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월드컵 4강 이후 축구열기가 불어 경기장마다 관중이 인산인해를 이뤘다. 그러나 그 열기도 잠시 2개월 후 경기장은 텅 비었다. 지난 대선 과정을 살펴보면 민주당 후보경선 직후 노무현 대세론이 한바탕 뒤 덮었다. 그 열기도 잠시 이회창 대세론이 득세하더니 어느 샌가 정몽준 열기가 휩쓸었다. 마치 유행가 처럼 3개월 주기로 요동 쳤다.
국회의 대통령 탄핵 의결이후 열린당 지지열기가 한반도를 휩싸고 있다. 등 다라 노대통령의 지지도 평가도 잘하고 있다는 비율이 높아졌다. 탄핵 전 30%를 밑돌든 지지율이 탄핵 후 잘하고 있다는 비율이 높아졌으니 아무것도 한 것도 없는데 무엇으로 평가했는지 모를 일이다. 분명한 것은 국민들의 지지가 이성에 의한 냉철한 정책판단과 능력에 의한 평가를 하는 것이 아니라 군중심리와 사회분위기에 좌우된다는 심증을 뒷받침한다.
그럼 4월 총선 결과는 어떻게 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일까?
우리 여.야당의 근간을 살펴보면 여당은 도덕성은 앞서나 정책이 비 현실적이다. 반대로 야당은 정책은 현실적이나 도덕성이 뒤진다. 아마 두 당의 장점만 합쳐놓으면 더 바랄 것이 없겠다. 야당은 차떼기 정당으로 시작된 국민의 불신이 서청원 의원 석방 안 가결로 돌아올 수 없는 다리를 건너버린 느낌이다. 야당이 천막당사로 옮겨 안간힘을 솟고 있으나 다시 승리를 안겨준다면 기고만장 우리사회의 개혁은 지체될 것이다. 반대로 여당이 승리하면 외교상 중대한 문제에 봉착할 수 있다. 현 여당의 역학구도를 볼 때 노대통령의 당 장악력은 현저히 줄어들 것이다. 국회의원 개인 목소리가 크질 수 밖에 없다. 아마 미국이 현 노무현정권을 반미정권으로 인식하고 있는데다 국회까지 여당이 장악하면 우리국민의 정서가 완전히 반미로 돌아섰다고 인식할 것이다. 미국으로서는 한국과 노정권 길들이기를 노골화 할지도 모른다. 아마 치욕적인 굴욕을 강요하는 사태가 벌어져 반미시위로 사회가 들 끌을 수 있다. 우리는 지하자원이 전무하여 수출에 경제를 의지할 수 밖에 없다. 그런 관계로 우리의 제1의 무역 상대국인 미국과의 긴밀한 관계는 절실하다. 자칫 국수주의가 판쳐 경제가 어려워질 수가 있다. 그렇고 보면 이번 4.15총선은 여.야가 균형을 이루고 민주당이 선택권을 행사하는 구도가 가장 적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