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품격 커뮤니티  ‘스브스프리미엄’

대중 무역 의존도 심화 문제...

제가 약 2년 전에 대중 무역을 강조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대중 무역 의존도가 너무 높아서 문제라는데... 사실이군요...



그런데... 어쩐지 노무현 대통령이 저에게 시비를 거는것 같아서 말이죠...



한국의 무역 구조에 대해서 한마디만 합니다. 2년 전에는 한국의 대중 무역 의존도가 지금 처럼 높지않았습니다. 충분히 대중 무역에 의존 도를 높일 수 있는 상황이었죠. 지금도 당장 대중 무역 의존도가 높아서 한국 경제가 심각한 문제가 직면하고있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북핵 문제 등의 안보 문제, 노사 관계 안정 성, 그리고 기술 경쟁 력, 대학 경쟁 력 등이 문제죠. 노무현 대통령과 17대 국회... 환상의(?) 조합입니다.



저는 분명히 2년 전에 한국 정부에 (국민의 정부) 대중, 대러 외교를 강화함과 동시에 대중 무역에의 의존도를 늘릴 것을 주문했습니다. 2년 전에는 대중 무역 의존도를 늘리는 정책이 필요했으니까요. 그런데 그것은 2년 전입니다. 만약 중국이 시장 정책에 변화를 모색하고있다면 한국 정부도 그 변화에 대응할 준비를 해야죠. 물론 대중 무역을 포기하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중국의 인구가 몇 명인데 대중 무역을 포기합니까? 말도 안됩니다. 단지 중국의 경제 정책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한다는 말입니다. 중국에서 긴축 정책을 편다면 지금 까지 중국과의 무역에 의존해온 기업들이 중국에만 의존하지말고 새로운 해외 시장 개척을 준비해야한다는 것입니다. 한국 정부의 정책도 기업들이 중국 외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을 실시해야하구요. 문제는 지금 노무현 정권이 자기들 잘못을 감추는데만 급급하고 (재벌들 살리기에 급급하고) 실제로 경제를 살리기 위한 정책에는 아예 관심도 없다는 것이 문제죠.



대미 무역은 어떻냐고요? 미국민들이 지금 어떤 상황인지 아십니까? 부시 행정 부의 감세 정책 때문에 미국민들은 지금 식료 품을 구입하는데 쓰는 비용까지 줄이고있습니다.



이제 저는 노무현 정권을 반대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노무현 정권을 도와줄 생각이 없습니다. 한국 경제를 살려내든, 죽이든 노무현 정권의 책임입니다.



저는 배신자 노무현을 도와줄 생각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