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사설] 교육부와 전교조가 合作한 대학 사냥 에 대해서
(홍재희) ====== 친일 반민족 반민주 반 통일의 냉전수구적인 방상훈 세습족벌사주체제인 조선일보 사설은
“ 교육부가 서울지역 사립 6개 대학이 올해 수시1학기 전형과정에서 수험생을 출신고교에 따라 차별하는 일이 없었는지에 대해 조사하겠다고 나섰다. 전교조 등 교육평등주의자들이 고교 간 학력격차를 반영해 수험생의 실력을 판별해 내려는 대학의 노력을 ‘유사 이래 최대 입시부정’이라고 몰아치더니 교육부까지 여기에 놀아나고 있는 것이다. 대학들은 고교의 내신성적을 믿을 수 없기 때문에 나름의 선별방법을 개발할 수밖에 없다 하고 있다. 그러나 전교생 평균점수가 70점인 학교와 44점인 학교를 똑같이 취급해야만 한다는 게 전교조의 ‘평등론’이다. 그렇게 되면 앞으로 학생들은 평균성적이 높은 학교에는 진학할 리가 없다. 그런 방법으로 우수한 학교를 끌어내려서 학교 간 격차를 없앤들 학생과 학교와 나라에 무슨 보탬이 된다는 것인지 모를 일이다.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서울지역 사립 6개 대학이 올해 수시1학기 전형과정에서 제기되고 있는 의혹은 조선사설의 주장과 같이 고교 간 학력격차를 반영해 수험생의 실력을 판별해 내려는 대학의 노력이라고 볼수 없다. 학생들의 점수우열을 가리는 대학입시의 폐단은 극복돼야한다. 그것도 학생들의 부모나 가족들의 경제적인 부에 편승해 사교육의 혜택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은 학생들이 소속된 학교에 대해서 우호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일부 사립대 대학입시의 전형과정은 비교육적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아주좋지 않은 비교육적 위화감을 심어줄 수도 다.
(홍재희) ===== 부모의 경제적인 부의 의해서 공교육이 아닌 사교육에 의해 일시적으로 부풀려진 점수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에게 대학입시의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면 사교육을 조장하고 공교육을 무력화 시키는 것으로 밖에 볼수 없다. 대학교육의 목적이 그런 것은 아니지 않은가? 조선사설은 “ 그러나 전교생 평균점수가 70점인 학교와 44점인 학교를 똑같이 취급해야만 한다는 게 전교조의 ‘평등론’이다. 그렇게 되면 앞으로 학생들은 평균성적이 높은 학교에는 진학할 리가 없다. 그런 방법으로 우수한 학교를 끌어내려서 학교 간 격차를 없앤들 학생과 학교와 나라에 무슨 보탬이 된다는 것인지 모를 일이다. ”라고 주장하고 있다.
(홍재희) ===== 그렇다면 이제까지 수십년 동안 대한민국에서 평균성적이 제일 높은 우수한 학생만을 모집해온 서울대학교와 연세 . 고려대학교의 세계적인 대학교육경쟁력이 서울대학교의 경우 세계 150위권이고 연세대의 경우 세계 300위권에 가까스로 들어가고 고려대의 경우 500위권에 들어가고 있는 현실을 조선사설은 어떻게 이해 시킬것인가? 우수한 성적의 수재형 학생들을 성적순으로 서열화해서 모집해 데려다가 세계적인 둔재로 교육시키고 있는 성적격차에 의한 학생모집의 문제점을 조선사설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홍재희) ===== 부모나 가족의 부유함으로 해서 서울강남의 학생들이 사교육의 혜택을 상대적으로 더 받아 서울대 연 . 고대에 많이 입학하는 것이 조선사설이 주장하고 있는 교육의 시장경쟁논리에 부합하는 방법이라면 그런 학생들이 입학해서 교육받고 있는 서열화의 상층부에 자리잡고 있는 경쟁력있는 서울대 연 . 대의 국제적인 대학교육의 경쟁력이 한국의 경제적인 역량인 세계 11권의 경쟁력에 버금가는 경쟁력을 유지하지 못하고 세계 150 위권에서 세계 300위권과 세계500위권으로 형편없이 떨어지고 있는 문제를 조선사설은 어떻게 이해시킬수 있나? .국내 일등의 수재급 학생들을 데려다가 세계 150등에서 300등 500등의 둔재교육을 시키고 있는 서울대 . 연. 고대 등 서열화된 성적위주의 학생선발의 폐습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 한국대학들의 국제 경쟁력이다.
(홍재희) ======== 조선사설은
“ 전교조는 교육부 조사에서 자기들이 추측했던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조사가 미진하다며 들고일어날 게 뻔하다. 이어서 수시1학기 탈락자들을 끌어모아 집단소송을 벌일 것이고, 본보기로 찍힌 대학에 대한 ‘마녀사냥’은 계속될 것이다. 이번 소동의 근본원인은 고교의 내신 성적표를 믿을 수 없다는 데 있다. 그런데도 교육부는 내신의 신뢰성을 높일 대책을 내놓기는커녕 수능과 본고사 등 다른 전형방법을 모두 막아놓고 신뢰성 없는 내신만 갖고 신입생을 선발하라고 밀어붙이고 있다. 이렇게 되면 학생들을 대학에 입학시켜 주는 권한은 내신평가 교사들이 쥐게 되는 셈이다. 학교 간 학력격차를 인정하지 않는다면 교사들끼리 자기 학교의 평균성적을 올리려고 경쟁을 할 필요도 없어진다. 교사 평가제를 저지해 만세를 불렀던 전교조가 또 한번 승리한 것이다. 교육부와 전교조는 경쟁력을 잃은 한국 교육이 파산의 구렁텅이로 굴러떨어지는 것이야말로 자신들이 그렇게 바라던 학교 교육의 정상화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사설은 “ 이어서 수시1학기 탈락자들을 끌어모아 집단소송을 벌일 것이고, 본보기로 찍힌 대학에 대한 ‘마녀사냥’은 계속될 것이다. 이번 소동의 근본원인은 고교의 내신 성적표를 믿을 수 없다는 데 있다.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사설은 아주 극단적인 주장을 하고 있다. 대학들이 대입제도를 통해 고교의 내신 성적표를 믿을 수 없다는 데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런 식으로 조선일보가 극단적으로 접근하면서 고교의 공교육과정을 신뢰할 수 없다면 왜 구태여 신뢰할수 없는 고교의 공교육과정을 거친 고교생들을 모집하려하는가. 차라리 대학들의 입맛에 적합한 고교생들이 아닌 사교육만을 받은 학생들을 모집하면 될 것이 아닌가? 조선사설 안그런가?
(홍재희) ===== 조선사설은 “ 그런데도 교육부는 내신의 신뢰성을 높일 대책을 내놓기는커녕 수능과 본고사 등 다른 전형방법을 모두 막아놓고 신뢰성 없는 내신만 갖고 신입생을 선발하라고 밀어붙이고 있다. 이렇게 되면 학생들을 대학에 입학시켜 주는 권한은 내신평가 교사들이 쥐게 되는 셈이다.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사설은 문제를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고 있다. 고교내신도 못 믿겠다면 고교교육 전 과정을 불신한다는 얘기이다. 안 그런가? 문제는 각 대학들의 서열위주 대학교육 때문이다. 그것도 수능점수 위주의 성적에 근거해서 서열화된 대학의 입시를 부추기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그런 방법은 실효성도 없고 교육의 질도 높일수 없고 조선일보가 입에 침이 마르도록 주장하고 있는 국제경쟁력도 뒤떨어지고있다는 것이 드러나고 있지 않은가?
(홍재희) ==== 성적이 우수한 수재들들 서울대 . 연 . 고대 가 모집해 다가 세계 150위. 300위 . 500위로 형편없이 뒤쳐지고 있는 서열위주의 서울대 연 . 고대 의 대학 경쟁력으로 국제적인 둔재교육을 시키고 있는 서울대 . 연고 대로 상징되고 있는 대학교육의 서열화를 통해 멍든 한국의 경쟁력을 상실한 대학교육의 개혁을 통해 서열화를 폐지해야한다. 서울대 연고대에 수능성적이 우수한 학생이 입학하는 것이 곧 대학교육을 잘 소화해 낼수 있는 능력있는 학생들이 입학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서울대 연고대에 입학해 대학교육을 소화해 낼수 있는 능력이 있는 학생들을 입할시킬수 있는 대입제도로 바뀌어야 한다. 그해서 대학교육이 성적의 우열을 가리는 점수위주의 경쟁을 부추기는 도구로 전락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홍재희) ===== 대입 그자체가 교육의 목적일수 없고 모든 수단과 방법의 전부일수 없다. 안 그런가 조선일보? 조선사설은 “ 교육부와 전교조는 경쟁력을 잃은 한국 교육이 파산의 구렁텅이로 굴러떨어지는 것이야말로 자신들이 그렇게 바라던 학교 교육의 정상화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그렇다면 조선일보가 지향해온 대학교육의 서열화된 서울대 . 연세대 . 고려대가 세계 대학의 경쟁력 에 있어서 150위권과 300위권 500위권으로 떨어지고 있는 한국에서 이른바 일류대학들의 국제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는 원인은 무엇인가? 조선사설이 주장하고 있는 경쟁력을 강화하기위해 서열화를 통해 경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교조 등 교육평등주의자들의 지향점과 정반대의 경쟁체제를 유지하고 있음에도 경쟁력이 형편없이 떨어지고 있는 대학경쟁력에 대해서 조선사설은 어떻게 생각하나? 문제의 심각성은 바로 거기에 있지 않을까?
[사설] 교육부와 전교조가 合作한 대학 사냥(조선일보 2004년 9월20일자)
교육부가 서울지역 사립 6개 대학이 올해 수시1학기 전형과정에서 수험생을 출신고교에 따라 차별하는 일이 없었는지에 대해 조사하겠다고 나섰다.
전교조 등 교육평등주의자들이 고교 간 학력격차를 반영해 수험생의 실력을 판별해 내려는 대학의 노력을 ‘유사 이래 최대 입시부정’이라고 몰아치더니 교육부까지 여기에 놀아나고 있는 것이다.
대학들은 고교의 내신성적을 믿을 수 없기 때문에 나름의 선별방법을 개발할 수밖에 없다 하고 있다. 그러나 전교생 평균점수가 70점인 학교와 44점인 학교를 똑같이 취급해야만 한다는 게 전교조의 ‘평등론’이다.
그렇게 되면 앞으로 학생들은 평균성적이 높은 학교에는 진학할 리가 없다. 그런 방법으로 우수한 학교를 끌어내려서 학교 간 격차를 없앤들 학생과 학교와 나라에 무슨 보탬이 된다는 것인지 모를 일이다.
전교조는 교육부 조사에서 자기들이 추측했던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조사가 미진하다며 들고일어날 게 뻔하다. 이어서 수시1학기 탈락자들을 끌어모아 집단소송을 벌일 것이고, 본보기로 찍힌 대학에 대한 ‘마녀사냥’은 계속될 것이다.
이번 소동의 근본원인은 고교의 내신 성적표를 믿을 수 없다는 데 있다. 그런데도 교육부는 내신의 신뢰성을 높일 대책을 내놓기는커녕 수능과 본고사 등 다른 전형방법을 모두 막아놓고 신뢰성 없는 내신만 갖고 신입생을 선발하라고 밀어붙이고 있다. 이렇게 되면 학생들을 대학에 입학시켜 주는 권한은 내신평가 교사들이 쥐게 되는 셈이다.
학교 간 학력격차를 인정하지 않는다면 교사들끼리 자기 학교의 평균성적을 올리려고 경쟁을 할 필요도 없어진다. 교사 평가제를 저지해 만세를 불렀던 전교조가 또 한번 승리한 것이다.
교육부와 전교조는 경쟁력을 잃은 한국 교육이 파산의 구렁텅이로 굴러떨어지는 것이야말로 자신들이 그렇게 바라던 학교 교육의 정상화라고 보고 있는 것이다.
입력 : 2004.09.19 18:27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