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대전화를 기폭장치로 이용
6월13일자 영국 신문 「TELEGRAPH」는, 4월22일 북조선 룡천(龍川)에서 일어난 열차폭발사고 현장에서 휴대전화의 파편(破片)이 발견되어, 사고를 조사하고 있는 당국자들이, 폭발은 휴대전화를 기폭장치(起爆裝置)로서 사용해 김정일의 암살을 노린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TELEGRAPH」에 의하면, 휴대전화에는 접착테이프가 붙어 있었다. 북조선 당국자에 의하면, 휴대전화의 소유자에 대한 수사가 진행되었지만 결과는 불명(不明)이라고 한다.
북조선 당국은 이러한 테러의 재발(再發)을 막기 위해서 인민들의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시켰다고 한다.
6월14일자 이스라엘 신문 「THE JERUSALEM POST」는 인터넷판에서, 이스라엘 예루샬라임(Yerushalayim, Jerusalem) 동쪽 지역[Old City]에 거주하고 있는 아랍인이 이스라엘 수상공관(首相公館)에 대한 테러를 계획하고 있었다고 보도했다.
그 아랍인은 38세의 후쌈 나불시(Hussam Nabulsi)이며 예루샬라임 메아셰아림(Meah Shearim) 지역의 시나고그(Synagogue) 폭파 계획 혐의로 5월16일 그의 집에서 이스라엘 경찰에 체포되었다.
이스라엘 경찰의 조사결과, 하마스(Hamas) 조직원인 나불시는 예루샬라임 지역에 우편물을 배달하는 이스라엘 회사에 근무하고 있었기 때문에 수상공관을 포함한 여러 이스라엘 정부기관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었다.
시나고그를 폭파하기 위한 백업(backup)이었던 나불시는, 이 테러 이후 수상공관에 휴대전화를 기폭장치로 한 폭탄을 우편물로 위장(僞裝)해서 배달한 다음 안전한 곳으로 이동해서 원격폭발(遠隔爆發)시키려고 했다고 자백(自白)했다.
지난 달 이스라엘 경찰은, 나불시를 체포한 후 그 폭탄을 예루샬라임 북쪽 지역에서 발견해 제거했다.
[THE JERUSALEM POST]
Jerusalem Arab planned attack on PM`s Office
Etgar Lefkovits Jun. 14, 2004
A Jerusalem Arab, arrested last month on suspicion of
planning to blow up a synagogue in the city`s Meah Shearim
neighborhood, has confessed to planning a bombing attack on
the Prime Minister`s Office, police announced Monday.
The 38-year-old suspect, Hussam Nabulsi, was arrested in his
home in Jerusalem`s Old City on May 16.
During his interrogation, it emerged that Nabulsi - a Hamas
member who worked for an Israeli company that distributed
mail in Jerusalem - had access to several government office
buildings, including the Prime Minister`s Office.
According to a statement issued Monday by the Jerusalem
Police, Nabulsi told his interrogators following his arrest
that as a backup to the planned bombing in Meah Shearim, he
had also planned on leaving a cell-phone operated bomb
amidst several "packages" he would deliver to the PM`s
Office. After quitting the site, he planned to set off the
explosion.
The bomb, which was to have been used in the attack, was
uncovered by police in northern Jerusalem last month shortly
after Nabulsi`s arrest. The device was detonated in a
controlled explosion.
http://www.jpost.com/servlet/Satellite?pagename=JPost/JPArticle/Printer&cid=1087182008298&p=1078027574121
"룡천역 폭발은 김정일 암살기도 가능성" < 英신문 >
폭발사건 현장에서 휴대전화 기폭장치 발견
연합뉴스 2004/06/13 18:12 송고
(런던=연합뉴스) 이창섭 특파원 = 북한 관리들은 지난 4월 발생한 북한 룡천역 열차 폭발사건이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에 대한 암살기도였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믿고 있다고 영국의 선데이 텔레그래프가 13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북한 당국이 사건 직후 전기합선으로 질산나트륨과 연료를 실은 화물열차에 폭발이 일어났다고 공식 발표했으나 이후 진행된 원인 조사에 정통한 북한 관리들은 휴대전화가 기폭장치로 사용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 신문에 따르면 사건 현장에서 접착 테이프가 붙어 있는 휴대전화 잔해가 발견됐다.
룡천역 열차 폭발사건은 지난 4월 22일 중국을 방문하고 돌아오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탄 특별열차가 룡천역을 통과한 지 9시간만에 발생했다.
신문은 익명의 북한 관리의 말을 인용, "그런 사실이 있는지, 그렇다면 누가 폭발물을 장치했는지를 아직 밝혀내지 못했다"면서 "소규모 기폭장치로 대량의 질산나트륨을 폭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증거를 발견하기는 매우 어렵다"고 말했다.
이 관리는 또 룡천역 열차 폭발이 암실기도였다고 100% 확신하고 있지는 않지만 암살기도 여부를 밝혀내는 것이 비밀조사의 주요 목표들 가운데 하나였다고 말했다.
이 관리는 폭발 현장에서 발견된 휴대전화의 소유자가 밝혀져 조사를 받았으나 그가 어떻게 됐는지는 확실하게 알려지지 않았다고 신문은 전했다.
신문은 이어 북한 당국이 룡천역 폭발 사건과 같은 일이 재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북한 주민들의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했다고 보도했다.
북한 당국은 처음에는 휴대전화 서비스를 중단했으나 지금은 북한 주민이 보유한 1만여대의 휴대전화를 압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TELEGRAPH]
Train blast was `a plot to kill North Korea`s leader`
By Sergey Soukhorukov in Pyongyang
(Filed: 13/06/2004)
Officials investigating the devastating North Korean train
explosion in April now believe that the blast was an
assassination attempt on the country`s leader, Kim Jong-il.
At the time, the secretive Communist state described the
explosion in the border town of Ryongchon as an accident.
Electric cables were believed to have ignited a cargo of
explosive chemicals and oil.
Now, however, officials close to the investigation believe
that a mobile telephone was used to detonate the train`s
deadly cargo of ammonium nitrate and fuel. The remains of a
mobile handset, with adhesive tape attached, have been found
at the scene of the blast.
Hours before the train exploded, killing more than 160
people and injuring 1,300, Mr Kim passed through the town by
train on his way back from China.
"They still don`t know who planted the explosives, if indeed
there were any," one official said. "It`s very difficult to
find any sign, as they would have used only a small amount
to detonate a huge amount of ammonium nitrate.
"You don`t even need TNT to detonate it - it is enough just
to create a high temperature."
The official said that they were not yet totally convinced
that the blast was an assassination attempt, but that the
theory had become the main thrust of the secret inquiry. "A
short-circuit might have been responsible, but evidence they
have is quite convincing that it was not."
Mr Kim`s itinerary was frequently altered for security
reasons, he said, which probably saved his life.
The owner of the mobile telephone found at the scene had
been traced and questioned, according to the official, but
it was unclear what had happened to him.
It would not have been the first assassination attempt
against Mr Kim, who succeeded his father Kim Il Sung as
leader in 1994. At the end of the 1990s, a plan hatched by a
number of Korean army generals was uncovered, and the
conspirators arrested.
After they were interrogated, the generals were executed in
Pyongyang`s 150,000-capacity May Day Stadium. Petrol was
poured over them and set alight, burning them alive.
In light of the Ryongchon evidence, Pyongyang has banned
North Koreans from using mobile telephones, hoping to
prevent a repeat attack. The sudden decision, made a
fortnight ago, dealt a severe blow to the state-owned mobile
telephone operator, the only one in the country, which had
just started to make a profit.
Initially, the mobile service was suspended. Later, handsets
were confiscated from nearly 10,000 private and corporate
owners by officials from the Ministry of People`s Security
(MPS). The official reason given was that the regime was
struggling to intercept and control conversations, given the
explosion in mobile telephone customers.
Aggrieved North Koreans, who had to pay about $360 (£200)
for a simple handset - the average monthly wage is about $4
(£2.20) - complain that they have been left in the lurch.
They are unaware of the secret inquiry into the train blast -
indeed most ordinary North Koreans know little about the
explosion. The strictly-controlled state media has never
mentioned that Mr Kim`s train passed through Ryongchon a few
hours before the explosion.
"I really needed the mobile for work," said one employee of
a North Korean-Chinese joint venture. "Now I waste a huge
amount of time sitting in the office waiting for calls
instead of doing real business."
Foreigners are still allowed to use mobile telephones but
must buy them locally and pay higher prices for handsets and
calls. They are charged up to £470 for the phone and £550
for the Sim-card.
http://www.telegraph.co.uk/news/main.jhtml?xml=/news/2004/06/13/wkor13.xml&sSheet=/news/2004/06/13/ixworld.html
北 휴대폰 서비스 `외국인 제외` 전면중단설
조선일보 2004년6월2일 13:57
북한은 최근 당(黨)ㆍ정(政)ㆍ군(軍) 고위 간부들과 부유층들에게 허용했던 휴대전화 서비스를 전면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사정에 정통한 중국의 한 소식통은 최근 기자와의 통화에서 『북한당국이 용천 사고 이후 평양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제외한 모든 주민들의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시켰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조치의 배경에 대해 『지난 4월 22일 발생한 용천 폭발사고 때 불순분자들이 휴대전화를 이용한 단서가 일부 포착된데다, 미국이 특수장비를 이용해 북한의 휴대전화를 감청하고 있어 내부정보가 밖으로 유출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휴대전화 서비스 중단 조치는 국방위원회 명령으로 하달됐으며, 특히 권력기관이나 특수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휴대전화 사용을 엄격히 제한해 이미 가지고 있던 단말기도 모두 압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며칠 전 국경을 넘은 한 탈북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지난달 19일 평양에서 가장 먼저 휴대전화 사용이 중단되고 기타 도시들은 20일부터 금지됐다』고 말했다. 그는 서비스 중단 이전 북한의 휴대전화는 도청 소재지에서만 가능했으며 인근 지역이나, 고속도로, 철도 등에서는 시설 불비로 이용이 불가능한 상태였다고 전했다.
북한은 당초 휴대전화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각지 주요 지점에 기지국 건설을 추진해 왔으나 서비스가 전면 중단되면서 기지국 건설도 보류된 상태다.
북한 전역에서 휴대전화 사용이 전면 금지되자 비싼 돈을 들여 단말기를 구입한 주민들이 강한 불만을 표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휴대전화 1대가 구입비와 가입비를 포함해 1300달러를 상회하는데 하루 아침에 무용지물이 됐기 때문이다. 일반 근로자의 평균 월급이 2500원 안팎이고 1달러가 1200~1300원 선에 이르는 점을 고려하면 엄청난 비용이 아닐 수 없다.
북한을 자주 왕래하는 재중동포 김상국(가명)씨는 『지금 북한 전역에서 휴대전화 서비스 중단조치에 이어 단말기까지 회수하고 있어 이번 조치가 임시 방편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북한은 2002년 8월 유럽형 이동전화(GSM) 방식의 휴대전화 서비스 시험운용에 들어갔으며, 11월부터 평양과 경제특구인 나선(나진-선봉) 일대에 서비스를 시작했다. 그러나 이보다 앞서 90년대 말부터 평북 신의주, 양강도 혜산, 함북 회령ㆍ온성 등 북-중 국경지역에서는 중국 단말기를 이용한 휴대전화 사용이 일반 주민들 사이에서 확산돼 왔다.
강철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