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품격 커뮤니티  ‘스브스프리미엄’

조선 [사설] 재계의 자기혁신 운동이 있어야 한다 에 대해서

조선 [사설] 재계의 자기혁신 운동이 있어야 한다 에 대해서







(홍재희) ====== 친일 반민족 반민주 반통일의 냉전 수구적인 방상훈의 세습족벌사주체제인 조선일보 사설은



" 재계가 올봄 임단협 협상에서 노조에 밀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의 복귀 후 정부가 다시 친(親)노조로 기울고, 여론 지지를 얻는 경쟁에서도 노동계에 뒤지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는 격렬한 노동운동의 해가 될 가능성이 높다. 사정이 이렇다면 재계는 종전과 다른 모습으로 국민에게 다가서야 하고, 그러한 노력은 재계의 자기혁신 운동으로 시작되어야 한다. 우리보다 먼저 산업화를 이룩하고, 더 격렬한 노동의 시대를 통과했던 선진국에서도 노동운동이 강력했을 때 재계의 혁신운동 또한 강력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일보의 전형적인 묻지마 낙인찍기가 잘 드러나고 있다. 조선사설은 " 재계가 올봄 임단협 협상에서 노조에 밀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고 주관적인 판단을 내려놓고 재벌들이 노조에 밀리는 근거로 "노무현 대통령의 복귀 후 정부가 다시 친(親)노조로 기울고, 여론 지지를 얻는 경쟁에서도 노동계에 뒤지고 있기 때문이다." 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사설은 노무현 대통령의 복귀 후 정부의 어떠한 노사관계접근방법이 친(親)노조로 기울어졌는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못하고 있다. 조선일보식의 전형적인 묻지마 식의 낙인찍기로 근거도 없이 정부가 다시 친(親)노조로 기울어졌다고 유언비언성 의 무책임한 주장을 하고 있다.









(홍재희) ====== 그러면서 "올해는 격렬한 노동운동의 해가 될 가능성이 높다.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사설식으로 접근하면 노동자들은 격렬한 노동운동으로 일년 내내 시간을 보내는 집단으로 독자들에게 각인될 수 있는 심각한 왜곡을 조선사설이 이어가고 있다. 재벌체제는 변해야 한다. 그리고 재벌체제와 똑같은 형태로 유지되고 있는 방씨 족벌의 조선일보도 혁신해야 한다. 재벌들보다 더 급한 혁신의 대상은 바로 조선일보이다.







(홍재희) ===== 그래도 대다수 재벌들은 노동조합의 내부견제라도 받으며 문제의 실상을 파악할수 있으나 조선일보의 세습족벌사주체제는 내부에 노동조합의 강력한 견제 시스템 조차 갖추어져 있지 않고 명분상 존제하고 있는 조선일보 노동조합은 방씨 족벌세습사주체제의 부도덕한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한 방씨 족벌의 조선일보 구사대역할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조선일보의 형태는 스스로 혁신할 수 있는 조건이 전무하기 때문에 대한민국 사회가 법과 제도를 통해 조선일보를 혁신 시켜야할 숙제를 요구받고 있다.









(홍재희) ========= 조선사설은



" 우리 국민의 반(反)기업 정서는 현재 OECD 30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다. 일자리를 창출하고 세금을 내 국가경제를 지탱하고 있다고 자부하는 기업인들로선 받아들이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기업들도 그간 편법상속과 족벌경영으로 국민의 반감을 스스로 불러왔다는 점을 되돌아봐야 한다. 이번 대선자금 수사에서 밝혀진 비자금 조성, 정치권에 대한 뇌물 제공 같은 뒷거래도 마찬가지다. 또 평소 노동자들에게 경영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노사갈등의 발생원인을 덜어내고, 활발한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국민들의 사랑을 받는 기업으로 다시 태어나도록 해야 한다.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사설은 " 우리 국민의 반(反)기업 정서는 현재 OECD 30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다." 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한 조선사설의 주장은 사실상 근거가 희박하다. 우리국민들은 '차떼기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부도덕하고 부패한 재벌오너들의 반칙행위를 반대하고 있는 것이지 결코 반(反)기업 정서는 아니라고 본다. OECD 30개 회원국 가운데 한국과 같이 재벌기업오너들이 '차떼기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국가와 기업인들이 또 있는 지 조선사설이 한번 제시해 보아라?







(홍재희) ===== 조선사설은 " 일자리를 창출하고 세금을 내 국가경제를 지탱하고 있다고 자부하는 기업인들로선 받아들이기 어려운 일이다. " 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우리국민들이 그러한 기업인들의 긍정적인 역할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차떼기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부도덕하고 부패한 재벌오너들의 반칙행위를 반대하는 것이다. 조선사설은 그러한 국민들의 밑바닥여론을 왜곡해서는 안 된다.







(홍재희) ====== 조선일보 사설은 " 그러나 기업들도 그간 편법상속과 족벌경영으로 국민의 반감을 스스로 불러왔다는 점을 되돌아봐야 한다. " 라고 주장하고 있다. 편법상속과 족벌경영은 조선일보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한국의 재벌들은 보통 2대째 세습족벌체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조선일보는 벌써 3대째 세습족벌체제의 유지를 통해 한국의 세습족벌경영의 상징적인 존재로 단연 선두에 우뚝 서 있다. 이러한 조선일보의 편법상속과 족벌경영으로 국민의 반감을 스스로 불러왔다는 점을 조선일보도 직시해야 한다.









(홍재희) ===== 조선사설은 " 이번 대선자금 수사에서 밝혀진 비자금 조성, 정치권에 대한 뇌물 제공 같은 뒷거래도 마찬가지다." 라고 주장하고 있다. 재벌체제는 이제 해체해야 한다. 그래야 정경유착의 구조가 무너지고 한국의 정치와 경제가 건강하게 발전한다. 재벌체제를, 해체하고 개별기업단위의 공정한 시장경쟁체제를 통해 경쟁력을 길러 지구촌 경쟁의 시대에 살아남을 수 있는 동력을 길러야 한다.







(홍재희) ===== 재벌체제의 해체를 위해서는 먼저 재벌오너들의 사적인 사랑방격인 전경련을 먼저 해체해야한다. 전경련은 지난 수십년동안 부패한 정치권력과 재벌오너들 사이에 정격유착구조를 통해 형성된 정치자금 거래의 파이프 라인 역할을 하며 한국사회를 상대로해서 시대착오적인 재벌체제의 정당성을 확대재생산 시키는 나팔수 역할을 충실히 해왔다. 이러한 재벌체제를 지지해온 정경유착구조를 지지해온 방씨 족벌의 조선일보도 이번기회에 혁신의 메스를 가해야 한다.







(홍재희) ===== 조선사설은 " 또 평소 노동자들에게 경영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노사갈등의 발생원인을 덜어내고, 활발한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국민들의 사랑을 받는 기업으로 다시 태어나도록 해야 한다.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일보가 기업들에게 그러한 주장을 하기 이전에 방씨 족벌의 조선일보 구사대 역할에 머물고 있는 조선일보 노동조합의 자생력을 길러 조선일보 노동조합이 한국사회로부터 비판받고 있는 방씨 족벌의 친일 반민족 반민주 반 통일의 냉전수구적인 세습사주체제에 대해서 비판적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조선일보 내부의 호루라기를 부는 역할을 조선일보 노동조합이 할 수 있도록 방씨 족벌의 어용집단인 조선일보 노동조합을 바꿔나가야 하고 조선일보 노동조합원들도 방씨 족벌의 사적인 이익이 극대화에 충실하는 구사대 역할에서 하루속히 벗어나야 한다. 조선일보기자들이 변해야 조선일보의 내부혁신이 가능하다.







(홍재희) ======= 조선사설은



" 재계의 이중(二重)적인 태도도 고쳐야 한다. 재계는 경영참여나 이익분배를 요구하는 노조에 대해 선진 자본주의 국가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무리한 요구라고 비난한다. 그러나 정부가 경영투명성 등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요구할 때에는 선진국의 글로벌 스탠더드가 우리 실정에는 맞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런 모순적 태도 때문에 재계가 말로는 ‘기업 하기 좋은 나라’를 내세우지만 속으로는 ‘재벌 하기 좋은 나라’를 꿈꾸는 것 아닌가 하는 의심을 사는 것이다. 재계는 출자총액제한제도, 금융회사 의결권 제한 같은 정부의 시장개혁 조치에 무조건 반대하기보다는 구체적 대안을 제시하면서 공생(共生)의 타협점을 찾는 노력을 보여주어야 한다.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사설은 "재계의 이중(二重)적인 태도도 고쳐야 한다. 재계는 경영참여나 이익분배를 요구하는 노조에 대해 선진 자본주의 국가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무리한 요구라고 비난한다. 그러나 정부가 경영투명성 등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요구할 때에는 선진국의 글로벌 스탠더드가 우리 실정에는 맞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재벌들의 네것은 내것이고 내것도 내것이다 라는 식의 사고방식은 이제 고쳐야 한다. 재벌오너들도 이제 공정경쟁의 룰이 작동되는 한국경제의 일원으로 스스로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탈색시키기 위해서는 발전적으로 재벌을 해체시키며 새로운 역할을 모색해야한다.







(홍재희) ====== 그러한 변화를 재벌들이 추구하지 않는 가운데 펼치는 재벌들의 주장은 한 마디로 얘기해서 재벌들은 살고 중소기업들은 몰락하게 될 수밖에 없다고 본다. 조선일보도 마찬가지라고 본다. 불공정한 신문시시장의 무질서 문제 와 족벌세습소유경영문제 그리고 편집권의 간섭문제 등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면 사유재산침해 운운하며 방어막을 치며 거부하고 있다. 그런 조선일보가 재계의 이중적인 태도를 비판하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조선일보는 조선일보에 대한 언론개혁 차원에서 한국사회가 접근하고 있는 것에 대해 무조건적으로 저항만 할것이 아니라 방씨 족벌체제의 청산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며 미래지향적인 한국사회와의 화해를 시도해야 한다. 그래야 조선일보가 산다.







(홍재희) ====== 조선사설은



" 이런 모순투성이 같은 모습 때문에 요즘 재계는 여론을 선도해나갈 엄두도 내지 못한 채, 일마다 끌려다니며 뒷수습에 전전긍긍하는 모습으로 비치고 있다. 재계의 자기혁신 운동은 반드시 노조나 노조 편향(偏向)의 정부를 의식해서만이 아니다. 이 나라 자본주의의 재생(再生)과 활력 보강, 그리고 나라의 내일을 위해서도 절실한 것이다.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오늘자 조선일보 사설이 결론부분에서 주장하고 있는 내용은 방상훈의 세습족벌사주체제인 조선일보에게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내용이다. 친일 반민족 반 민주 반 통일의 냉전 수구적인 방상훈 세습족벌사주체제의 정체성의 한계와 부정적인 과거전력 때문에 요즘 조선일보는 여론을 선도해나갈 엄두도 내지 못한 채, 한국사회가 변화를 통해 미래로 나아가는 중요한 길목을 만날 때 마다 끌려 다니며 방씨 족벌의 수구정체성에 대한 한국사회의 부정적인 인식을 뒷수습 하느라 전전긍긍하는 모습으로 비치고 있다.







(홍재희) ====== 조선일보의 혁신은 반드시 방씨 족벌이나 조선일보의 구사대 역할로 타락해버린 조선일보 노동조합이나 임원들의 이기적인 생존을 의식해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이나라 정도언론의 재생(再生)과 활력 보강, 그리고 방씨 세습족벌사주체제 없는 조선일보의 건강한 내일을 위해서도 절실한 것이다. 조선일보의 내부개혁을 위해서는 조선일보 평 기자들이 속한 조선일보 구사대 역할을 하고 있는 지금까지의 조선일보 노동조합을 해체하고 새로운 조선일보 노동조합을 결성해 방씨 족벌의 친일 반민족 반민주 반 통일 반사회적인 정체성을 하루속히 털어 내야한다.









(홍재희) ===== 부연한다면 조선일보의 내부개혁은 조선일보 평 기자 들의 역량에 달렸다. 그대들이 하지 못하면 대한민국 사회가 조선일보의 부정적인 정체성을 극복해 나갈 것이다. 전 세계의 투명한 자본주의 시장경제주창자들이 비판하고 있는 한국의 재벌체제 보다도 훨씬 더 불투명하고 반칙시장경제에 오염된 기업집단이 조선일보의 방씨 세습족벌집단이다. 조선일보 사설은 그 점을 직시하지 못하고 재벌들에 대한 훈수조의 사설논조를 이어나가고 있다. 조선일보는 언론개혁세력의 훈수를 듣고 혁신을 해야할 차례가 됐다고 생각하지 않는가? 조선일보부터 자기 혁신 작업이 진행돼야 한다. 그래야 재벌들도 따라 배울 것이 아닌가? 방씨족벌 조선일보는 21세기 한국사회가 추구하는 대변혁을 선도해 나가지는 못할 망정 미래지향적인 한국사회의 발목을 잡는 걸림돌이 돼서는 안된다고 본다. 조선일보 어떻게 생각하나?











[사설] 재계의 자기혁신 운동이 있어야 한다(조선일보 2004년 5월24일자)







재계가 올봄 임단협 협상에서 노조에 밀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의 복귀 후 정부가 다시 친(親)노조로 기울고, 여론 지지를 얻는 경쟁에서도 노동계에 뒤지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는 격렬한 노동운동의 해가 될 가능성이 높다. 사정이 이렇다면 재계는 종전과 다른 모습으로 국민에게 다가서야 하고, 그러한 노력은 재계의 자기혁신 운동으로 시작되어야 한다. 우리보다 먼저 산업화를 이룩하고, 더 격렬한 노동의 시대를 통과했던 선진국에서도 노동운동이 강력했을 때 재계의 혁신운동 또한 강력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우리 국민의 반(反)기업 정서는 현재 OECD 30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다. 일자리를 창출하고 세금을 내 국가경제를 지탱하고 있다고 자부하는 기업인들로선 받아들이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기업들도 그간 편법상속과 족벌경영으로 국민의 반감을 스스로 불러왔다는 점을 되돌아봐야 한다. 이번 대선자금 수사에서 밝혀진 비자금 조성, 정치권에 대한 뇌물 제공 같은 뒷거래도 마찬가지다. 또 평소 노동자들에게 경영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노사갈등의 발생원인을 덜어내고, 활발한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국민들의 사랑을 받는 기업으로 다시 태어나도록 해야 한다.



재계의 이중(二重)적인 태도도 고쳐야 한다. 재계는 경영참여나 이익분배를 요구하는 노조에 대해 선진 자본주의 국가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무리한 요구라고 비난한다. 그러나 정부가 경영투명성 등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요구할 때에는 선진국의 글로벌 스탠더드가 우리 실정에는 맞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런 모순적 태도 때문에 재계가 말로는 ‘기업 하기 좋은 나라’를 내세우지만 속으로는 ‘재벌 하기 좋은 나라’를 꿈꾸는 것 아닌가 하는 의심을 사는 것이다. 재계는 출자총액제한제도, 금융회사 의결권 제한 같은 정부의 시장개혁 조치에 무조건 반대하기보다는 구체적 대안을 제시하면서 공생(共生)의 타협점을 찾는 노력을 보여주어야 한다.



이런 모순투성이 같은 모습 때문에 요즘 재계는 여론을 선도해나갈 엄두도 내지 못한 채, 일마다 끌려다니며 뒷수습에 전전긍긍하는 모습으로 비치고 있다. 재계의 자기혁신 운동은 반드시 노조나 노조 편향(偏向)의 정부를 의식해서만이 아니다. 이 나라 자본주의의 재생(再生)과 활력 보강, 그리고 나라의 내일을 위해서도 절실한 것이다.

입력 : 2004.05.23 18:2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