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國의 金正日(김정일) 壓迫(압박), 「美國의 北爆(북폭) 막을 수 없다」
● 「美國의 攻擊(공격) 막을 수 없다」라고 警告(경고)
金正日(김정일) 總書記(총서기) 訪中時(방중시)에 江澤民(장쩌민)氏
時事通信(지지통신) 2004年7月6日 15:00
[서울 6日 時事] 北朝鮮(북조선)의 金正日(김정일) 朝鮮勞動黨(조선노동당) 總書記(총서기)가 4月에 訪中(방중)했을 때, 江澤民(장쩌민) 中央軍事委員會(중앙군사위원회) 主席(주석)이 金正日과의 會談(회담)의 席上(석상), 『北朝鮮이 만약 核物質(핵물질)을 輸出(수출)하다 發覺(발각)되어, 美國이 그것을 理由(이유)로 北朝鮮을 攻擊(공격)하려고 해도, 中國은 막을 수 없다』라고 警告(경고)하고 있었던 것이 7月6日에 밝혀졌다. 韓國의 消息通(소식통)이 分明(분명)히 했다.
北朝鮮이 6月 下旬(하순)의 第3回(제3회) 6개國 協議(협의)에서, 「核凍結(핵동결)」의 具體案(구체안)을 提起(제기)하는 등 一定(일정)한 肯定的(긍정적) 姿勢(자세)를 보였던 것도, 이러한 中國의 壓力(압력)이 效果(효과)가 있었을 可能性(가능성)이 높다.
消息通에 의하면, 江(장)氏의 發言內容(발언내용)은, 6月 初旬(초순)에 訪韓(방한)한 趙南起(조남기) 前 中國人民政治協商會議(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副主席(부주석)으로부터 韓國 政府(정부)에도 傳(전)해졌다고 한다.
http://headlines.yahoo.co.jp/hl?a=20040706-00000278-jij-int
● 장쩌민, "北, 핵수출하다 美에게 당해도 안 도와준다" 김정일에게 통보
DJ의 김정일 답방 정보공개의 문제점
업코리아 2004년7월5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지난 4월 중국을 방문했을 당시 중국측 고위 관계자에게 "적절한 시기에 남조선을 방문할 것"이라고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달 29일부터 3일까지 김대중 前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수행하고 돌아온 김한정 비서관은 "김정일 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했을 때 그를 직접 만난 중국 정부의 고위 인사로부터 들은 얘기"라면서 이같이 전했다.
김 비서관은 그러나 이 중국측 고위 인사가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매우 신뢰할 수 있는 고위급 인사"라면서도 구체적인 이름은 밝히지 않고 "김정일 위원장이 4월 방중시 만난 고위급 인사"라고만 밝혔다. 김 위원장이 지난 4월에 만난 인사와 이번에 김 前 대통령이 만난 인사 명단을 비교해 보면, 김 前 대통령에게 그 같은 이야기를 해준 중국 고위급 인사는 장쩌민(江澤民) 중국 군사위 주석임이 확실해 보인다.
그런데 지난 4월 장쩌민-김정일 회담의 핵심 메시지는 김정일의 답방 가능성 언급이 아니라, 장쩌민의 북핵 수출 가능성에 대한 경고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회담에서 장 주석은 "만약 북한이 핵 물질을 수출하다 발각되어 미국이 이것을 이유로 전쟁을 한다면 우리(중국) 입장에서는 아무 것도 도와줄 수 없다"고 통보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는 중국이 북한에게 6자회담 등에서 보다 전향적인 입장을 취하도록 하기 위한 압박조치였던 것으로 풀이된다. 장 주석이 김정일에게 그러한 통보를 했다는 사실은 지난 6월3일 방한한 조남기 前 중국 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 일행을 통해서도 확인된 것으로 알려진다.
이러한 정황으로 볼 때, 이번 김대중 前 대통령과의 만남에서도 장 주석은 이 같은 사실을 전달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김 前 대통령 측은 김정일의 답방 가능성만을 공개하였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김정일의 답방에 김 前 대통령의 집착 증세가 다시 도진 것 아닌가 하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이영섭 기자
■ 한편, 다급해진 韓國의 左翼政權(좌익정권)에서는 무슨 일이....
● 정부, 2차 남북정상회담 조기개최 타진
11월 미 대선이전..금강산.제주도 유력
연합뉴스 2004년7월6일 11:52 송고
(서울=연합뉴스) 이 유.인교준 기자 = 정부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간 제2차 남북정상회담 조기개최를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정부는 비공개 채널을 통해 북한 당국의 입장을 타진하는 단계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북측이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는 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6일 "정부는 북핵 문제의 조기 해결과 남북관계의 획기적 진전을 위해 제2차 남북정상회담을 늦어도 연내에 개최하는 방안을 추진중인 것으로 안다"며 "그 시기는 오는 11월 미 대선 이전이 될 공산이 크다"고 말했다.
이는 핵 문제가 완전한 해결은 아니어도 어느 정도 돌파구는 마련돼야 2차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한다는 정부 입장이 변화한 것이어서 남북한의 대응이 주목된다.
그는 "일각에서 제기되는 것과 같이, 러시아의 주선으로 오는 9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남북 정상의 회동을 추진중이라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정상회담 장소는 현재로서는 금강산이 유력하며 제주도가 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고 전했다.
북측이 남측의 제안을 수용할 경우 제2차 정상회담 시기는 광복절 59돌인 8월15일이나, 동해선 철도가 시범운행되는 10월이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조영길(曺永吉) 국방장관도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기에 앞서 남북간 군사긴장 완화로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통일부에서 정상회담 가능성을 향해 노력하고 있겠지요"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김대중(金大中) 전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수행하고 돌아온 김한정 비서관은 지난 4일 연합뉴스와 전화통화에서 믿을 만한 중국 정부 고위인사의 말이라면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지난 4월 중국을 방문했을 당시 적절한 시기에 남조선을 방문할 것`이라고 직접 답방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의 답방은 2000년 `6.15 공동선언`에 명기됐으나 부시 미 행정부의 출범과 9.11 테러, 한국의 대선, 제2차 북핵위기 등으로 지금까지 4년째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가 최근 남북 군사부문 회담이 본격화되고 개성공단 시범단지 준공식 개최 등 전반적인 남북관계 분위기가 좋아지면서 그의 답방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