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사설] 이러고도 대학은 자율을 말하나 에 대해서
(홍재희) ====== 방상훈의 세습족벌사주체제인 조선일보 사설은 오늘자 사설을 통해서 "무전기를 사용한 부정시험으로 서울의 11개 대학 편입학 시험에 합격했던 83명이 적발됐다." 라고 전하고 있다. 조선사설은 이어서 " ... 영어 한 과목만으로 합격자를 가렸다는 것만 봐도 대학들이 편입생의 질(質)에는 관심이 없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학생 장사’에나 정신이 팔려 있는 대학들이 그동안 무슨 배짱으로 대학입시를 자율에 맡겨달라고 해왔던 것인지 모를 일이다.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일보가 이들 대학들의 편입학 부정과 관련해서 비판할 염치가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홍재희 )======= 조선일보는 2003년 11월 26일자 사설"교육부는 대학입시에서 손을 떼라" 제하의 사설 결론을 통해 학생 선발에 관한 모든 권한을 대학으로 되넘기라고 촉구했었다. 한번 살펴보자.
『[사설] 교육부는 대학입시에서 손을 떼라
2004학년도 대학 수능시험 문항의 정답시비를 둘러싼 논란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복수정답을 인정한다고 발표하자 이번에는 처음부터 정답을 맞힌 수험생들이 상대적 손해를 입었다며 집단적 행동을 벌일 기세다. 게다가 교육 관련 단체들까지 나서 아예 평가원을 폐지하라고 요구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어느 시험이고 정답 시비는 늘 있어왔다. 해다마 60여만명의 수험생이 인생을 걸고 도전하는 수능시험도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처음 이의가 제기됐을 때 출제기관은 공정하고 투명한 과정을 통해 권위있는 유권해석을 내림으로써 시비를 잠재웠어야 했다. 그런데도 평가원은 지금까지 출제기관으로서 스스로의 권위를 무너뜨리는 일만 해왔다. 학원강사를 출제위원으로 선정하는 것도 모자라 전직 출제위원이 수능비결 책을 쓰게 내버려두면서 교육당국이 권위를 찾는다면 그게 비정상이다. 여기에 정답시비까지 겹쳐 이제는 당국의 말을 액면 그대로 믿었다가는 바보로 취급될 판이 돼 버렸다.
평가원은 그렇다쳐도 교육부는 감독관청이면서 수능출제 관리감독을 어떻게 했기에 이런 일이 벌어지는가. 이러니 처음부터 이 문항의 정답을 써낸 수험생들이 당국의 해명은 들은 채도 않고 집단행동 계획부터 짜는 것이다. 불과 며칠 전 “출제진 검토로는 이상없다”던 당국이 항의하는 쪽의 기세가 험해지고, 세력이 불어가니까 그제야 부산을 떨더니 결국 입장을 바꾸는 것을 보면 누구라도 세(勢)를 모아 압박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 수가 없다.
평가원이 또 다른 시비 대상인 다른 문항에 대해 “문제없다”는 결론을 내렸다지만 수험생과 학부모가 순순히 정부 판정에 따를 것 같지 않다. 옳은 것도 그른 것도 없고, 목소리 큰 쪽, 생떼 쓰는 쪽이 힘을 쓰는 세태가 이번 입시파동에도 고스란히 되비친 듯해 씁쓸하기 그지 없다. 이왕 이렇게 된 바에 교육부는 차라리 수능시험에서 손떼고 학생 선발에 관한 모든 권한을 대학으로 되넘기라는 여론에 귀기울이는게 나을지 모른다.
입력 : 2003.11.25 18:06 19'』
(홍재희) ======= 이렇듯이 2003년11월26일자 조선일보 사설을 통해서
"옳은 것도 그른 것도 없고, 목소리 큰 쪽, 생떼 쓰는 쪽이 힘을 쓰는 세태가 이번 입시파동에도 고스란히 되비친 듯해 씁쓸하기 그지 없다. 이왕 이렇게 된 바에 교육부는 차라리 수능시험에서 손떼고 학생 선발에 관한 모든 권한을 대학으로 되넘기라는 여론에 귀기울이는게 나을지 모른다. "
(홍재희) ===== 라고 안이하고 무책임하게 주장해 놓고 대학의 편입학 선발과정의 비리문제가 제기되자 오늘자 사설을 통해서는 " 이러고도 대학은 자율을 말하나" 제하의 논조를 통해 대학에 자율을 맡길 수 없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조선일보 사설의 앞뒤가 맞지 않는 무책임한 보도태도에 대해서 우리 언론소비자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조선일보를 극복해야 한다. 언론소비자들을 우롱하고 무시하는 논조를 아무렇지도 않게 전달하고 있는 조선일보의 버르장머리를 고쳐 줘야 한다.
[사설] 이러고도 대학은 자율을 말하나(조선일보 2004년 4월24일자)
무전기를 사용한 부정시험으로 서울의 11개 대학 편입학 시험에 합격했던 83명이 적발됐다. 주모자들은 수십 대의 무전기를 사서 현장 예행연습도 했고 응시자와 계약서까지 주고받았다고 하니 기업형 범죄가 따로 없다. 국가고시와 입사시험에 활용되는 토익 시험에서도 같은 수법의 부정행위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편입학 시험을 통해 대학이 결원을 채우는 숫자는 한 해 7만명이 넘는다. 중복 응시를 감안하더라도 수십만 명이 자기 인생을 걸게 되는 관문이 편입시험이다.
이런 편입시험에서 4년간 대규모 부정이 저질러지고 있었는데도 이를 몰랐던 대학들은 어떤 변명으로도 허술한 시험관리의 책임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27명을 뽑는 시험에서 13명이 허리춤에 무전기를 차고 시험을 치러 합격한 경우도 있다는데, 허수아비를 시험 감독이라고 세워놓은 셈이다.
그 같은 일이 벌어진 건 대학들이 편입시험을 통해 좋은 학생을 뽑겠다는 생각을 애당초 갖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저 결원(缺員)을 채워 넣어 등록금만 받으면, 많은 응시자를 받아 전형료 수입만 챙기면 그만이라는 심사였을 것이다. 영어 한 과목만으로 합격자를 가렸다는 것만 봐도 대학들이 편입생의 질(質)에는 관심이 없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학생 장사’에나 정신이 팔려 있는 대학들이 그동안 무슨 배짱으로 대학입시를 자율에 맡겨달라고 해왔던 것인지 모를 일이다.
한 가지 더 주목할 점은 부정시험 주모자들이 편입학 응시자들을 인터넷 사이트에서 끌어모았다는 사실이다. 불과 얼마 전엔 “한탕 하실 분 모입시다”라는 글을 인터넷 카페에 올려 만난 사람들이 강도짓을 하다 붙잡힌 일이 있고, 인터넷 ‘해결사 사이트’에서 만나 청부살인을 준비하던 20대들이 들통난 적도 있다. 집단자살에 원조교제, 그리고 강도·살인과 부정시험에까지 이용되는 인터넷 사이트의 문제를 사회가 심각하게 인식할 때가 되었다.
입력 : 2004.04.23 18:0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