 합니다.
전라북도는 4대강 살리기 추진단을 만들고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도 실시합니다.
정부의 4대강 사업을 모델삼아 발표된 전라북도의 4개강 사업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