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품격 커뮤니티  ‘스브스프리미엄’

SBS 8시 뉴스 2004년 9월 28일 8시에 방영된 폐암사망 원인에 대해

저는 포천에 있는 동남고등학교에 다니는 한 학생입니다.

국어생활 수행평가라는 목적아래 뉴스의 한 기사를 택해서 분석을 하게 되었습니다.







SBS 8시 뉴스 2004년 9월 28일 8시에 방영된 폐암사망 원인에 대해 방영된 뉴스이다.



뉴스의 내용 : 팍팍한 직장생활 30년 동안 담배를 피우며 일하다 폐암에 걸렸다. 그래서 국가를 상대로 낸 소송에 법원은 담배회사에 책임을 물었다는 내용의 기사이다.



-뉴스 분석



* 뉴스 언어(뉴스 진행자의 말 , 화면에 나오는 문자 등)의 특징은 무엇인가?

뉴스 언어는 정해진 시간 내에 신속한 정보를 전달해야하기 때문에 다른 언어에 비해서 간단명료한 언어를 주로 사용한다. 그래서 문장성분이 많이 생략되기도 한다. 그리고 말을 함으로써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문어체보다는 구어체를 많이 사용한다. 그리고 청각을 통한 전달하기 때문에 발음이 분명하면서 표준 발음법에 맞아야 하고 어려운 한자어나 외국어 등은 가능하면 피한다. 그리고 시청자 중심의 경어를 사용한다. 또 품위 있는 말을 사용한다.

* 화면의 구성과 뉴스 진행자의 말, 화면에 등장하는 문자는 자연스러운가?

앵커가 문제를 제시해서 호기심을 유발한 후 리포터의 피해자 가족의 인터뷰를 통해 내용을 구체화 하고 있다. 그 뒤 변호사의 변론이 이어져 신뢰도를 높인다.

뉴스 진행자의 말과 화면에 등장하는 문자는 정확한 정보전달을 위해서 문장의 구성성분이 다 들어있지 않고 생략되어도 의미파악이 쉽게 할 수 있도록 문자를 사용하였다. 그래서 완벽한 문장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 뉴스의 목적은 설명인가 설득인가?

폐암의 발병원인이 흡연과 관련이 있어서 담배회사의 책임을 요구할 것이라는 설명의 내용이다.

* 전체 뉴스에서 그 뉴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어떠한가?

추석연휴에 방영된 뉴스라서 그런지 뉴스의 비중이 가장 큰 기사는 귀경차량과 대중교통의 연장 운행 이였다. 그래도 건강과 관련 있는 기사라서 비중이 아주 없었다고 말할수는 없는것 같다.

# 문제점

기사의 말에서 예를 들자면 “공단은 그러나 공무상 재해로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이런 말투는 외국식의 번역 투의 말을 사용했다. 이런 말은 “그러나 공단은 공무상 재해로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말해야 할 것 같다.

또한 “박모씨는 30년 넘게 경찰관으로 일하다 지난 99년 정년퇴직했습니다. 불과 석달 만에 말기 폐암 진단을 받고 넉달 뒤 결국 숨졌습니다. ” 여기서 이 두 문장은 이야기 흐름상 지나친 생략과 접속사가 빠져있어서 말이 어색하게 이어진다.

그리고 흡연을 함으로써 어떤 원인으로 폐암이 발생하는지가 자세히 나오지 않아서 약간 정보 전달이 미흡한 것 같다.







많은걸 알지 못하면서 주제에 넘게 분석을 해보았습니다.

미흡하지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