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사설] 외교부, 거짓말 않겠다는 약속부터 해야 에 대해서
(홍재희) ====== 친일 반민족 반민주 반통일의 냉전 수구적인 방상훈 세습족벌사주체제인 조선일보 사설은
“ 외교통상부가 기자들의 사무실 출입을 전면 금지시켰다. 한 기자가 우연히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과 관련된 당국자의 전화 통화를 듣고 기사화한 것을 문제 삼아 취해진 조치다. 민감한 외교·안보 문제를 다루는 외교부 일의 특성상 기자라고 해서 청사 이곳저곳을 마음대로 드나들 수는 없다. 그렇더라도 이번 조치는 발단부터 잘못돼 진행 과정조차 본말(本末)이 뒤집힌 것이다.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사설이 “ 민감한 외교·안보 문제를 다루는 외교부 일의 특성상 기자라고 해서 청사 이곳저곳을 마음대로 드나들 수는 없다. ” 라고 주장하는 논리대로 접근 한다면 외교통상부가 기자들의 사무실 출입을 전면 금지시켰다.는 것에 대해서 조선일보가 비판해서는 안된다 . 외교통상부가 보완을 허술하게 한 문제 때문에 또 다른 측면에서 조선일보가 주장하고 있는 논리대로 접근한다면 기자가 마음대로 드나들 수 없는곳을 마음대로 드나든 것에 대한 잘못을 정당화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안 그런가?
조선사설은
“ 우선 이번에 문제 삼은 ‘미군이 전술지휘통제(C4I) 현대화 비용을 한국측에 부담해 달라고 요청했다’는 보도가 ‘국익을 해치는 보도’라고 보기 어렵다. 결국 국민 세금으로 돌아갈 일이니 만큼 당연히 국민이 알아야 할 사항이다. 이번 보도가 아니었더라면 외교부는 이번에도 입을 꼭 다물고 국민 뒤편에서 일을 진행했을 것이다. 그런데 이걸 이유로 기자들의 사무실 출입을 전면 금지시킨 것은 못마땅한 언론의 취재를 막고 정부가 주는 정보만 쓰게 만들려는 의도로밖에 읽을 수 없다.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사설은 “ 우선 이번에 문제 삼은 ‘미군이 전술지휘통제(C4I) 현대화 비용을 한국측에 부담해 달라고 요청했다’는 보도가 ‘국익을 해치는 보도’라고 보기 어렵다. 결국 국민 세금으로 돌아갈 일이니 만큼 당연히 국민이 알아야 할 사항이다.”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사설은 ‘미군이 전술지휘통제(C4I) 현대화 비용을 한국측에 부담해 달라고 요청했다’는 사실에 대해서 우리국민들의 부담을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 미국의 무리한 요구에 대해서 조선일보가 공론화해 한국이 부담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문제를 제기하며 국민들 부담을 덜어주려는 의도로 보도하는 것이 아닌 무비판적으로 수용해 우리국민들 세금을 부담해야 한다는 조선일보의 주장대로 접근한다면 ‘미군이 전술지휘통제(C4I) 현대화 비용을 한국측에 부담해 달라고 요청했다’는 보도를 했다고 해서 국익에 도움이 될 것은 하나도 없다. 그런 측면에서 접근해 본다면 조선일보는 이 문제를 쉬쉬하고 있었던 외교부 못지않게 비판받아야 한다. 차이가 있다면 외교부는 쉬쉬하면서 국민적 부담을 전제로 하고 있고 방씨 족벌조선일보는 국민들에게 알리는 가운데 국민적 부담을 기정사실화 하고 있는 차이일 뿐이다, 그런 언론의 역할이라면 국익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조선사설은
“ 외교부는 취재 통제에 앞서 정부와 국민과 언론 간의 바람직한 관계 정립을 위해 자신들이 할 일은 제대로 했는지부터 스스로 물었어야 했다. 지금 외교부 차관은 작년에 “기자들의 사무실 출입은 없어져야 한다. 지금은 기자들에게 술 사주고 하는 것이 공보관의 역할”이라고 대통령의 부정적 언론관에 박자를 맞춰 칭찬을 들었던 사람이다. 그는 취임하자마자 “장관과 대변인이 번갈아 매일 한 차례씩 브리핑을 하고 각 국(局) 심의관 한 명을 언론담당관으로 지정해 24시간 언론에 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었다. 모두가 공수표(空手票)로 끝났다.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사설이 외교통상부가 기자들의 사무실 출입을 전면 금지시킨 문제 때문에 “기자들의 사무실 출입은 없어져야 한다. 지금은 기자들에게 술 사주고 하는 것이 공보관의 역할”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을 정당화 해서는 안된다. 정부와 언론은 술 좌석에서 마주앉아 공생공존하며 호형호제하는 유착관계보다는 상호 건강한 긴장과 비판의 공존관계여야 한다.
조선사설은
“ 외교부 브리핑은 정직과 성실면에서 이미 여러 차례 낙제점을 받았다. 고(故)김선일씨 사건에서 AP와 전화통화를 했느냐 아니냐를 놓고 “그런 사실 없다”고 부인했다가 국제적 망신까지 당했다. 간도협약 관련 보도나 중국의 탈북자 강제북송에 대해서도 결과적으로 사실과 다른 정보로 국민을 오도했다. 외교부는 엉뚱한 일을 벌이기에 앞서 최소한 앞으로 거짓말은 하지 않겠다는 서약서 먼저 쓰고 볼 일이다.“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외교부의 언론관에 문제가 있다면 비판받아야 한다. 특히 국민들의 알 권리를 저해하는 경직된 언론관이 있다면 당연히 시정돼야 한다. 그러나 조선일보가 외교부의 언론관에 대해서 비판하고 있는 것과 같이 조선일보 스스로는 사실과 다른 보도를 통해 국민들과 독자들을 오도한 측면은 없었는지 묻지 않을수 없다. 조선일보는 북한 양강도에서 폭발흔적이 발견됐을때에도 확인되지않은 추론을 통해 “ 북한 양강도 김형직군에서 지난 9일 대규모 폭발이 있었던 사실이 알려졌다. 일단 핵 실험은 아닌 것으로 보이지만 중국과 접한 해발 1500m 산림지대로 민간인이 거의 없고 주변에 미사일 기지와 군수공장 등이 산재된 곳이라는 점에서 군사적인 용도와 관련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폭발 규모도 지난 4월 용천역 폭발보다 더 크다고 한다. 직경 3㎞가 넘는 버섯구름이 관측된 사실이 전해지면서 “핵 실험과 관련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될 정도다. 북한 내 반(反)체제 세력의 활동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일본 언론은 “핵 관련 가능성이 짙다”고 보도하고 있다.““ 라고 했었다. 조선일보의 왜곡은 이밖에도 이루 헤아일수 없이 많다. 조선일보가 과거에 독재정권과 유착을 통해 국민들을 오도하고 국제사회에 망신살을 뻗히는 파렴치한 반민족적이고 반인권적인 보도행태를 보여 준 것 또한 비일비재 하다.
(홍재희) ===== 그런 조선일보가 노무현 정권 등장이후에 더 이상 조선일보와 정부의 유착관계가 불가능하자 그동안 정부로부터 고급정보를 받아 특종?을 하던 언론권력인 방씨 족벌의 기득권과 조선일보의 영향력도 급격하게 약화되고 있다. 이런 현상이 정상이다. 그런 과정에서 외교부가 파생시키고 있는 대언론관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비판받아야 하지만 지금까지 수를 헤아릴수도 없이 수많은 거짓과 기만과 위선의 반민족 반민주 반통일 반인권 반 언론자유의 논조를 마치 조선일보의 상징처럼 지니고 지난 70여년을 조선일보가 이어져 왔다는 사실을 우리는 간과해서는 안된다.
(홍재희) ====== 조선일보의 방씨 족벌세습사주체제는 친일 반민족범죄행위와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정치집단을 구국의 결단으로 미화하며 국민들을 오도하는 반민주 친유신의 행위 그리고 남북의 적대적 공존체제를 부추기며 보여준 반통일적인 행태와 반인권적인 행태 그리고 언론자유를 스스로 유린한 거짓과 기만과 배신의 역사로 점철된 조선일보의 냉전 수구적이고 시대착오적인 정체성을 미화하며 민족정론지라고 거짓말하고 있는 행태를 보여주면서 어떻게 외교부에 대해 조선사설이 거짓말 하지 말라고 약속하라 강요할수 있는가? 조선일보보터 민족과 국민들과 사회공동체를 상대로 지난 70여년 동안 공개적으로 해온 조선일보가 민족정론지라는 거짓말부터 스스로 바로잡아야 한다. 조선일보 안 그런가?
[사설] 외교부, 거짓말 않겠다는 약속부터 해야 (조선일보 2004년 11월3일자)
외교통상부가 기자들의 사무실 출입을 전면 금지시켰다. 한 기자가 우연히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과 관련된 당국자의 전화 통화를 듣고 기사화한 것을 문제 삼아 취해진 조치다.
민감한 외교·안보 문제를 다루는 외교부 일의 특성상 기자라고 해서 청사 이곳저곳을 마음대로 드나들 수는 없다. 그렇더라도 이번 조치는 발단부터 잘못돼 진행 과정조차 본말(本末)이 뒤집힌 것이다.
우선 이번에 문제 삼은 ‘미군이 전술지휘통제(C4I) 현대화 비용을 한국측에 부담해 달라고 요청했다’는 보도가 ‘국익을 해치는 보도’라고 보기 어렵다. 결국 국민 세금으로 돌아갈 일이니 만큼 당연히 국민이 알아야 할 사항이다. 이번 보도가 아니었더라면 외교부는 이번에도 입을 꼭 다물고 국민 뒤편에서 일을 진행했을 것이다. 그런데 이걸 이유로 기자들의 사무실 출입을 전면 금지시킨 것은 못마땅한 언론의 취재를 막고 정부가 주는 정보만 쓰게 만들려는 의도로밖에 읽을 수 없다.
외교부는 취재 통제에 앞서 정부와 국민과 언론 간의 바람직한 관계 정립을 위해 자신들이 할 일은 제대로 했는지부터 스스로 물었어야 했다. 지금 외교부 차관은 작년에 “기자들의 사무실 출입은 없어져야 한다. 지금은 기자들에게 술 사주고 하는 것이 공보관의 역할”이라고 대통령의 부정적 언론관에 박자를 맞춰 칭찬을 들었던 사람이다. 그는 취임하자마자 “장관과 대변인이 번갈아 매일 한 차례씩 브리핑을 하고 각 국(局) 심의관 한 명을 언론담당관으로 지정해 24시간 언론에 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었다. 모두가 공수표(空手票)로 끝났다.
외교부 브리핑은 정직과 성실면에서 이미 여러 차례 낙제점을 받았다. 고(故)김선일씨 사건에서 AP와 전화통화를 했느냐 아니냐를 놓고 “그런 사실 없다”고 부인했다가 국제적 망신까지 당했다. 간도협약 관련 보도나 중국의 탈북자 강제북송에 대해서도 결과적으로 사실과 다른 정보로 국민을 오도했다. 외교부는 엉뚱한 일을 벌이기에 앞서 최소한 앞으로 거짓말은 하지 않겠다는 서약서 먼저 쓰고 볼 일이다.
입력 : 2004.11.02 17:47 52' / 수정 : 2004.11.02 18:14 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