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동 소년
동작동국군묘지(1956년 음력 4월 그믐날 상경)
묘지는 묘지인데 무덤이 하나도 보이지 않았습니다.轅?nbsp;곱게 식목한 나무들은 아직 어려서 7살 소년의 키보다도 작았습니다. 광장 안쪽 끝에 있는 다리를 건너간 허허벌판에 군용 천막을 치고 살았습니다. 해가 중천을 향하여 떠오르면서 천막이 달구어지면 천막 아래에서 놀 수가 없는 소년은 그늘을 찿아다녔습니다. 다리 밑에 가면 돌이 많아서 재미없고,벌판 아래쪽으로 한참 내려가면 시퍼런 강물이 서서히 흐르는 강에 이르게 되는데 너무나 가파른 언덕 위의 큰 수양버들 그늘에 앉아서 뱃놀이하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재미는 조금 있는데 해빛이 숭숭 버들가지 사이로 들어오는 바람에 영 성이 차지 않고 게다가 잠실 쪽으로 트럭이라도 어쩌다가 지나가게 되면 후딱 일어나도 신작로의 먼지를 뒤집어 쓰는 바람에 영판 재미가 없었습니다.그러다보니 그래도 늘 찿아가게 된 그늘로 갔습니다.어떨 때는 그 다리 위로 걸어가고 있는 소년에게 일하고 있던 인부들 중의 한분이 <거기 가지마라.귀신 나온다.>라고 해도 아랑곳하지 않고 갔습니다.귀신이 무언지도 몰랐고 귀신이 나오는 것을 본 적이 있을 정도로 영리하지 않아서였는지,하옇든 그림자도 얼씬거리지 않는 2살 많은 누나가 먼 곳에서 <저녁 먹어라...>라고 할 때까지....
텅 빈 광장에는 유일한 건물이 있었습니다. 2~3층 높이의,샛빨간 칠을 한 ,창문조차 한개도 없는,직육면체의 건물이었습니다.그 건물 그늘에서 혼자 땅따먹기도 하고 가이생도 하고 비석치기도 하고 하는 등,재미있게 놀았습니다.때로는 지나가던 군인 아저씨가 주는 건빵을 먹기도 하고 때로는 누워서 잤습니다. 그렇게 한여름을 보냈습니다; 그 큰 건물의 문은 좀처럼 열지 않아씁니다.흑석동쪽 산 아래에 있는 사무실에서 손님과 군인 아저씨가 광장을 가로질러 왔을 때만 주로 열었습니다.손님 중에는 신사복을,흰 두루마기를 입은 분도 있었고,나들이옷이나 소복을 입은 분도 있었습니다;문이 열립니다.백열등이 켜지고 사람들이 들어갑니다.그 안에는 무언가가 높다랗게 차곡차곡 하나가득 쌓여 있습니다.때로는 군인아저씨가 높다란 사다리 끝까지 올라가기도 하는 등하여 똑같이 생긴 물건을 손님에게 갖다줍니다.대체 무슨 물건인 것인지,그것을 받아 가지고 가슴에 안고 웁니다.오열통곡을 합니다.너무나도 슬프게 웁니다.(10만에 달하는 생이별하여 죽도록 보고싶어도 이미 유골이 되어 볼 수 없는 영령들도 모두 함께 웁니다) 문에 선 채로 멍하게 바라보는 소년의 눈에도 눈물이 글썽글썽합니다.문만 열렸다하면 눈물 바다가 되니, 도대체 알 수가 없었습니다.고개를 갸웃둥해봐도 안되고 일하는 인부 아저씨한테 여쭈어 보아도 가르쳐주지 않았고 할머니도 가르쳐 주지 않았습니다.노상 그 그늘에 가서 노는 줄 아는 분들이고 어느 사이엔가 ,다른 곳에서 노는 것이 보이면 <다른 데 가서 놀아라 .더위 먹을라,>라고 하게 된 것이었습니다. 세월이 가면서 차차 그 눈물의 의미를 알게 되고 알고나면 또다시 어떤 의문이 생겨 가지고 그것을 풀려고 고민하게 되는 길로 가게 될 수밖에 없었나 봅니다.아직 문제를 다 풀지도 못하고 주저앉으면,.. 소년에게는 중학과정 청구상업고등공민학교 졸업장밖에 없습니다. 무학교회의 공민학교1,3학년 수학. 무학국민학교4,5.6학년 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