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일: 2004. 08. 10. (화)
택시의窓: 政權교체, 政治교체, 議會교체, 言路교체
관광자원, 박정희기념관 말고 박정희역사관 짓잔 이유
관광자원, 박정희기념관을 박정희역사관으로 바꿔 짓자
관광볼거리, 박정희기념관을 역대 대통령역사관으로 바꿔 짓자
관광볼거리, 박정희 개인을 기념말고 박정희 역사를 기억하자
관광볼거리, 박정희 음과양 동시에 기억하자
물물교환식 정책바터제, 박정희 기념관 지어주고 신행정수도 이전하자
신행정수도이전 철회하라 함은 박정희장군 한강대교 건너지 말란 논리와 같다
역사의 충격, 밀고빨갱이 박정희가 빨갱이 김대중을 아프게 했다뇨?
차별의 화해, 어둡고 뚱뚱한 흑인들이 지상최고 아름다운 목소리의 주인공
차별의 치유, 네 은혜가 네게 족하다
역사의 치유, 사랑 못하겠으면 미워하지나 말자
내 귀에 들린 대한민국 정체성, 친일파 빨갱이 천국
공직사회개혁, 공직자정책연봉제 (합심합동 최우선조직별로 포상)
죽은 박정희 산 노무현 잡는단 이유 (대표명사 존칭생략)
테레사 J.스튜어트라고 하는 분이 재미있는 글을 썼다 한다.
‘길은 걸으면서 만들어진다’ 라는 글이다.
보통 사람들은 길이 환하게 열린 다음에 가겠다고 하지만 그는 그게 아니라 말한다.
먼저 걸어가야 길이 생긴다는 것이다.
세상에는 700억원짜리 박정희기념관 건립을 둘러싼 가까운 논쟁(論爭)이 한창이다.
거의 다툼에 가깝다.
강한 욕망과 강한 분노를 표출하며 스스로를 기만하는 상처투성이 국민께 중재안을 올린다.
볼거리도 부족한 자원빈국 대한민국에 박정희기념관을 박정희역사관으로 바꿔 짓잔 제안이다.
그도 저도 타협이 아니 되면 박정희기념관을 역대 대통령역사관으로 바꿔 짓잔 제안이다.
그도 저도 타결이 아니 되면 박정희 예찬론자도 박정희기념관 내부자료를 나름대로 꾸미고, 박정희 질책론자도 박정희역사관 내부자료를 나름대로 꾸미게 하여 방문국민과 방문관광객이 이미 흘러간 우리의 아픈 역사를 있었던 그대로 보고 듣게 해줌으로써 다양성이 숨쉬는 민주국가의 모습으로 변신ㅎ해가는 우리 대한민국의 역동성을 관광자원화해주잔 뜻이다.
단지 지금 이 순간 우리 국민이 유의할 점은 말이 지닌 속성적 固定관념이다.
박정희기념관이냐 박정희역사관이냐 하는 차이라는 뜻이다.
박정희예찬론자의 입장에선 어떻게 해서라도 건립하고 싶은 강한 욕망이 달성되니 좋겠고,
박정희질책론자의 입장에선 어떻게 해서라도 바로잡고 싶은 강한 욕망이 성취되니 좋겠다.
기념관(記念館 memorial hall)은 뒤에 어떤 사건을 상기할 근거로 삼고자 짓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미묘한 뜻의 차이(nuance)는 한 개인을 숭배한다는 암시가 강하게 풍긴다.
기념관(紀念館)이라는 용어(用語)의 속성적 관념이 깊게 배어있는 까닭이다.
역사(歷史 history)란 이미 지나버린 일들에 대한 기록이자 하늘의 그 시대적 뜻이 담겨 있다.
역사는 이미 지난 역사일 뿐이라는 뜻이다.
그러한 역사가 후손에게 유익함을 남겨주게 해줌은 우리 몫이다.
건립운영비용으로서 500억원 민간모금과 200억원 국고지원, 뜻이 있는 곳엔 반드시 길이 있으리라.
우리가 앞장서 걸다 보면 뒷사람에겐 길로 남지 않겠는가?
삶의 교훈(敎訓), 가르침의 유형에는 두 가지가 있을 것이다.
첫째는 잘한 일을 본받아 따라 하도록 가르침을 주는 길이요,
둘째는 잘못한 일을 본받아 따라 하면 이런 꼴이 되니 그리 되지 않도록 가르침을 주는 길이다.
두 가지 다 타산지석(他山之石)의 유익함이 있다 본다.
모든 세상일을 직접 경험해봐야 세상이치를 깨우친다면 그 얼마나 미련스럽다 하겠는가?
역사를 기념하자.
역사를 통해 새 날을 바로 보자. Look a new day!
박정희 기념관 예찬론자의 논리전개에 따르면,
김대중 前대통령이 구미 박정희 생가까지 찾아와 약속했고 15-16대 국회에서 가결됐으니 짓자 한다.
마찬가지 논리대로 16대 국회에서 가결된 신행정수도 이전 계획대로 추진하면 이의(異意)가 없겠다.
물물교환(物物交換)식 정책바터제, 박정희 기념관 지어주고 신행정수도 이전하는 교차승인하자.
박정희 前대통령께서도 매판자본 비난 무릅쓰고 해외자본 유치하여 경부고속도로 지었다 칭송받고,
김대중 前대통령께서는 환란극복코자 해외자본 유치하니 나라 다 팔아먹더란 정치논리가 우습구나.
박정희 前대통령의 18년 독재시절 공(功勞)이 과(過失)를 덮고도 남음이 있단 정치논리가 우습구나.
입맛대로 국민을 속여 세뇌해온 그 정치논리가 잃어버린 땅 찾아달라는 친일파 후손의 뻔뻔스런 행실과 같구나.
박정희예찬론자께서는 박정희 前대통령이 계셨기에 오늘날과 같은 법치민주화 초석일 경제개발 이룩했다고 주장한다.
히말라야 8000미터 고봉(高峰) 15좌를 올랐다는 세계정상 산악인들이 쉐르파나 베이스캠프의 도움도 없이 혼자의 힘으로 정상등반했다 말할 수 있을까?
한국인들은 영웅(英雄)에게 너무 의지한다.
3천여 왜침을 극복해온 우리 국민 모두가 영웅이련만.
일평생 빨갱이로 매도당한 김대중 前대통령님, 뼈아픈 우리 역사마저 사랑해주세요.
밀고자 남로당 빨갱이 출신 박정희가 정적 김대중을 일평생 용공분자 빨갱이로 매도했다 하네요.
자기 눈의 들보를 감추고자 남의 눈의 티끌만 과장한 셈이니 땅위 사람들 하는 짓이 어이가 없네요.
에~라, 이 몹쓸...
題目: Memory
歌手: Barbra Sreisand / Sarah Brightman
Midnight,
not a sound from the pavement
Has the moon lost her memory, she is smiling alone
In the lamplight, the withered leaves, collected my fee
And the wind begins to moan
Memory,
all alone in the moonlight
I can smile at the old days, it was beautiful then
I remember the time I knew what happiness was
Let the memory live again
Daylight,
I must wait for the sunrise
I must think of a new life, and I mustn't give in
When the dawn comes, tonight will be a memory, too
And a new day will begin
Burnt out ends of smoky days,
the stale cold smell of morning
The street lamp dies, another night is over, another day is dawning
Touch me, it's so easy to leave me, all alone with the memory of my day in the sun
If you touch me, you'll understand what happiness is
Look a new day, has begun
Memory,
all alone in the moonlight
I can smile at the old days, it was beautiful then
I remember the time I knew what happiness was
Let the memory live again
Sinner (iqtaxi@HANmail.net)
Sinner (iqtaxi@HOT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