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k] 미식가들이 사랑한 '개구리 다리'…"이러다 멸종된다" 경고
▲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국제 비영리 동물보호단체가 유럽 등지의 식도락 문화로 인해 일부 개구리 종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현지 시간 23일 가디언 등 외신은 국제 비영리 동물·환경보호단체 '프로와일드라이프'가 유럽 국가들의 식용 개구리 수입으로 인해 일부 개구리 종의 멸종 위기가 우려된다는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날 '프로와일드라이프'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등 유럽 국가에서 매년 2억 마리가 넘는 식용 개구리를 수입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미식가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개구리 다리(Cuisses de Grenouille)' 요리를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 '개구리 다리 요리'를 위해 준비된 개구리 다리와 음식 재료들 이들 단체에 따르면, 유럽에서 주로 소비되는 개구리는 인도네시아산 74%, 베트남산 21%, 터키산 4%, 알바니아산 0.7%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중 인도네시아와 알바니아 등지에서 서식하는 개구리가 멸종 위험이 커지거나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는 상황이며, 터키 토착종 '아나톨리안 물개구리'의 경우 10년 안에 야생에선 찾아볼 수 없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프로와일드라이프' 설립자 샌드라 알테어(Sandra Altherr)는 &'인도네시아와 터키, 알바니아에서 대형 개구리 종의 야생 개체수가 줄면서 생태계의 치명적인 도미노 효과를 일으키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런 현상이 지속된다면 야생 개구리 개체수는 급감할 가능성이 크며 향후 (여러 종의) 연쇄적인 멸종으로 이어질 수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애들레이드대학교 환경연구소 부교수 코리 브래드쇼(Corey Bradshaw) 또한 &'양서류는 가장 위협받는 동물 그룹&'이라며 &'현재 양서류 종의 3분의 1가량이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들 단체는 EU가 개구리 수입 제한과 개구리 원산지 표기, 멸종위기종 지정 등의 조처를 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사진 유튜브 'Chef Michel Dumas')
SBS 뉴스
|
이정화 에디터
|
2022.06.25 |
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