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뉴스>
<앵커>
또 박미석 사회정책 수석 내정자가 제자의 논문을 표절했다는 의혹도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교수출신 공직자들의 표절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닌데, 왜 이런 일이 끊이지 않고 있는지 김호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박미석 청와대 사회정책수석 내정자는 오늘(22일)도 또 다른 표절의혹에 휩싸였습니다.
어제 논란이 된 2002년 논문 외에 2006년 발표한 논문도 같은 해 6월 발표된 제자의 석사 논문과 비슷하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박 내정자 측은 박 내정자가 4월에 먼저 학회에 논문을 투고했기 때문에 표절이 아니라고 반박했습니다.
지난 2006년 김병준 교육부총리에 이어 이필상 고려대 교수와 박 내정자까지 학자들의 논문 표절 의혹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양정호/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 : 학문적인 윤리와 관련된 부분에 대해 학자들이
의지를 갖기 시작한 시점은 최근 2, 3년 밖에 안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다른 사람의 저작물을 직간접적으로 인용할 때 저자 이름과 발행년도, 페이지 표기 방식까지 자세한 기준이 마련돼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이런 기준자체가 이제서야 만들어지는 단계입니다.
[박주호/교육부 학술진흥과장 : 표절 가이드라인과 관련해서 저희 지난 해부터 착수를 했었습니다. 학계 및 대학들이 스스로 그 표절 가이드라인을 만들 수 있도록 원형적인 예나 모형을 제시하는 차원에서 지금 현재 착수 중에 있습니다.]
특히 제자 논문의 경우 권위의식에서 출처를 밝히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대학교수 : 제자 논문이라든지 석사 박사의 글을 인용한다든지 하는 것은 논문의 격을 낮춘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있고...]
학생시절부터 아무런 거리낌없이 베끼는 것이 묵인된 분위기도 문제입니다.
서울대는 올해부터 연구 윤리를 가르치는 강좌까지 개설했습니다.
[조국/서울대 법대 교수 : 이 학생들이 나중에 결국에는연구자가 되고 교수가 될 것잊데 학생차원에서 연구윤리가 무엇인지, 진리를 탐구하는 데 있어서 어떤 식으로 공불부를 해야 되는 지를 미리 가르쳐야 한다. 이런 판단을 한 것입니다.]
특히 표절은 의혹이 제기된 뒤에야 검증이 가능한 만큼 결국 연구자 하나하나의 윤리 의식 확립만이 표절 논란을 없앨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