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품격 커뮤니티  ‘스브스프리미엄’

조선 [사설] 全敎組는 방향을 새로 잡아야 한다 에 대해서

조선 [사설] 全敎組는 방향을 새로 잡아야 한다 에 대해서





(홍재희) ====== 친일 반민족 반민주 반 통일의 냉전 수구적인 방상훈 세습족벌사주체제인 조선일보 사설은





“ 전교조 11대 위원장 선거에서 선출된 이수일 당선자가 기자회견에서 “합리적인 대안을 내세울 것이며 직접 투쟁에 앞서서 여론의 지지를 받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선거과정에서도 “조합원이 줄어들고 있고, 분회장·지회장 되기를 꺼려하며, 전교조에 대한 박수 소리가 작아졌다”면서 전교조가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교육부가 집계한 지난 9월의 전교조 조합원 숫자는 8만8001명이다. 이것은 2003년 9월(9만703명)에 비해 1년 만에 2702명이 줄어든 것으로 조합원 감소는 처음 있는 일이다.“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전교조가 초 . 중 . 교교 교육의 일선에서 교육개혁을 위해 노력한 보람이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실은 조선일보의 전교조에 대한 마녀사냥식의 일방적인 매도가 잘못됐다는 것일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새로운 전교조회장에 당선된 이수일씨가 전교조의 역할과 관련해서 “직접 투쟁에 앞서서 여론의 지지를 받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한 것은 전교조의 역할이 처음 태동 했던 초창기의 권위주의적인 정권의 가혹한 탄압 이라는 열악한 재야교육단체의 활동환경에서 벗어나 이제 명실상부한 제도권 일선 교육단체의 책임있는 행위당사자로서의 입지에 적합한 성숙한 역할을 하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조선사설은





“ 조합원만 빠져나가고 있는 것은 아니다. 교장과 전교조 교사 간에 발생한 다툼의 진상을 조사하러 일선학교를 찾아간 전교조 지회 사람들이 교장 편에 선 일반교사들의 면박을 받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학부모들은 전교조 교사가 자녀의 담임을 맡으면 무슨 숙제를 내줬나 뒤져보며 아이가 의식화 교육을 받는 것은 아닌지 걱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 전교조가 교사들로부터, 또 학부모들로부터 외면받게 된 원인은 ‘특권집단화’한 행동과 교육의 근본정신을 저버린 이념교육 때문이다.교원노조의 역사가 50년을 넘는 일본교직원조합(日敎組)도 ‘반대·분쇄·저지’의 투쟁으로 일관하다가 50년대 85%이던 가입률이 지금은 30%로 주저앉았다.”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사설은 전교조 교사들의 역할에 대해서 왜곡된 내용으로 독자들을 기만하고 있다. 학교내에서 전교조 교사들이 교장과의 사이에 학내교육환경 개혁문제를 놓고 벌이는 문제는 양시양비론으로 접근해 단순한 다툼의 성격으로 매도해서는 안 된다.조선사설은 전교조교사들이 학부모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고 거짓말하고 있다.





(홍재희) ===== 조선일보는 기억하는가? 교육정보화 시스템 구축작업인 NEIS 와 관련해서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프라이버시침해나 인권침해 소지가 다분히 있는 문제점들을 지적해 보호장치를 마련해서 보완 실시하도록 한 역할은 언론인 조선일보가 하지못한 것을 전교조가 교육계 내부의 호루라기를 부는 방법으로 개선시켜 놓지 않았는가?





(홍재희) ===== 조선일보는 기억하는가? 전교조가 지난 여름 연 . 고대와 이화여대등의 강남권 고등학교 학생들에 대한 대학 수시모집과정에서 보여준 특혜입학문제를 쟁점화해서 비강남권 고교생들을 차별한 비교육적인 입시관행의 문제를 바로잡아 전국의 학부모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던 것을 조선일보는 간과하고 있다.







(홍재희) ===== 전교조 교사들이 지향하는 고교평준화 교육에 대해서도 조선일보는 ‘특권집단화’한 행동과 교육의 근본정신을 저버린 사회주의적인 평등이념교육 으로 매도했었다. 그러나 전교조 교사들이 지향하고 있는 고교평준화 교육을 받은 한국의 고 1 학생들이 OECD가 실시한 네 분야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국제평가에서 높은 성적으로 상위를 차지하는 등의 성과를 올리고 있는 것을 보면 조선사설의 주장이 얼마나 허구인가를 잘알수 있다.







(홍재희) ====== OECD의 2003년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비사2003)의 실무책임자인 베르나르 위고(57) 경제협력기구 교육국 부국장은 한국의 평준화 정책이 효과적이었다고 평가하고 있는 것에서 잘 나타나고 있듯이 조선일보가 지금까지 사회주의적인 평등교육이라고 매도했던 전교조가 지향해온 고교평준화 교육이 강력한 교육의 국제경쟁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 이번에 국제적으로 검증됐다. 조선일보는 이런데도 전교조 교사들이 지향하는 고교평준화교육이 경쟁력 없는 사회주의적 평등이념에서 비롯된 가운데 학생들 실력을 하향평준화 시키는 잘못된 교육이라고 매도할수 있는가? 조선 사설 어떻게 생각하나?







(홍재희) ===== 조선사설은 “ 교원노조의 역사가 50년을 넘는 일본교직원조합(日敎組)도 ‘반대·분쇄·저지’의 투쟁으로 일관하다가 50년대 85%이던 가입률이 지금은 30%로 주저앉았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일보식의 전형적인 아전인수이다. 일본교직원조합(日敎組)이 ‘반대·분쇄·저지’의 투쟁으로 일관했기 때문에 50년대 85%이던 가입률이 지금은 30%로 주저앉았다고 보는 것은 일본의 교육현실에 대한 조선사설의 무지에서 비롯된 단견이다. 일본교직원조합(日敎組)의 가입률이 초창기 보다 떨어지고 있는 현상은 초창기에 제기됐던 일본의 교육문제들이 많이 해결됐기 때문에 그만큼 일본교직원조합(日敎組)의 조직과 역할이 자연스럽게 축소되고 동시에 교사들의 가입율도 떨어질 수밖에 없는 일본의 교육현실을 조선사설은 왜곡하고 있다.





조선사설은





“ 무엇보다 전교조는 교육 본연의 문제로 돌아가야 한다. 전교조는 지난달 말 배포한 계기수업(교과과정에는 없는, 사회 현안에 대해 가르치는 수업) 자료를 통해 국가보안법을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도록 했다.교사들이 아직 성숙한 판단력을 지니지 못한 학생들에게 특정한 정파의 입장이나 이념을 주입시키는 것은 일종의 ‘교육폭력’이다. 교실 수업이라면 사회가 합의한 수준의 검정(檢定)된 교과과정을 가르치는 데 충실해야 하는 것이다. ‘악법 바꿔 세상을 바꾸자’는 자극적인 자료로 교실에서 의식화 수업을 계속 한다면 전교조에 대한 국민의 외면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일보는 학생들에게 국가보안법을 폐지해야한다고 교사들이 가르치는 것을 이념을 주입시키는 ‘교육폭력’ 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렇다면 조선일보가 지금부터 50여년 전인 1948년 12월에 국가보안법에 반대한다고 전국민을 상대로 천명한 것은 대한민국 국민들에 대한 조선일보의 ‘교육폭력’이 아니었을까? 조선일보에게 묻겠다. 국가보안법은 대한민국의 학생들이 배우고 있는 자유와 민주주의 그리고 인권과 정면으로 배치되고 있는 가치관이자 야만적인 악법이다.







(홍재희) ===== 조선일보의 주장대로 접근한다면 전 세계 모든 문명국가들과 국제사회가 야만적이고 반민주적인 악법인 국가보안법을 폐지하라고 촉구하고 있는 지구촌 시대에 조선일보가 존속을 원하고 있는 국가보안법을 보호하는 반민주 적이고 반인권적이며 문명에 반대되는 야만적인 국가보안법을 보호하는 악법보존 교육을 미래를 짊어지고 나아갈 학생들에게 교육시켜야 한다는 말인가?





(홍재희) ====== 민주주의 발전에 백해무익한 악법은 없애서 자라나는 학생들이 악법에 상처받지 않고 21세기의 지구촌 주역으로 민주적 가치질서 속에서 건강하게 성장할수 있는 교육적 토양을 만들어 주기위해서 당연히 민주시민교육의 관점에서 국가보안법 폐지를 주제로 한 전교조 교사들의 학생들에 대한 민주가치보호교육은 실사구시적으로 대단히 큰 교육적 성과를 거둘수 있다고 본다. 전교조 교사들의 국가보안법 폐지교육은 그런 측면에서 접근해 볼때 매우 의미가 있다.









[사설] 全敎組는 방향을 새로 잡아야 한다(조선일보 2004년 12월14일자)





전교조 11대 위원장 선거에서 선출된 이수일 당선자가 기자회견에서 “합리적인 대안을 내세울 것이며 직접 투쟁에 앞서서 여론의 지지를 받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선거과정에서도 “조합원이 줄어들고 있고, 분회장·지회장 되기를 꺼려하며, 전교조에 대한 박수 소리가 작아졌다”면서 전교조가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육부가 집계한 지난 9월의 전교조 조합원 숫자는 8만8001명이다. 이것은 2003년 9월(9만703명)에 비해 1년 만에 2702명이 줄어든 것으로 조합원 감소는 처음 있는 일이다.



조합원만 빠져나가고 있는 것은 아니다. 교장과 전교조 교사 간에 발생한 다툼의 진상을 조사하러 일선학교를 찾아간 전교조 지회 사람들이 교장 편에 선 일반교사들의 면박을 받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학부모들은 전교조 교사가 자녀의 담임을 맡으면 무슨 숙제를 내줬나 뒤져보며 아이가 의식화 교육을 받는 것은 아닌지 걱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 전교조가 교사들로부터, 또 학부모들로부터 외면받게 된 원인은 ‘특권집단화’한 행동과 교육의 근본정신을 저버린 이념교육 때문이다.



교원노조의 역사가 50년을 넘는 일본교직원조합(日敎組)도 ‘반대·분쇄·저지’의 투쟁으로 일관하다가 50년대 85%이던 가입률이 지금은 30%로 주저앉았다.



무엇보다 전교조는 교육 본연의 문제로 돌아가야 한다. 전교조는 지난달 말 배포한 계기수업(교과과정에는 없는, 사회 현안에 대해 가르치는 수업) 자료를 통해 국가보안법을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도록 했다.



교사들이 아직 성숙한 판단력을 지니지 못한 학생들에게 특정한 정파의 입장이나 이념을 주입시키는 것은 일종의 ‘교육폭력’이다. 교실 수업이라면 사회가 합의한 수준의 검정(檢定)된 교과과정을 가르치는 데 충실해야 하는 것이다. ‘악법 바꿔 세상을 바꾸자’는 자극적인 자료로 교실에서 의식화 수업을 계속 한다면 전교조에 대한 국민의 외면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



입력 : 2004.12.13 18:53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