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사설] 방송위, 이럴 바엔 문 닫아라 에 대해서
(홍재희) ======= 친일 반민족 반민주 반 통일의 냉전 수구적인 방상훈 세습족벌사주체제인 조선일보 사설은
" 방송위원회가 대통령 탄핵 관련 방송의 편파성 여부에 대해 “심의 대상이 아니다”라고 각하(却下) 결정을 내린 것은 스스로의 존재 이유를 부정한 것이다. 엊그제 방송위 전체회의에서 한 방송위원은 “방송 3사의 종사자 수천명이 동원돼 제작한 것을 공정했다 불공정했다 한마디로 하는 것은 폭거요 언어도단”이라며 “(편파 여부 판단은) 방송사와 방송 종사자들에게 맡겨야 한다”고까지 말했다니, 정말 그렇다면 그는 왜 방송위원 자리를 반납하지 않고 있는가.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방송위원회가 대통령 탄핵 관련 방송의 편파성 여부에 대해 “심의 대상이 아니다”라고 각하(却下) 결정을 내린 것은 당연한 것이다. 냉전 수구정치집단인 조선일보 의 사설은 그러한 결정에 대해서 승복하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 방송위원회가 대통령 탄핵 관련 방송의 편파성 여부에 대해 심의 대상으로 삼은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시대적 변화를 대변하지 못하고 변화하고 있는 방송계 현실을 담아 내지 못하는 방송위원회도 이제 뜯어 고쳐야 한다. 그래야 방송위원회가 신문의 내의를 걸치고 언론의 외피를 두른 수구정치집단인 조선일보의 조롱거리 대상으로 전락 당하지 않을 것이다.
(홍재희) ======= 조선사설은
" 탄핵 방송이 포괄적이어서 심의대상이 안 된다는 것은 그동안 방송위 내에서는 물론, 지난달 30일 있었던 방송사 관계자들의 의견 진술에서조차 나온 적이 없는 주장이다. 석 달이 넘도록 회의를 열고, 학회에 연구 의뢰를 하는 것으로 세월을 보내다가 마지막 전체회의에서 정작 편파 방송 문제는 한마디도 논의하지 못하고 심의 대상이 되느냐 안 되느냐만 갖고 이틀을 또 허송세월한 것이다. 미리 짜맞추기라도 한 듯 “심의 대상이 아니다”라고 주장하고 나선 사람들이 주로 대통령·여당 지명 케이스로 임명된 사람들인 걸 보면 짚이는 바 없는 게 아니다.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사설의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 방송은 그 사회의 여론의 흐름을 원활하게 물흐르듯 그리고 자연스럽게 전달하는 언론매체이다. 그런 측면에서 접근해 볼 때 탄핵방송은 흠잡을 데 없는 민심의 살아있는 반영을 충실히 했을 뿐이다. 방씨 족벌의 조선일보가 부추기고 한나라당이 강행 처리한 탄핵을 국민들이 규탄하고 총선을 통해 표로써 조선일보와 한나라당으로 상징되고 있는 수구정치집단들의 의회폭거 행위인 탄핵을 응징해 한나라당을 원내 제1당의 위치에서 끌어내리는 민심의 정치적 심판을 보여줬다.
(홍재희) ====== 또 헌법 재판소의 탄핵기각결정을 통해 조선일보가 부추기고 한나라당이 강행 처리한 탄핵의 부당성이 사법적으로 최종결정 되는등 국민들의 민심과 법적 결정 그리고 총선민심의 정치적 심판을 통해 탄핵의 부당성을 국민들이 보여준 것은 탄핵방송의 타당성을 객관적으로 담보해주고도 남는다고 본다. 이러한 것을 조선일보는 지금 부정하고 있다. 조선일보는 지금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어리석은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홍재희) ======= 조선사설은
" 특히 이날 회의에 참석한 9명의 방송위원 중 5명은 “편파 심의에는 전문가들의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며 언론학회 연구 용역 의뢰를 결정했던 방송위 상임위원회 멤버들이다. 그럼 그때는 심의 대상이 되나 안 되나도 알아보지 않고 수천만원 드는 연구 용역을 결정했다는 말인가. 아니면 그때는 편파 방송에 대한 여론이 너무 악화돼 언론학회에 연구를 의뢰하는 것으로 급한 불은 꺼놓고, 이제는 심의 대상이 되느니 안 되느니 하는 걸로 덮어버리겠다는 심사라고 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돌이켜보면 언론학회 보고서가 나온 직후 상임위 멤버인 방송위 부위원장이란 사람이 앞장서서 들이받고 나올 때부터 벌써 이상한 길로 들어섰던 셈이다.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사설은 "편파 방송에 대한 여론이 너무 악화돼" 있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이러한 조선사설의 주장은 새빨간 거짓말이다. 지금까지 조선일보가 부추기고 한나라당이 강행 처리한 탄핵에 대한 전 국민적인 분노가 전국을 들썩이게 했는데 그러한 상황을 있는 그대로 전달한 방송매체에 대해서 언제 편파 방송에 대한 여론이 악화됐었다고 거짓말을 하고 있는가? 신문의 내의를 입고 언론의 외피를 걸친 수구정치집단인 조선일보의 구미에 맞지 않으면 모두가 편파인가? 조선사설은 전혀 설득력 없는 주장을 하고 있다. 애초에 심의대상도 되지 않은 탄핵방송을 수구 정치적 공세의 도구로 악용하기 의해 방송위에 의뢰한 수구정치집단들이 문제가 있는것이다.
(홍재희) ======= 조선사설은
" 방송위는 170여명의 직원에 연간 153억원의 예산을 쓰고 있다. 위원장은 연봉 1억원, 부위원장과 상임위원은 9000만원 가까이씩으로 각각 장관 및 차관과 똑같은 보수를 주고 기사 딸린 차량에 비서까지 붙여줘 예우를 하고 있다. 그들에게 이런 대우를 하는 것은 돈이 남아돌아서가 아니라 방송의 잘못과 횡포를 감시하라는 것이다. 이런 방송위 부위원장과 방송위원 자리를 선거 때 총대를 메고 물불을 가리지 않았던 사람들에게 먹이 던져주듯 하고, 일단 먹이를 얻어먹은 위원들은 은혜에 보답하려고 자기가 속했던 학회에 돌팔매질도 마다하지 않을 정도로 알아서 기는 것이라면 차라리 문을 닫는 게 옳은 일이다. "
(홍재희) ======= 라고 주장하고 있다. 방상훈 세습족벌사주체제인 조선일보가 무슨 권리로 방송위의 문을 열어라 닫어라 하는가 ? 조선일보는 방송위에 대한 간섭을 하기에 앞서 친일 반민족 반민주 반 통일의 냉전 수구적인 방상훈 세습족벌사주체제의 고착화된 언론권력으로부터 먼저 독립해 정도언론의 모습을 찾아야 하다. 지금 조선일보의 정체성은 KBS나 MBC와 같이 한국사회의 여론의 흐름을 바르게 전달하는 언론매체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방씨 족벌사주체제의 충실한 나팔수 노릇에 열중하고 있다.
(홍재희) ===== 이러한 조선일보가 KBS나 MBC의 방송에 대해 편파의 딱지를 난폭하게 붙이며 방송위원회가 방씨 수구족벌체제의 구미에 맞는 결정을 하지 않았다고 해서 문 닫으라고 강요하는 것은 한마디로 예기해서 월권행위이다. 그러나 조선사설의 비판과 다른 관점에서 접근해볼 때 앞으로 방송위의 인적구성방법을 발전적으로 뜯어고쳐 과감하게 개선해야 한다. 지금까지 방송위원들을 특정정파에 의해 추천하는 제도의 폐지를 발전적으로 고려해 보아야 할 때가 됐다고 본다.
(홍재희) ====== 그리고 날로 변화하고 있는 방송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방송위원회의 새로운 위상정립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런 측면에서 접근해 볼 때 오늘자 조선사설이 주장하고 있는 " 방송위, 이럴 바엔 문 닫아라" 가 아니라 방송위의 개선이 필요하고 정작 문을 닫아야 할 집단은 온갖 편파 왜곡 보도와 사회적 공론이 아닌 사회적 갈등을 확대재생산하고 있는 논조의 일상화 속에 빠져있는 구제불능의 방상훈 세습족벌사주체제인 조선일보가 아닐까? 방씨족벌의 조선일보는 내일당장 조선일보의 문을 닫을 의향은 없는가? 필자의 이러한 요구에 대해서 조선일보는 어떻게 생각하나? 대답할수 있나?
[사설] 방송위, 이럴 바엔 문 닫아라 (조선일보 2004년 7월3일자)
방송위원회가 대통령 탄핵 관련 방송의 편파성 여부에 대해 “심의 대상이 아니다”라고 각하(却下) 결정을 내린 것은 스스로의 존재 이유를 부정한 것이다. 엊그제 방송위 전체회의에서 한 방송위원은 “방송 3사의 종사자 수천명이 동원돼 제작한 것을 공정했다 불공정했다 한마디로 하는 것은 폭거요 언어도단”이라며 “(편파 여부 판단은) 방송사와 방송 종사자들에게 맡겨야 한다”고까지 말했다니, 정말 그렇다면 그는 왜 방송위원 자리를 반납하지 않고 있는가.
탄핵 방송이 포괄적이어서 심의대상이 안 된다는 것은 그동안 방송위 내에서는 물론, 지난달 30일 있었던 방송사 관계자들의 의견 진술에서조차 나온 적이 없는 주장이다. 석 달이 넘도록 회의를 열고, 학회에 연구 의뢰를 하는 것으로 세월을 보내다가 마지막 전체회의에서 정작 편파 방송 문제는 한마디도 논의하지 못하고 심의 대상이 되느냐 안 되느냐만 갖고 이틀을 또 허송세월한 것이다. 미리 짜맞추기라도 한 듯 “심의 대상이 아니다”라고 주장하고 나선 사람들이 주로 대통령·여당 지명 케이스로 임명된 사람들인 걸 보면 짚이는 바 없는 게 아니다.
특히 이날 회의에 참석한 9명의 방송위원 중 5명은 “편파 심의에는 전문가들의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며 언론학회 연구 용역 의뢰를 결정했던 방송위 상임위원회 멤버들이다. 그럼 그때는 심의 대상이 되나 안 되나도 알아보지 않고 수천만원 드는 연구 용역을 결정했다는 말인가. 아니면 그때는 편파 방송에 대한 여론이 너무 악화돼 언론학회에 연구를 의뢰하는 것으로 급한 불은 꺼놓고, 이제는 심의 대상이 되느니 안 되느니 하는 걸로 덮어버리겠다는 심사라고 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돌이켜보면 언론학회 보고서가 나온 직후 상임위 멤버인 방송위 부위원장이란 사람이 앞장서서 들이받고 나올 때부터 벌써 이상한 길로 들어섰던 셈이다.
방송위는 170여명의 직원에 연간 153억원의 예산을 쓰고 있다. 위원장은 연봉 1억원, 부위원장과 상임위원은 9000만원 가까이씩으로 각각 장관 및 차관과 똑같은 보수를 주고 기사 딸린 차량에 비서까지 붙여줘 예우를 하고 있다. 그들에게 이런 대우를 하는 것은 돈이 남아돌아서가 아니라 방송의 잘못과 횡포를 감시하라는 것이다. 이런 방송위 부위원장과 방송위원 자리를 선거 때 총대를 메고 물불을 가리지 않았던 사람들에게 먹이 던져주듯 하고, 일단 먹이를 얻어먹은 위원들은 은혜에 보답하려고 자기가 속했던 학회에 돌팔매질도 마다하지 않을 정도로 알아서 기는 것이라면 차라리 문을 닫는 게 옳은 일이다.
입력 : 2004.07.02 17:5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