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북조선은 동서해안과 한국과의 DMZ가 철조망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최근에는 여기에 더하여 중국과의 국경까지 철조망으로 둘러싸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인민들을 외부세계와 완전히 차단하고 닫힌 돼지우리에 쳐넣고서 사육하겠다는 조치다.
한국에는 열린우리가 있는데 어용방송과 친여매체를 총동원하여 선전·선동을 일삼으면서 여기에 나이브한 국민들을 쳐넣었다가 때가 되면 북조선처럼 닫힌 돼지우리가 되어 국민들을 자기들 마음대로 사육하게 되지는 않을까. 아니면 북조선의 사육사를 '초빙'하는 일이 생길지도 모를 일이다.
북조선이 요즘 개방되고 있다고 큰소리치는 인간들은 그 사육사가 주는 '여물'을 많이 받아 쳐먹은 것이 아닐까. 자유세계의 정보가 북조선을 개방시키는 비밀무기다. 북조선 인민들에게 단파라디오 보내기 운동을 열심히 하면서 개방·개혁을 소리높여야 할 것이다.
北, 中접경지역에 철조망 두른다
동아일보 2004년6월2일 18:29
《북한은 중국과의 국경에 철조망을 설치하기 위해 국경 주변의 주민을 동원해 준비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북한 동서해 해안선에는 철책이 쳐져 있어 국경까지 막으면 북한 전체가 철조망으로 둘러싸이게 된다. 북한 당국은 또 지난달부터 각급 기관과 개인이 소유한 휴대전화를 몰수하고 있으며 불법 휴대전화 사용자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을 시작하는 등 탈북 및 밀수, 그리고 내부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한 통제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철조망 설치=최근 친척을 방문하기 위해 중국에 머무르고 있는 김동진(가명·42·함북 회령시)씨는 2일 "회령 주민들이 공장 기업소별로 동원돼 철조망 설치용 나무를 베고 있다"면서 "평북 신의주에서 함북 온성까지 국경 전체가 대상"이라고 밝혔다.
김씨는 "높이 2.7m의 목책 위에 철조망을 두를 예정이며 밀수나 탈북 경로, 세관 주변에서는 이미 작업이 시작됐다"면서 "부족한 목재나 철사 등 자재는 중국에서 수입해 올 것이라는 소문이 파다하다"고 말했다.
북한과 마주하고 있는 중국 지린(吉林)성 룽징(龍井)시 싼허(三合)진의 조선족 장해산(가명·45)씨는 "자주 건너오는 북한 밀수꾼들이 마을 앞 두만강 가에 담이 쳐진다고 말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요즘 북한 처지에 수천리 국경을 어떻게 막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국경 일대에 10만여명의 경비대를 주둔시키고 있지만 오히려 군인들이 돈을 받고 탈북을 도와 주고 있는 실정이다.
北 개인 휴대전화 몰수나서
▶ 휴대전화 단속=러시아 이타르타스통신은 1일 "북한 당국이 5월 말부터 각급 기관과 개인이 소지한 휴대전화를 몰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통신은 "휴대전화 이용자가 늘면서 보안기관이 모든 통화 내용을 감청하기 어려워지자 북한인과 북한 내 외국인의 전화통화를 막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북한 당국은 몰수 이유를 밝히지 않았으며 빼앗은 휴대전화에 대한 보상도 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난달부터 휴대전화 사용을 허용한 북한 거주 외국인의 휴대전화는 회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이와 함께 중국에서 들여온 불법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국경지대 주민들에 대한 색출작업도 벌이고 있다. 중국에서 전파탐지 장비를 수입해 한국이나 중국과 통화하는 주민들을 적발하고 있으며 이미 수백명의 불법 통화자가 체포된 것으로 전해졌다.
조총련기관지 조선신보는 지난해 12월, 2003년 한 해 동안 북한의 휴대전화 사용자가 3000명에서 2만명으로 크게 늘었다고 보도했다.
주성하 기자
北 휴대폰 서비스 '외국인 제외' 전면중단설
조선일보 2004년6월2일 13:57
북한은 최근 당(黨)ㆍ정(政)ㆍ군(軍) 고위 간부들과 부유층들에게 허용했던 휴대전화 서비스를 전면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사정에 정통한 중국의 한 소식통은 최근 기자와의 통화에서 『북한당국이 용천 사고 이후 평양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제외한 모든 주민들의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시켰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조치의 배경에 대해 『지난 4월 22일 발생한 용천 폭발사고 때 불순분자들이 휴대전화를 이용한 단서가 일부 포착된데다, 미국이 특수장비를 이용해 북한의 휴대전화를 감청하고 있어 내부정보가 밖으로 유출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휴대전화 서비스 중단 조치는 국방위원회 명령으로 하달됐으며, 특히 권력기관이나 특수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휴대전화 사용을 엄격히 제한해 이미 가지고 있던 단말기도 모두 압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며칠 전 국경을 넘은 한 탈북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지난달 19일 평양에서 가장 먼저 휴대전화 사용이 중단되고 기타 도시들은 20일부터 금지됐다』고 말했다. 그는 서비스 중단 이전 북한의 휴대전화는 도청 소재지에서만 가능했으며 인근 지역이나, 고속도로, 철도 등에서는 시설 불비로 이용이 불가능한 상태였다고 전했다.
북한은 당초 휴대전화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각지 주요 지점에 기지국 건설을 추진해 왔으나 서비스가 전면 중단되면서 기지국 건설도 보류된 상태다.
북한 전역에서 휴대전화 사용이 전면 금지되자 비싼 돈을 들여 단말기를 구입한 주민들이 강한 불만을 표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휴대전화 1대가 구입비와 가입비를 포함해 1300달러를 상회하는데 하루 아침에 무용지물이 됐기 때문이다. 일반 근로자의 평균 월급이 2500원 안팎이고 1달러가 1200~1300원 선에 이르는 점을 고려하면 엄청난 비용이 아닐 수 없다.
북한을 자주 왕래하는 재중동포 김상국(가명)씨는 『지금 북한 전역에서 휴대전화 서비스 중단조치에 이어 단말기까지 회수하고 있어 이번 조치가 임시 방편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북한은 2002년 8월 유럽형 이동전화(GSM) 방식의 휴대전화 서비스 시험운용에 들어갔으며, 11월부터 평양과 경제특구인 나선(나진-선봉) 일대에 서비스를 시작했다. 그러나 이보다 앞서 90년대 말부터 평북 신의주, 양강도 혜산, 함북 회령ㆍ온성 등 북-중 국경지역에서는 중국 단말기를 이용한 휴대전화 사용이 일반 주민들 사이에서 확산돼 왔다.
강철환 기자
북, 北中국경 1000리에 목책 설치中
조선일보 2004년5월25일
북한은 최근 주민들의 탈북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평북 신의주와 함북 온성을 잇는 1000리 북-중 국경에 목책(木柵)을 설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경지대의 한 북한 군관(장교)은 최근 기자와의 통화에서 『「국경을 완전 봉쇄하라」는 국방위원회 명령에 따라 지난 달부터 국경경비대와 국경지역의 전 주민이 동원돼 2m 높이의 나무성벽(목책)을 쌓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공사는 시야가 탁 트여있고 경비가 용이한 지역은 일단 뒤로 미루고 경비가 어려워 탈북경로로 이용될 수 있는 지역에서부터 진행되고 있다고 그는 말했다.
이 군관은 『북-중 국경선이 1000리가 넘는데 이 구간을 모두 막는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데도 누가 이런 어처구니 없는 발상을 내놓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북한과 밀무역을 하는 재중동포 김명식(가명)씨도 『지난 달부터 북한지역에 나무로 공사를 시작해 무슨 일인지 궁금했는데 알고 보니 탈북자들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며 『먹고 살기도 바쁜 처지에 난데 없는 목책공사라니 말이 안나온다』고 씁쓸해 했다.
북한은 목책 설치작업에 병행해 북-중 국경을 따라 흐르는 압록강과 두만강 언저리 사람의 발길이 닿을만한 요소요소에 사람잡는 함정까지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국경을 넘은 한 북한 주민은 『국경지대에 설치되는 함정들은 깊이 3~5m에 뾰족한 쇠살창이나 목창을 꽂아놓아 빠지는 사람은 목숨을 잃거나 중상을 입게 돼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함정은 정치범수용소에서 정치범들의 탈출을 막기 위해 수용소 외곽에 설치했던 것으로 이제 국경지역에까지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됐다.
목책공사와 함정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북-중 국경은 완전 봉쇄되며 주민들의 탈북이 현저히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강철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