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사설] 金九선생이 여당 날치기를 칭찬했다니 에 대해서
(홍재희) ===== 친일 반민족 반민주 반 통일의 냉전 수구적인 방상훈 세습족벌사주체제인 조선일보 사설은
“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국회 법사위에서 국가보안법 폐지안을 날치기 상정한 일을 두고 “17대 국회에서 제일 잘한 일”이라고 자랑스러워했다고 한다. 국민들은 화면을 통해 여당이 날치기를 하면서 의사봉 대신 국회법 책자로 책상을 두드리는 모습을 지켜보며 우리는 여태 이 지경이구나 하고 부끄러워했다. 더욱이 날치기의 주역이 입에 ‘개혁’을 달고 다니며 옛 정치를 구태(舊態)라고 배격하던 열린우리당인 것을 보고 혀를 찼다. 국민의 의식과 여당의 의식 차이가 이 정도인가 하는 한숨이 절로 새어 나온다.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일보는 지금 거짓말을 하고 있다. 무엇을 날치기 했다는 말인가? 대한민국 국회에서 열린 우리당과 민주노동당이 국가보안법폐지를 위해 합법적인 절차에 의해서 폐지안을 상정한 것이 어째서 날치기란 말인가? 국가보안법을 폐지하든 존속하든 일단 논의하고 토론하기 위해 대화와 타협의 장인 국회에 법안이 상정되는 것 조차 물리력으로 막아온 한나라당이야말로 민주국가의 정당 자격이 없는 것이다. 조선사설의 주장과는 정반대로 열린우리당 의원들이 국회 법사위에서 국가보안법 폐지안을 상정하기 위해 필요한 의사봉을 몰래 날치기해간 한나라당의 구태(舊態)야 말로 한숨이 저절로 나오게 하고 있다. 국가보안법이야말로 개혁 그 자체이고 국가보안법 폐지유보야 말로 사이비 개혁이라고 볼수 있다.
조선사설은
“의원총회에서 한 초선의원은 보안법 날치기 상정이 “친일 분단 반민주독재세력을 한편으로 하고 우리가 민족 통일 민주화세력이라고 하는 점을 다시 보여준 것”이라면서 “신채호 선생이, 문익환 선생이 ‘잘했어’라고 하는 소리를 제가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자 또 다른 초선의원은 “김구 선생이 ‘잘했어’라고 했다”고 맞장구쳤다. 여당이 수시로 살아 있는 어른을 욕보이는 모습은 보아왔으나, 이제 돌아가신 어른들까지 끌어내 창피를 주다니 참으로 아연한 일이다.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열린 우리당의 보안법 상정은 문제될것이 없다. 합리적 절차와 방법에 따라 폐지안을 상정 시키기위한 노력은 입법부인 국회의 고유권한이기 때문이다. 신채호 선생. 문익환 선생. 그리고 김구 선생에 대해서 조선사설이 감히 거론할 자격은 없다고 본다. 신채호 선생. 문익환 선생. 그리고“김구 선생이 조국의 광복과 민주화를 위해 일신의 영달을 포기하고 온몸을 던져 애국애족과 민주화에 기여하고 있을때 조선일보 방씨 족벌체제는 민족을 배반하고 일제 식민지에 아부하며 민족혼이 담긴 우리의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는 한글로 된 민족반역의 친일매국적 논조를 통해 일제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 했다. 방씨족벌 조선일보는 문익환 선생이 한국의 민주화와 민족통합을 위해 몸던져 헌신하고 있을때 독재정치와 야합하고 남북의 적대적 공존을 부추겼다. 그런 조선일보가 감히 신채호 선생. 문익환 선생. 그리고“김구 선생을 거론하고 있는가?
(홍재희) ===== 조국광복과 민족의 독립운동가들을 악랄하게 탄압하는 도구였던 일제 식민지의 치안유지법폐지를 그대로 원용해 만든 국가보안법을 폐지하기위해 상정했다면 신채호 선생이나 김구선생이 지하에서나마 반색을 하고 반겨할 일이다. 민주화 운동을 용공조작하는데 악용돼온 국가보안법의 폐지를 전제로 한 법안 상정이 현실화 된 것을 보면 민주화에 기여한 문익환 선생도 지하에서나마 반겨줄 것이다. 국가보안법폐지법안의 상정조차 반대하고 있는 한나라당과 방씨 족벌조선일보야 말로 어른들을 두 번 죽이는 것이나 다름없다.
조선사설은
“ 보안법 폐지는 국민 다수가 반대하고 있다. 왜 이렇게 이 일을 서두르는지도 이해하지 못한다. 권력을 잡고 나라를 좌지우지하는 집권당이 무슨 반(反)독재투쟁이라도 하는 양 위세를 부리면서 독재 시절의 상습 수법인 날치기까지 동원하는 걸 보면, 열린우리당의 ‘개혁’이란 게 뭔지를 알 것 같다. 물론 법안의 상정 자체를 막는 것은 민주적인 태도가 아니다. 그러나 열린우리당이 보안법 폐지에 반대하는 국민들로부터 동의를 얻기 위해 지금껏 무슨 노력을 했는지를 되돌아봐야 한다. 당내에서조차 “국민 동의를 받아야 한다” “이게 소수여당 때 우리가 당했던 설움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지 않은가.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일보가 집권당에게 “독재 시절의 상습 수법인 날치기” 운운하는 것이야말로 전혀 설득력이 없다. 조선일보는 개혁적인 법안인 국가보안법 폐지안 상정을 물리력으로 막은 한나라당 이야말로 2004년 한국사회가 지향하고 있는 변화와 개혁을 거부하며 계속 날치기해 가고 있고 그런 한나라당의 행태는 전형적인 수구정치의 전형이라고 볼수 있다. 조선사설은 “ 보안법 폐지는 국민 다수가 반대하고 있다.” 라고 주장하며 그런 이유를 들어 국가보안법폐지를 서두른 다고 반대하고 있다.
(홍재희) ====== 지금 국가보안법 폐지안을 상정하는 것은 조선일보의 주장대로 서두르는 것이 절대로 아니다. 국가보안법폐지를 전제로 한 법안 상정을 하는데 무려 56년이라는 긴세월을 필요로 했다. 조선일보 주장대로 라면 대한민국의 총체적인 국가경쟁력을 약화 시키고 있는 국가보안법에 대한 폐지를 국민들이 반대 한다고 해서 보호해 줘야할 가치가 국가보안법에는 없다.
(홍재희) ====== 한나라당은 다수여당일때 각종 수구악법을 날치기처리 하는데 기여했다. 그런 한나라당이 이제 한국사회의 각종 개혁작업을 계속해서 날치기 해가고 있다. 조선일보는 국가보안법과 민주주의 가 양립할 수 있다고 보는가? 조선일보는 국가보안법이라는 냉전 수구적인 가시에 찔린 한국의 민주주의가 지난 반세기 이상 동안 야만적인 상처를 입고 지금 국제사회의 질시의 대상으로 전락하고 있는 현실을 극복해 나가야 한다.
조선사설은
“ 천정배 원내대표가 보안법의 연내 처리를 유보하고 여야 대화로 돌아선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국민 10명 중 7명 이상이 4개 법안만큼은 여야 합의로 처리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열린우리당은 그 국민의 뜻을 끝내 우습게 볼 것인가.”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천정배 원내대표와 열린 우리당 지도부가 기회주의적인 현실 정치적 호불호에 다라 국가보안법에 대한 폐지문제를 유보시킨 것은 대단히 잘못됐다. 열린 우리당은 한국사회에서 갈등만을 증폭시키며 국론을 분열시키고 있는 백해무익한 국가보안법을 폐지해야한다. 열린 우리당은 이제 그 수명을 다한 권위주의 독재정권시절의 국가보안법 폐지에 적극 나서야 한다. 조선사설은 “ 국민 10명 중 7명 이상이 4개 법안만큼은 여야 합의로 처리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 라고 주장하고 있다. 대한민국 의 국회에서 한나라당 만이 야당의 역할을 하고있는 것이 아니다. 민주노동당도 야당이고 민주당도 야당이다. 이런 야당들과 열린 우리당이 국가보안법의 폐지를 적극 추진해 나가야 한다.
[사설] 金九선생이 여당 날치기를 칭찬했다니조선일보12월8일자)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국회 법사위에서 국가보안법 폐지안을 날치기 상정한 일을 두고 “17대 국회에서 제일 잘한 일”이라고 자랑스러워했다고 한다. 국민들은 화면을 통해 여당이 날치기를 하면서 의사봉 대신 국회법 책자로 책상을 두드리는 모습을 지켜보며 우리는 여태 이 지경이구나 하고 부끄러워했다. 더욱이 날치기의 주역이 입에 ‘개혁’을 달고 다니며 옛 정치를 구태(舊態)라고 배격하던 열린우리당인 것을 보고 혀를 찼다. 국민의 의식과 여당의 의식 차이가 이 정도인가 하는 한숨이 절로 새어 나온다.
의원총회에서 한 초선의원은 보안법 날치기 상정이 “친일 분단 반민주독재세력을 한편으로 하고 우리가 민족 통일 민주화세력이라고 하는 점을 다시 보여준 것”이라면서 “신채호 선생이, 문익환 선생이 ‘잘했어’라고 하는 소리를 제가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자 또 다른 초선의원은 “김구 선생이 ‘잘했어’라고 했다”고 맞장구쳤다. 여당이 수시로 살아 있는 어른을 욕보이는 모습은 보아왔으나, 이제 돌아가신 어른들까지 끌어내 창피를 주다니 참으로 아연한 일이다.
보안법 폐지는 국민 다수가 반대하고 있다. 왜 이렇게 이 일을 서두르는지도 이해하지 못한다. 권력을 잡고 나라를 좌지우지하는 집권당이 무슨 반(反)독재투쟁이라도 하는 양 위세를 부리면서 독재 시절의 상습 수법인 날치기까지 동원하는 걸 보면, 열린우리당의 ‘개혁’이란 게 뭔지를 알 것 같다. 물론 법안의 상정 자체를 막는 것은 민주적인 태도가 아니다. 그러나 열린우리당이 보안법 폐지에 반대하는 국민들로부터 동의를 얻기 위해 지금껏 무슨 노력을 했는지를 되돌아봐야 한다. 당내에서조차 “국민 동의를 받아야 한다” “이게 소수여당 때 우리가 당했던 설움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지 않은가.
천정배 원내대표가 보안법의 연내 처리를 유보하고 여야 대화로 돌아선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국민 10명 중 7명 이상이 4개 법안만큼은 여야 합의로 처리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열린우리당은 그 국민의 뜻을 끝내 우습게 볼 것인가. 입력 : 2004.12.07 17:51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