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뉴스>
<앵커>
12일 동안 우주공간에 머물게 되는 한국 최초 우주인 이소연 씨는 18가지의 과학실험을 비롯한 중요한 임무들을 수행하게 됩니다. 한국은 세계에서 11번째로 우주에서 과학실험을 수행한 나라로 위상이 높아집니다.
정호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무중력 상태에서 지구와 다른 자기장이 작용하는 우주공간에 접근하는 순간, 지상의 생물체는 큰 변이를 일으키기 시작합니다.
이 변이가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떤 결과를 낳게 될 것인지 우주공간이 그 자체로 거대한 실험실이 되는 것입니다.
먼저 무중력 상태에 따른 신체의 변화를 계량화하는 데 도전합니다.
중력이 없는 우주에서는 지구상에서 하체에 몰려 있던 혈액이 머리나 가슴으로 이동합니다.
이에 따라 얼굴이 부풀어 오르면서 아무리 잘생긴 얼굴이라도 영락없이 형태가 변합니다.
[조용진/한남대 교수 : 얼마만큼 붓고 어떤 속도로 경감되는지 이런 것에 대해서는 아직 미국도 계량적으로 밝혀놓지 못했습니다.]
우주에 다녀오면 수명이 절반으로 단축된다는 초파리는 노화의 원인을 규명해 치료제 개발에 이용됩니다.
수명이 60일에 불과한 초파리에게 우주에서의 열흘은 사람에게 10년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이소연/한국 최초 우주인 : 화학, 생물, 물리는 물론 교육과 관련된 실험을 합니다. 과학 전 분야를 망라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중력이 없는 곳에서 어떻게 볼펜의 잉크가 나오고, 우주에서 액체는 어떻게 떠 다니는지, 과학꿈나무들의 호기심을 채워줄 실험 결과 5가지는 전국 초중고교에 배포돼 교육자료로 활용합니다.
특히 18가지 과학실험에 쓰일 대부분의 장비들이 순수 국산 기술로 개발한 제품들이어서 이번 우주 실험의 의미를 더해줍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