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품격 커뮤니티  ‘스브스프리미엄’

조선 [사설] 78년 해로(偕老)를 동반자살로 몰고 간 치매 에 대해서

조선 [사설] 78년 해로(偕老)를 동반자살로 몰고 간 치매 에 대해서









(홍재희) ====== 친일 반민족 반민주 반 통일의 냉전 수구적인 방상훈 세습족벌사주체제인 조선일보 사설은





“ 92세 노인이 치매에 걸린 93세 아내를 목졸라 숨지게 하고 목을 매 자살했다. 노인은 꼬깃꼬깃 모은 장례비 250만원과 함께 자식들에 남긴 유서에서 ‘78년이나 함께 산 아내를 죽이는 독한 남편이 됐다’고 했다. 그가 아내의 목을 누를 때 심정이 어떠했을지는 헤아려 보기도 힘들다. 마지막 길을 함께 가는 것으로 부부의 연(緣)을 놓지 않으려 한 몸부림이 가슴 아픈 한편으로 부부를 막다른 길로 몰고 간 치매라는 질병의 무서움에 새삼 질리게 된다. 부부의 78년 금실로도, 서로 모시겠다고 했다는 7남매의 효심으로도 감당할 수 없는 병이 치매인 것이다.”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사설은 “ 마지막 길을 함께 가는 것으로 부부의 연(緣)을 놓지 않으려 한 몸부림이 가슴 아픈 한편으로 부부를 막다른 길로 몰고 간 치매라는 질병의 무서움에 새삼 질리게 된다. ” 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치매라는 질병보다 더 무서운 것은 그러한 질병을 사회적으로 방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치매는 인륜의 힘으로 가족의 정성으로 각고의 노력만으로는 치유가 불가능하고 더욱이 전문적인 치료를 체계적이고 장기적으로 받아도 완치가 거의 불가능한 심각한 노인성 질병인데 사회와 국가에서 까지 방치하고 있는 것 자체가 치매라는 질병 보다 더 무서운 부메랑이 돼서 한국사회의 무관심에 대한 심각한 회두로 돌아오고 있다. 무관심 보다 더 무서운 질병은 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홍재희) ====== 조선사설은





“ 보건복지부는 65세 이상 노인의 8.3%, 35만명이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추산한다. 2010년에는 8.6% 46만명, 2020년에는 9% 57만명에 이를 것이라고 한다. 집안에 치매환자를 두고도 숨기는 가족 심리 등을 감안하면 실제 치매노인은 훨씬 많을 것이다. 10가구 중 1가구가 치매에 관련돼 있고, 2020년에는 5가구에 1가구꼴이 될 것이라는 추정도 있다. 가족들이 환자를 수발하며 돈과 인내를 바닥내는 사이 만신창이로 파괴돼 가는 가정이 부지기수인 것이다.”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앞만 보고 빨리빨리 지나온 한국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이웃 대부분이 어느 사이에 치매환자와 함께 하고 있다는 현실과 접하게 된 것을 의미한다고 본다. 조선사설은 “ 가족들이 환자를 수발하며 돈과 인내를 바닥내는 사이 만신창이로 파괴돼 가는 가정이 부지기수인 것이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족들의 노력으로 치매라는 질병이 치료돼서 얼마남겨 놓지 않은 여생을 스스로 의미있게 마감할수 있는 기회를 치매환자들에게 준다면 그것은 대단히 의미있는 인간애 그 자체 일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가족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물질적인 기여에도 불구하고 치매환자의 치료가 돌이킬수 없을 정도로 거의 불가능하다는데 사안의 심각성이 있다고 본다.







(홍재희) ====== 조선사설은





“핵가족과 맞벌이 부부가 급증하면서 그나마 치매노인을 보살필 가정의 여력이 갈수록 줄고 있지만 우리 사회의 형편은 한심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치매나 중풍 등으로 장기요양이 필요한 노인 60만명 가운데 복지시설이 수용하는 사람은 2%에 불과하다. 치매는 더 이상 가정에 미뤄둘 수 없는 국가적 문제다. 그러나 정부는 치매·중풍 간병비 등을 별도로 보장해주는 노인요양보험의 추진 시기를 2007년에서 2010년으로 오히려 늦췄다. 요양보험을 앞당기는 노력을 기울이고, 요양보험이 정착되기 전까지는 기존 건강보험에서 광범하게 보장해주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우선적으로 극빈계층이나 차상위 계층의 치매노인들에 대한 공적인 부조의 차원에서 치료차원에서 치매치료와 복지시설에서 치료와 재생의 길을 모색하게 하고 수요에 비해서 턱없이 부족한 치료시설과 복지시설의 한계를 극복해 나가기위한 방법으로 동시에 단기적으로 소규모의 그룹홈 형태로 치매노인들을 보호하고 관리하는 사회공동체적인 컨소시엄 형태의 틀을 만들어 복지단체와 자원봉사자. 지자체 그리고 종교단체등이 함께 하는 대안을 모색해보는 것도 유익하다고 본다. 그리고 국가적 차원에서 노인요양보험이나 기존 건강보험 보다 더 실질적인 치매환자를 보호하기 위한 현실성있는 대책을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마련할 필요성이 절실하게 요청된다 하겠다.그래서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겪게 될 노년기에 예기치 않은 치매로부터 의 공포로부터 자유로운 가운데 여생을 보낼수 있는 미래에 대한 전망에 불안해 하지 않게 하는 것이 우리사회가 해야할 일이라고 본다.







(홍재희) ======= 조선사설은







“ 2007년이면 중증 노인의 요양·보호에만 2조6000억원이 들어간다. 결국은 돈이 문제지만 예산 우선순위를 재조정해서라도 힘든 시대를 살았던 노인들이 인간적 품위를 지키며 마지막 날을 맞을 수 있도록 애를 쓰는 것이 나라의 도리다.”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예산은 한정돼 있다. 한정된 예산을 알뜰하게 사용하는 것도 치매라는 질병을 인간이 정복하는 지름길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연구효과가 나타나기에는 오랜 너무도 기간을 요하고 반면에 당장 연구에 투자되는 비용은 천문학적인 치매질병치료를 위한 연구에 사적인 이익추구를 우선시하는 민간기업이 참여하는 것에는 한계 가 있다. 정부 차원에서 국가적 차원에서 치매라는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장기적 연구과제를 설정해 치매라는 질병의 정복에 도전하기 위해 투자하는 것도 중증 노인의 요양·보호와 치매노인보호요양에 투자하는 예산못지 않게 비중있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홍재흐,l) ====== 치매치료에 대한 수요는 전세계적으로 가히 상상을 초월할 정도이다. 그리고 방씨 족벌조선일보는 매일매일 수구 정치적 관점에서 특정정부와 특정정당에 대한 마녀사냥식의 일방적인 매도와 흠집내기에 혈안이 돼서 대한민국사회의 분열을 재촉하는 소모적인 정쟁의 기사를 양산해내는 방식에서 탈피해 치매라든가 사회적 약자들로부터 파생되고 있는 인도주의적인 관심이 절실한 분야에 대한 사회적 무관심을 타파해 나갈수 있는 언론매체의 순기능을 지속적이고 꾸준하게 일과성에 그치지 않고 바로 찾아나가야 한다. 조선사설 어떻게 생각하나?









[사설] 78년 해로(偕老)를 동반자살로 몰고 간 치매 (조선일보 2004년 10월8일자)





92세 노인이 치매에 걸린 93세 아내를 목졸라 숨지게 하고 목을 매 자살했다. 노인은 꼬깃꼬깃 모은 장례비 250만원과 함께 자식들에 남긴 유서에서 ‘78년이나 함께 산 아내를 죽이는 독한 남편이 됐다’고 했다. 그가 아내의 목을 누를 때 심정이 어떠했을지는 헤아려 보기도 힘들다. 마지막 길을 함께 가는 것으로 부부의 연(緣)을 놓지 않으려 한 몸부림이 가슴 아픈 한편으로 부부를 막다른 길로 몰고 간 치매라는 질병의 무서움에 새삼 질리게 된다. 부부의 78년 금실로도, 서로 모시겠다고 했다는 7남매의 효심으로도 감당할 수 없는 병이 치매인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65세 이상 노인의 8.3%, 35만명이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추산한다. 2010년에는 8.6% 46만명, 2020년에는 9% 57만명에 이를 것이라고 한다. 집안에 치매환자를 두고도 숨기는 가족 심리 등을 감안하면 실제 치매노인은 훨씬 많을 것이다. 10가구 중 1가구가 치매에 관련돼 있고, 2020년에는 5가구에 1가구꼴이 될 것이라는 추정도 있다. 가족들이 환자를 수발하며 돈과 인내를 바닥내는 사이 만신창이로 파괴돼 가는 가정이 부지기수인 것이다.



핵가족과 맞벌이 부부가 급증하면서 그나마 치매노인을 보살필 가정의 여력이 갈수록 줄고 있지만 우리 사회의 형편은 한심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치매나 중풍 등으로 장기요양이 필요한 노인 60만명 가운데 복지시설이 수용하는 사람은 2%에 불과하다. 치매는 더 이상 가정에 미뤄둘 수 없는 국가적 문제다. 그러나 정부는 치매·중풍 간병비 등을 별도로 보장해주는 노인요양보험의 추진 시기를 2007년에서 2010년으로 오히려 늦췄다. 요양보험을 앞당기는 노력을 기울이고, 요양보험이 정착되기 전까지는 기존 건강보험에서 광범하게 보장해주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



2007년이면 중증 노인의 요양·보호에만 2조6000억원이 들어간다. 결국은 돈이 문제지만 예산 우선순위를 재조정해서라도 힘든 시대를 살았던 노인들이 인간적 품위를 지키며 마지막 날을 맞을 수 있도록 애를 쓰는 것이 나라의 도리다.

입력 : 2004.10.07 18:20 30' / 수정 : 2004.10.07 21:29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