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경제] 음료도 가격 줄줄이 인상…불가피하다더니 최대 실적? 화요일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도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한 기자 다음 달부터 시중에서 파는 음료 가격이 또 줄줄이 오른다고요? 이렇게 먹거리 물가 오른다는 소식을 자주 전하는 게 송구스럽기까지 한데요. SBS 2025.04.22 09:28
[친절한 경제] 4분기 연속 성장률 0.1 이하…통계 작성 이후 '최초' 월요일 친절한경제. 오늘도 한지연 기자와 함께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금 우울한 소식인데요. 한국 경제가 반등하지 못하고 있는 이 기간이 길어질 것이라는 한국은행 전망이 나왔다고요? 성장률이 올해 1분기까지 4분기에 걸쳐, 1년 동안 0.1% 이하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이렇게 긴 기간 분기 성장률이 0.1% 이하에 머문 적은 이번이 처음입니다.직전분기 대비, 그러니까 지난해 4분기 대비 올해 1분기 성장률은 지난 2월에 내놨던 전망치인 0.2%를 밑돈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요.어느 정도 밑도냐, 한국은행은 마이너스 성장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렇게 진단했습니다.이 전망대로라면 오는 24일, 그러니까 이번 주 목요일에 1분기 실질GDP 성장률이 공개되거든요.이게 마이너스거나, 플러스여도 0%대일 가능성이 큽니다.이렇게 되면 지난해 2분기 마이너스 성장률에 3분이 0.1% 성장률 4분기 0%대 성장률에 이어, 4분기 째 0.1%를 넘지 못하는 건데, 앞서, 이런 경우가 처음이라고 했잖아요.상황이 안 좋았던 코로나 때를 보면, 2020년 1분기에 마이너스 1%대, 또 2분기에 마이너스 2%대로 연속적으로 코로나 충격을 받았지만, 그래도 3분기에는 플러스 2%대 성장세를 회복했고 그 뒤에도 1%가 넘는 성장세로 네 분기에 걸쳐 1∼2%대를 이어갔습니다.금융위기 때 상황은 어땠을까요.2008년 4분기만 -3% 성장률 기록했지만, 다음 해 1분기에 0%대로 올라왔고, 그 뒤로 1%대, 3%대로 튀어 오르며 빠른 회복을 보였습니다.충격이 심했던 IMF때는 더 힘들지 않았냐 싶지만 수치를 보면요, 충격이 심하긴 했는데 바닥을 찍은 뒤 회복이 뒤따랐습니다.1997년 4분기부터 연달아 3번, 특히 그 중 1번은 마이너스 6%대까지 떨어지면서 역성장을 보이기는 했습니다.하지만 그 이후에는 차곡차곡 차례로 1∼4%대까지 줄줄이 네 개 분기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즉, 이번만큼 지지부진하게 정체 또는 뒷걸음질 치고 있는 상황은 처음이라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SBS 2025.04.21 09:28
[친절한 경제] 숨 고르는 기준금리…'똘똘한 구축'에 수요 몰린다 금요일 친절한 경제입니다.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지 않습니까. 저희가 아까 박재현 기자 리포트에서 살펴봤습니다만, 그 배경에는 결국 금리를 내리게 되면 집값이 또 상승할 수 있고 가계 대출도 확 늘 수 있기 때문 아닙니까? 맞습니다. SBS 2025.04.18 10:05
[친절한 경제] 3년 넘으면 사라진다…327억 찾아가는 방법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도 한지연 기자와 함께합니다. 국민들이 돌려받아야 될 건강보험료가 수백억 원씩이나 주인을 찾지 못한 채 쌓여 있다고… SBS 2025.04.17 09:41
[친절한 경제] 펫팸족 1,500만…사람 침대 만드는 회사가 만든 이 제품 수요일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도 한지연 기자와 함께합니다. 안녕하세요. 반려동물을 키우면서 반려동물을 가족과 같이 생각하는 펫팸족이 1천500만 명에 달하는 시대잖아요. SBS 2025.04.16 09:39
[친절한 경제] "다들 빨리 닫는다"…'눈덩이 빚' 사장님들에 희소식 화요일 친절한 경제, 한지연 기자와 함께합니다. 요즘 같은 경기 침체 속에 자영업자들 더 힘들게 하는 것은 빚일 텐데요. 이자는 계속 불어나고 … SBS 2025.04.15 09:44
[친절한 경제] '토허제' 재지정에도…서울 아파트값 10주째 상승세 금요일 친절한 경제입니다. 오늘도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 기자, 토지거래허가제를 푸는 바람에 집값이 뛰었다고 이걸 다시 확대해서 재지정했잖아요. SBS 2025.04.11 09:03
[친절한 경제] K뷰티 수출 호조…관세 전쟁에 오히려 반사이익? 목요일 친절한 경제 오늘도 한지연 기자와 함께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K뷰티 이야기네요 지난해 K뷰티의 업황이 굉장히 좋았던 것으로 알고 있… SBS 2025.04.10 09:27
[친절한 경제] 초고령 사회 진입…'정년 연장'보다 필요한 근로 형태는?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도 한지연 기자와 함께합니다. 어서 오세요. 우리나라가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상황에서 고령층이 어떻게 하면 더 오래, 더 생산적으로 일할 수 있을지를 분석한 한국은행 보고서가 나왔다고요? 우선 단순히 법정 정년 연장보다는 퇴직 후 재고용을 활용하는 게 더 바람직하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그럼 이 다니던 회사를 나와서 다 다른 직장을 찾아봐야 하는 거냐, 그건 아니고요.연구진은 바람직한 사례로 일본을 예로 들었는데요.우리보다 먼저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60세 정년, 65세 고용확보, 70세 취업 기회 확보로 이어지는 '계속 근로' 로드맵을 약 30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도입했습니다.또 정년연장, 정년폐지, 퇴직 후 재고용 등 기업 특성에 맞는 '계속 근로' 형태를 노사가 합의해 자율적으로 채택하도록 허용했습니다.일본 기업들은 고령층 근로자와 재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평균 약 40% 정도의 임금 조정을 같이하고 있고요.또 직무를 조정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이렇게 되면 정년에 구직의 어려움을 덜 수도 있고, 임금체계를 자연스럽게 바꾸면서 근로조건도 유연하게 조정하고 고령층 계속근로를 장려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SBS 2025.04.09 09:48
[친절한 경제] '최대 시장' 미국…희비 엇갈린 K-푸드 기업들 화요일 친절한 경제 오늘도 한지연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K-푸드 팔고 있는 우리 식품 기업들… SBS 2025.04.08 0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