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사설] 방송위, 사표내야할 사람은 따로 있다 에 대해서
(홍재희) ======= 친일 반민족 반민주 반 통일의 냉전 수구적인 방상훈의 세습족벌사주체제인 조선일보 사설은
" 탄핵 방송은 편파 심의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방송위원회 결정과 관련, 1차 심의를 맡았던 방송위 보도·교양 제1심의위원회 남승자(南勝子) 위원장과 이창근(李昌根) 위원이 사퇴의사를 밝혔다. 진짜 책임자들은 버티고 있는데 엉뚱한 사람들이 물러나겠다는 것이다. 방송위 심의위원들은 일주일에 한번씩 회의에 참석해 10만원 정도 되는 거마비를 받는 명예직이다. 그에 비해 위원장과 부위원장, 상임위원들은 국민의 세금으로 연봉 1억원 가까운 보수와 장·차관의 예우를 받는 공무원 신분이다. 누구에게 더 큰 책임이 있는가는 자명하다.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사설의 억지와 궤변에 대해 독자들이 식상해 하고 있다는 것을 직시해야 한다. 방씨 족벌의 조선일보가 부추기고 한나라당이 강행 처리한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시도는 대한민국의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헌법정신에 따라 변화와 개혁을 지향하고 있는 국민들이 직접 선거를 통해서 선택한 대통령을 전혀 탄핵의 사유조차 되지 않는 사유로 탄핵해 조선일보와 한나라당으로 상징되고 있는 수구정치집단들이 의회 쿠데타를 일으킨 폭거에 대해서 한국사회가 추구하는 민주주주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국민들의 참여 민주주의를 파괴하려는 수구정치집단들의 퇴행적 행태에 대해서 분노하는 국민들의 있는 그대로의 민심을 그대로 전달한 탄핵 방송을 편파 심의의 대상으로 난도질해서 한국의 민주주의와 방송민주화에 재갈을 물리려한 조선일보와 한나라당의 행태는 비판받아 마땅하다.
(홍재희) ======= 수구정치집단의 탄핵 폭거에 저항하고 있는 대다수 국민들의 뜻을 전달하는 방송자체를 가지고 편파 운운하는 것은 민주주의를 파괴해 수구정치의 도래를 꿈꾸는 파시스트 집단들의 궤변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방씨족벌 조선일보의 인식은 군사독재정권에 맞서 싸우는 민주화 투쟁을 거의 보도하지 않고 조선일보를 민주인사 탄압의 도구로 악용하며 군사독재정권의 나팔수 역학을 했던 과거 관성에서 비롯된 비민주적인 관행의 연장선상에서 제기하고 있는 문제라고 본다.
(홍재희) ======= 조선사설은
" 남 위원장은 “방송위 심의규정에는 분명히 동일 주제에 대해 연속해서 방송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심의할 수 있게 돼 있고, 그래서 지난 3월 탄핵 방송안건이 상정됐을 때 그것이 심의 대상인지 아닌지에 대한 다른 견해가 없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이야기는 심의위의 판단과 건의를 받아들여 상임위에서 언론학회에 연구용역을 의뢰키로 최종 결정한 방송위가 마지막 전체회의에서 뒤늦게 심의 대상이 안 된다고 앞서의 결정을 뒤집어버린 게 말이 안 된다는 지적과 한가지다.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남 위원장의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이번 심의건은 지극히 수구 정치적인 의도에 의해서 탄핵을 추진했던 수구정치집단들의 요구에 의해서 거론된 내용이다. 그러나 의회의 폭거를 자행한 수구정치의 폭도들이 민주사회를 파괴하려는 파괴적 현상에 대한 방송의 정당한 보도행위를 편파의 대상으로 접근하는 것 자체가 잘못된 것이다. 이러한 방송의 성격은 심의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심의 할것이 따로 있지 않은가? 국민들은 바보들이 아니다. 조선일보가 부추기고 한나라당이 강행처리한 탄핵은 국민들이 민주가치질서를 지키기 위한 일념으로 탄핵세력들인 조선일보와 한나라당을 4 . 15 총선을 통해 심판했다. 그리고 헌재에서도 기각결정을 내렸다. 그러한 한국사회의 여론흐름을 반영한 방송을 편파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심의를 의뢰한 집단들의 반민주적인 의도에 대해서 방송위가 시간을 낭비하는 것은 방송위의 만용일 뿐이다.
(홍재희) ====== 조선사설은
" 대통령과 여당 지명 케이스의 방송위원들이 똘똘 뭉쳐 ‘심의 각하(却下)’ 작전을 수행한 것은 방송이 언제든지 정권의 요구나 자의적인 판단에 의해 편파적 여론몰이를 할 수 있도록 대문을 활짝 열어놓은 꼴이다. 현 방송위 부위원장이란 사람은 지난 대선 때 현직 언론학 교수 신분으로 ‘노무현 인기의 비결’ 등의 글을 쓰는 등 맹활약을 한 후 방송위원 자리를 차지했다.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사설은 지금 누구를 비판하고 있는가? 방송위원들과 부위원장이 정치적으로 누구를 지지하고 어느 정당을 지지하는 것이 문제가 될수 없다. 사람들에게는 다 정치적 지향성이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방송위 활동을 어느정도 공정하게 하고 있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다. 조선사설식으로 접근한다면 조선일보는 방송위원들의 정파성에 대해서 비판할 자격이 없다고 본다.
(홍재희) ===== 방씨 족벌의 조선일보는 역대 군사정권과 권언 유착을 통해 독재정권의 유지에 기여해왔다. 1997년과 2002년에는 국세청을 동원해 부정선거를 획책한 한나라당의 대통령후보에 유리한 논조를 유지했었고 또 차떼기 부정부패의 몸통인 한나라당의 대통령후보에게 유리한 조선일보의 논조를 우리들은 접해왔다. 이렇듯이 불편부당성을 상실한 조선일보의 방씨족벌체제가 방송위원들의 정파성을 문제삼는 것은 전혀 설득력이 없다고 본다.
(홍재희) ====== 조선일보부터 부패한 정경유착의 퇴출 돼야할 수구정치집단의 집권을 위해 두 번의 선거에서 한국사회의 민주주의 발목을 잡은 정파적 행위를 고백하고 반성해야한다. 뿐만 아니라 수구정치집단의 의회폭거인 탄핵을 부추긴 방씨 족벌의 조선일보는 반성해야 한다. 그런 조선사설이 지금 누구의 정파성을 지적하고 있는가?
(홍재희) ======== 조선사설은
" 물론 이번에도 언론학회 보고서를 앞장서 들이받으며 이를 무효화하는 데 공을 세웠다. 그러니 임기가 끝나도 또 한 번 연임할 수도 있을 것이지만 언젠가는 학교로 돌아가 언론의 정도(正道)와 공정성을 강의할 사람이다. 그때 학교로 돌아가 어떻게 낯을 들고 학생들 앞에서 탄핵방송 사례를 들먹이며 언론의 정도와 공정성은 바로 이런 것이라고 얘기할 것인가.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민주사회에 있어서 언론의 정도와 공정성은 민주주의 가치를 지키고 발전 시켜나가는데 있다. 그런 측면에서 접근해 볼 때 한국의 참여민주주의를 파괴하려는 조선일보와 한나라당의 수구정치적인 탄핵폭거에 맞서 국민들이 탄핵세력을 여론형성을 통해 응징하고 참여민주주의를 지키는 과정을 생생하게 방송한 탄핵관련방송은 바로 한국의 민주주의 가치를 지키는 정도와 그러한 정도를 지키는 공정성을 유지하며 민주질서가치를 파괴 하려는 수구정치집단인 조선일보와 한나라당의 탄핵을 무력화 시키는데 방송의 역할은 눈부셨다. 이러한 민주가치를 지키기 위한 방송의 역할이 바로 언론의 정도인 것이다. 정도언론의 궤도에서 이탈해 탄핵을 부추긴 가운데 탈선한 조선일보와 방송은 좋은 대조를 이루고 있다. 조선일보는 이미 한국사회로부터 극복돼 가고 있다. 방상훈의 세습족벌사주체제인 조선일보는 한국사회에 대해 언론으로서의 사표를 내야한다. 그럼 한국사회는 방씨 족벌 조선일보의 사표를 기꺼이 받아들일 것이다. 조선사설 어떻게 생각하나?
[사설] 방송위, 사표내야할 사람은 따로 있다 (조선일보 2004년 7월 6일자)
탄핵 방송은 편파 심의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방송위원회 결정과 관련, 1차 심의를 맡았던 방송위 보도·교양 제1심의위원회 남승자(南勝子) 위원장과 이창근(李昌根) 위원이 사퇴의사를 밝혔다. 진짜 책임자들은 버티고 있는데 엉뚱한 사람들이 물러나겠다는 것이다. 방송위 심의위원들은 일주일에 한번씩 회의에 참석해 10만원 정도 되는 거마비를 받는 명예직이다. 그에 비해 위원장과 부위원장, 상임위원들은 국민의 세금으로 연봉 1억원 가까운 보수와 장·차관의 예우를 받는 공무원 신분이다. 누구에게 더 큰 책임이 있는가는 자명하다.
남 위원장은 “방송위 심의규정에는 분명히 동일 주제에 대해 연속해서 방송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심의할 수 있게 돼 있고, 그래서 지난 3월 탄핵 방송안건이 상정됐을 때 그것이 심의 대상인지 아닌지에 대한 다른 견해가 없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이야기는 심의위의 판단과 건의를 받아들여 상임위에서 언론학회에 연구용역을 의뢰키로 최종 결정한 방송위가 마지막 전체회의에서 뒤늦게 심의 대상이 안 된다고 앞서의 결정을 뒤집어버린 게 말이 안 된다는 지적과 한가지다.
대통령과 여당 지명 케이스의 방송위원들이 똘똘 뭉쳐 ‘심의 각하(却下)’ 작전을 수행한 것은 방송이 언제든지 정권의 요구나 자의적인 판단에 의해 편파적 여론몰이를 할 수 있도록 대문을 활짝 열어놓은 꼴이다. 현 방송위 부위원장이란 사람은 지난 대선 때 현직 언론학 교수 신분으로 ‘노무현 인기의 비결’ 등의 글을 쓰는 등 맹활약을 한 후 방송위원 자리를 차지했다.
물론 이번에도 언론학회 보고서를 앞장서 들이받으며 이를 무효화하는 데 공을 세웠다. 그러니 임기가 끝나도 또 한 번 연임할 수도 있을 것이지만 언젠가는 학교로 돌아가 언론의 정도(正道)와 공정성을 강의할 사람이다. 그때 학교로 돌아가 어떻게 낯을 들고 학생들 앞에서 탄핵방송 사례를 들먹이며 언론의 정도와 공정성은 바로 이런 것이라고 얘기할 것인가.
입력 : 2004.07.05 18:15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