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품격 커뮤니티  ‘스브스프리미엄’

조선 [사설] 유해 감기약에 4년이나 방치된 소비자들 에 대해서

조선 [사설] 유해 감기약에 4년이나 방치된 소비자들 에 대해서









(홍재희) ====== 친일 반민족 반민주 반 통일의 냉전 수구적인 방상훈 세습족벌사주체제인 조선일보 사설은





“ 식품의약품안전청이 페놀프로판올아민(PPA) 성분이 들어있는 감기약 167종에 대해 제조·수입·유통을 전면 금지시켰으나 유해판정까지 4년이나 걸렸다는 것은 납득이 안된다. 특히 이번에 금지된 약품 중에는 처방 없이 약국에서 흔히 사먹는 대표적 감기약들이 포함돼 있어 소비자들은 그간 의약품 안전사고에 방치된 것이나 다름없다.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위해 존재해야할 정부기관인 식품의약품안전청이 페놀프로판올아민(PPA) 성분이 들어있는 감기약 167종에 대해 제조·수입·유통을 전면 금지시켰으나 유해판정까지 4년이나 걸렸다는 것은 국민들 건강을 챙기는 것 보다 감기약 제조업자들의 이해관계에 더 신경을 쓴 결과가 아닌가 강한 의문을을 제기한다.







(홍재희) =====식품의약품안전청이 국민들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는 제일차적인 책임에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었다면 페놀프로판올아민(PPA) 성분의 부작용을 감안해 국제적으로 공신력있는 기관이 이성분의 유해성을 인식하고 발표한 날로부터 적어도 의사처방없이 약국판매를 허용하지 말도록 관리감독하는 성의표시정도는 있었어야 했는데 그렇지 못한 것을 보면 식품의약품안전청과 소비자 보호원은 왜 무엇 때문에 존재해야하는지 근본적인 물음을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이러한 사실을 4년전부터 알고 있었을 조선일보도 정부와 함께 이제까지 침묵을 지킨 이유가 어디에 있었는지 독자들에게 밝혀야 한다.









(홍재희) ======== 조선사설은





“ 복용시 출혈성 뇌졸중의 위험성이 보고된 PPA는 지난 2000년 국제적으로 문제가 됐고 미국과 싱가포르 등에서는 당시에 판금 조치가 취해졌다. 그럼에도 우리 당국이 이제야 조치를 취한 것은 국민생활과 직결된 의약품 안전에 대한 안이한 의식을 그대로 보여준 것이다.

더구나 지난 6월 최종 보고서가 나온 뒤에도 한 달 이상 발표하지 않은 것은 제약업체와 판매상들 눈치를 봤기 때문이라는 의혹을 사기에 충분하다. 정확한 연구 결과가 필요했더라도 당국은 그 기간동안 보다 적극적으로 위험을 홍보하고 업체와 약사들에게도 판매하지 말도록 조치했어야 했다.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복용시 출혈성 뇌졸중의 위험성이 보고된것과 관련해 식품의약품안전청 관계자는 허용치이하의 복용은 문제가 없다는 식으로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반복 복용해 누적되는 부작용이 분명히 있다고 조사결과가 나온 것은 식품의약품안전청 관계자의 변명성 주장을 무색하게 해주고 있다. 정부의 늦장대응은 분명히 문제가 있었다. 조선일보도 문제가 있다. 조선일보의 역할이 무엇인가?







(홍재희) ====== 우리사회에서 공동체들이 어떤 문제점들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하고 있을때 공동체들보다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접하고 있었다면 독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려 경각심을 일깨우는 호루라기를 부는 언론의 역할에 충실 했어야 했는데 조선일보는 정치권력에 대한 비판으로 연일 날을 새고 있으면서도 이번감기약 문제와 같이 정부가 늦장대응하는 것보다 먼저 호루라기를 불어 문제의 심각성을 정부보다 먼저 알리는 역할에는 소홀했다.









(홍재희) ====== 정부가 유해판정 내리는데 4년이나 걸리도록 조선일보는 이 문제에 대해서 이미 알고 있었으면서 지금까지 무얼했나? PPA는 지난 2000년 국제적으로 문제가 됐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조선일보도 지난 2000년에 PPA성분이 함유된 감기약의 문제점을 이미 알고 있었을 터인데 지금까지 조선일보 독자들이나 국민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워 주는 보도를 하지 못하고 조선일보가 비판하고 있는 정부의 늦장발표이후 정부의 늦장발표를 비판하는 조선일보의 보도태도에도 정부의 늦장발표 못지않게 언론으로서 자기의 역할을 방기한 심각한 도덕적 해이가 드러나고 있다.







(홍재희) ===== 조선사설은 “지난 6월 최종 보고서가 나온 뒤에도 한 달 이상 발표하지 않은 것은 제약업체와 판매상들 눈치를 봤기 때문이라는 의혹을 사기에 충분하다.” 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조선일보도 정부의 늦장발표를 인용해 정부발표이후에 보도한 것은 조선일보의 광고수주대상인 감기약을 제조하고 있는 제약업체의 눈치를 살폈기 때문이 아니라면 정부의 늦장발표이후까지 조선일보가 침묵을 지켰던 것에 대해 독자들이 이해할수 없을 것이다.









그런 조선일보가 정부의 늦장발표를 비판하는 것은 설득력이 부족하다. 조선일보는 이번 감기약의 유해성분 함유에 대한 정부의 늑장발표이전인 이미 4년전에 이사실을 알고 있었으면서 정부와 함께 늑장발표하면서 지금까지 침묵으로 일관하며 정부의 늑장발표에 대한 대국민 호루라기 역할을 방기했다. 조선일보 정신 차려라? 감기약 유해성분의 문제점 발표를 놓고 조선일보와 정부가 보인 늑장대응은 둘다 전혀 다를바 없다. 그런조선일보가 정부를 비판하는 것은 설득려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홍재희) ======= 조선사설은







“ 코막힘을 풀어주는 성분으로는 PPA 외에 슈도에페드린 등 대용(代用) 물질이 있는데도 그냥 판매해 온 제약업체들 역시 무책임하다. 일부 업체는 미국 수출용과 국내용에 다른 성분을 썼다니 생명을 다루는 기업으로서 최소한의 도덕성마저 의심케 한다.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일보는 언론이 해야할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제약업체나 식품의약품안전청 과 같이 이번 감기약의 문제점을 이미 4년 전에 파악하고 있었으면서 정부와 제약회사 그리고 판매상에 대해서 독자들과 국민들의 건강을 위해 일언반구도 없었던 것은 우리독자들이 도저히 이해할수 없는 조선일보라는 언론의 명백한 직무유기이다.







(홍재희) ====== 언론의 역할이 무엇인가? 정부권력을 견제하고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주 임무인데 조선일보는 감기약 유해성분에 대한 정부의 늦장발표에 발을 맞추며 늦장보도하는데 충실했다. 이러한 조선일보의 늦장대응은 조선일보에 광고를 싣고 있는 제약회사들의 광고가 떨어져 나갈까봐 조선일보가 정부의 늦장발표보다 더 늦게 이 문제를 쟁점화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하는 강한 의문을 제기한다.







(홍재희) ===== 일반기업과 다른 언론으로서 조선일보가 지녀야할 정부를 비판하고 견제해야하는 책임과 의무에 충실하기위해 호루라기를 제때 불지 못하고 정부늦장발표 의 뒤를 따라다니며 감기약제조회사들의 조선일보에 대한 광고를 한건이라도 더 수주하기위해 독자들의 건강은 아랑곳하지 않고 지금까지 정부가 발표하기 까지 외면하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강한 의 이문을 제기할 수밖에 없다. 조선일보라는 언론의 존재이유를 묻지 않을수 없다. 그런측면에서 접근해 볼때 조선일보가 비판하고 있는 정부의 도덕성 문제뿐만 아니라 조선일보의 도덕성에 대해서도 강한 의문을 제기한다.









(홍재희) ======== 조선사설은





“ 부작용이 있게 마련인 의약품은 이를 빨리 발견하고 조치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대로 가동되어야 한다. 선진국에서는 조금이라도 부작용이 있으면 의사와 약사와 환자가 신고하고, 관계 기관은 이를 취합 분석한 뒤 즉각 필요한 조처를 취한다. 정부는 이번 일을 계기로 의약품 부작용 모니터링 시스템을 체계화·의무화 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번사태를 계기로 정부는 생산주체들 보다 소비주체들인 소비자들이나 국민들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는 측면에서 정책의 우선순위를 적용하고 추진해야 한다. 정부기관이나 공기업 그밖에 공적인 조직들의 실태는 아직도 국민들의 생명과 건강보호보다 생산업자들의 이해관계에 더 치중하는 듯한 일처리의 문제점을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안 된다.







(홍재희) =====그리고 늦장발표의 이면에는 정부조직과 공기업들의 비대하고 공룡화된 조직의 굼뜬 대처가 문제의 파장을 크게 확대시킨 측면이 다분히 있었다고 본다. 부연한다면 경직된 관료주의의 전형적인 형태가 이번 감기약 유해성분 함양에 대한 늦장발표를 통해서 그대로 드러났다. 정부관료들이 자신들의 밥그릇이 걸린 중대한 문제들에 대해서도 국민들의 건강을 담보로 해서 4년동안 미뤄오다 이제야 늦장발표하는 것과 같은 직무유기 ?를 할수 있었을까라고 묻지 않을수 없다.









(홍재희) ===== 그리고 조선일보도 정부를 비판할 자격이 없다. 조선일보가 존재해야할 근거가 어디있는가? 이번 감기약문제와 같이 정부가 4년씩이나 끌어오면서 국민들 건강을 볼모로 늦장대응하기까지 조선일보를 비롯한 언론들이 먼저 호루라기를 불며 정부와 국민들 언론소비자들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고 조기에 문제를 해결하도록 촉구하는 적극적 보도를 해야했는데 조선일보를 비롯한 언론들은 정부의 늦장발표이후에야 이 문제를 보도하기 시작했다. 조선일보는 정치관련보도가 홍수를 이루고 있다. 그것도 말꼬리잡기식의 소모적인 정쟁보도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비생산적인 사회적 갈등증폭의 선봉에 서있는 조선일보가 이번감기약문제와 같이 국민들의 생명과 건강이 걸린 심각한 사회적 문제에 대해서는 정부와 같이 늦장발표한 것을 우리독자들이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홍재희) =====조선일보는 이문제를 이미 4년전부터 알고 이제끼지 침묵을 지키고 있었던 것이 문제를 미리 제기했을때 감기약제조회사들이 조선일보에 광고를 하지 않을 것을 두려워해 지난 4년 동안 이 문제를 알고 있었으면서도 숨기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언론소비자들의 알권리 차원에서 조선일보에 대해 묻지 않을수 없다. 조선일보는 대답하라?











[사설] 유해 감기약에 4년이나 방치된 소비자들 (조선일보 2004년 8월2일자)





식품의약품안전청이 페놀프로판올아민(PPA) 성분이 들어있는 감기약 167종에 대해 제조·수입·유통을 전면 금지시켰으나 유해판정까지 4년이나 걸렸다는 것은 납득이 안된다. 특히 이번에 금지된 약품 중에는 처방 없이 약국에서 흔히 사먹는 대표적 감기약들이 포함돼 있어 소비자들은 그간 의약품 안전사고에 방치된 것이나 다름없다.



복용시 출혈성 뇌졸중의 위험성이 보고된 PPA는 지난 2000년 국제적으로 문제가 됐고 미국과 싱가포르 등에서는 당시에 판금 조치가 취해졌다. 그럼에도 우리 당국이 이제야 조치를 취한 것은 국민생활과 직결된 의약품 안전에 대한 안이한 의식을 그대로 보여준 것이다.

더구나 지난 6월 최종 보고서가 나온 뒤에도 한 달 이상 발표하지 않은 것은 제약업체와 판매상들 눈치를 봤기 때문이라는 의혹을 사기에 충분하다. 정확한 연구 결과가 필요했더라도 당국은 그 기간동안 보다 적극적으로 위험을 홍보하고 업체와 약사들에게도 판매하지 말도록 조치했어야 했다.



코막힘을 풀어주는 성분으로는 PPA 외에 슈도에페드린 등 대용(代用) 물질이 있는데도 그냥 판매해 온 제약업체들 역시 무책임하다. 일부 업체는 미국 수출용과 국내용에 다른 성분을 썼다니 생명을 다루는 기업으로서 최소한의 도덕성마저 의심케 한다.



부작용이 있게 마련인 의약품은 이를 빨리 발견하고 조치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대로 가동되어야 한다. 선진국에서는 조금이라도 부작용이 있으면 의사와 약사와 환자가 신고하고, 관계 기관은 이를 취합 분석한 뒤 즉각 필요한 조처를 취한다. 정부는 이번 일을 계기로 의약품 부작용 모니터링 시스템을 체계화·의무화 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입력 : 2004.08.01 18:14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