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들이 수시모집을 확대하고 고교등급제를 하는 진짜 이유는?
좋은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물론 명분은 그럴 듯 하지만 실상은 그게 아니라는 거죠.
진짜 이유는 부유한 집 자녀들을 입학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심층면접이나 등급제라는 명분으로 강남 학생들에게 점수를
더 주기 위한 제도입니다.
왜냐구요?
그래야 학교 무슨 행사때마다 발전기금이니 찬조금이라도 받을 수 있으니까요.
진짜로 실력있는 학생을 뽑을려면 수시모집에서
뽑을 필요 없습니다.
수시모집의 취지가 무엇입니까?
학력차이로 한줄 세우기 위한 것입나까?
내신성적 좋은학생이나 학력보다 특별한 재능을 가진 학생을 뽑기 위한 것
아닌가요?
대학들 주장대로 그렇게 학력차를 공정하고 정확히 반영하고 싶다면
수시를 축소하거나 폐지하고 수능성적이 반영되는 정시모집을
확대해야 합니다.
그런데 대학들은 수시모집이 내신부풀리기로 학력차를 구별하기
힘들다고 주장하면서도 내신성적에서 석차 백분율이 아닌 평어를 반영하고
수시모집에 매달리는 것은 우스운 일입니다.
대학들이 정말로 실력있는 학생을 뽑기위해서 그러는 것인지
강한 의구심이 듭니다
그들 말대로 정말로 실력차를 공정하고 확실히 측정하려면
대학들은 오히려 수시모집을 페지하고 수능시험의 변별력을
높이라고 강력히 주장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