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품격 커뮤니티  ‘스브스프리미엄’

삐걱거리는 열린우리당



당권파·재야파·親盧그룹 ‘코드’ 달라 문성근씨의 分黨論 계기 갈등 공식화

[조선일보 김홍진 기자]문성근 열린우리당 국민참여운동본부장의 ‘총선 후 분당론’을 계기로 열린우리당을 구성하고 있는 ‘3대 세력’의 역학관계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중도 노선에 가까운 정동영 의장 등 당권파, 김근태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한 정통 재야파, 문 본부장·유시민·김원웅 의원 등 친노(親盧)개혁당 세력 등 코드가 다른 세 그룹이 총선 후에도 무난한 협력관계를 유지해나갈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궁금증이다.





노사모 출신인 문 본부장은 최근 인터뷰에서 “열린우리당은 말 그대로 잡탕”이라며 “장기적으로 분당해야 한다”는 말로 당내 갈등을 처음으로 공식화했다. 그의 말은 지난 1월 이후 후보 공천 등 선거 과정을 주도해온 정 의장 체제에 대한 문제 제기였다는 분석이다. ‘보수적’ 인사들을 대거 영입해 당의 선명성이 떨어졌다는 시각으로 이 같은 주장은 유시민 의원 등 당내 개혁당 세력에서도 공통적으로 제기해온 사항이다. 문 본부장 발언에 대해 당 지도부는 ‘소수 의견’으로 치부하며 즉각 진화에 나섰지만 당내에선 “언젠가는 불거질 현실”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유시민 의원은 3일 TV 토론에서 야당의 ‘거여 견제론’ 주장에 대해 “거여(巨與)가 돼도 당내 여러 세력이 있어 자체 견제가 된다”고 말해 당내 노선 차이와 계파의 존재를 시인했다.







3대 세력 간의 입장 차이는 주요 쟁점이 부각될 때마다 이미 부각돼 왔다. 지난 2월 ‘이라크 추가 파병안’에 대해서는 비전투병 파병을 주장하는 김 원내대표 등 정통 재야세력과 여당으로서 정부 파병안을 찬성한 정 의장 등 당권파 그룹 간의 갈등으로 진통이 빚어진것이 대표적인 예다.







이런 세부적인 노선의 차이는 모두 ‘총선 승리’라는 명분과 상황 논리 때문에 봉합됐지만 비례대표 선정 과정에서는 당내 계파의 ‘실력행사’가 처음으로 나오기도 했다. 정 의장 등 지도부가 순위 선정에서 당내 개혁파 세력을 상대적으로 홀대하고 민주당을 탈당한 조성준 의원 등 일부 인사를 당선 안정권에 배치한 데 대해 당내 개혁그룹이 뭉친 것이다.







‘분당론’은 문 본부장 발언 이전에도 당내에서 조심스럽게 거론되곤 했는데, 특히 총선에서의 열린우리당 압승이 예상되면서 탄력이 붙는 분위기였다. 열린우리당이 200석 이상을 차지하는 ‘일당 구도’가 될 경우 당내 생각이 다른 세 그룹이 자연스럽게 분화되지 않겠느냐는 분석이었다. 분당론 자체가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내부 공감대에 의해 일단 봉합되고 있는 상황이나 총선 후에는 다시 현안으로 등장하게 될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김홍진기자 mailer@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