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피지기 백전불태! 친중(親中), 반중(反中)을 넘어 극중(克中)을 위한 지식충전소! 진짜 중국을 만나러 갑니다!
사극이나 중국 드라마를 보면, 주인공 옆에 따라다니는 사람이 있습니다. 주인공은 뭔가 염탐하거나 조사할 일이 있으면, 늘 그에게 "~을 알아보라"거나 "OOO을 조사하라"고 명령합니다. 그러면 그는 어딘가로 가서 내용을 소상히 알아서 주인공에게 고합니다.
이런 이들을 흔히 심복, 조직 용어로는 참모라고 합니다. 참모도 하는 일과 특기에 따라 각각의 역할이 나뉩니다. [장원]에서는 장수는 세 종류의 참모를 반드시 두어야 한다고 충고합니다. 복심(腹心)·이목(耳目)·조아(爪牙)입니다. 그들이 어떤 일을 해야 하고, 왜 필요한지, 그리고 어떤 사람이 그 역할을 맡아야 하는지에 대해선 아래와 같이 설명합니다.
1. 인재를 심복으로 두라
장수는 반드시 자신을 잘 아는 복심(腹心), 자신의 눈과 귀를 대신해줄 이목(耳目), 수족과 어금니처럼 부릴 수 있는 조아(爪牙)의 역할을 하는 참모들의 보필을 받아야 한다.
복심이 없으면 칠흑같이 어두운 밤에 길을 가면서 어떻게 해야 안전하게 걸어갈 수 있는지 알 수 없는 것과 같다. 이목이 없으면 암흑 속에 살며, 주변 상황이 어떠한지를 전혀 모르는 것과 같다. 조아가 없으면 굶주린 자가 독이 든 음식을 먹고 예외 없이 죽는 것과 같다.
복심은 반드시 박학하고 재주가 뛰어난 자여야 하며, 이목은 깊이 생각하고 신중하며 입이 무거운 자여야 하고, 조아는 용맹하고 싸움에 능한 자여야 한다.
장수는 반드시 자신을 잘 아는 복심(腹心), 자신의 눈과 귀를 대신해줄 이목(耳目), 수족과 어금니처럼 부릴 수 있는 조아(爪牙)의 역할을 하는 참모들의 보필을 받아야 한다.
복심이 없으면 칠흑같이 어두운 밤에 길을 가면서 어떻게 해야 안전하게 걸어갈 수 있는지 알 수 없는 것과 같다. 이목이 없으면 암흑 속에 살며, 주변 상황이 어떠한지를 전혀 모르는 것과 같다. 조아가 없으면 굶주린 자가 독이 든 음식을 먹고 예외 없이 죽는 것과 같다.
복심은 반드시 박학하고 재주가 뛰어난 자여야 하며, 이목은 깊이 생각하고 신중하며 입이 무거운 자여야 하고, 조아는 용맹하고 싸움에 능한 자여야 한다.
참모의 역할로 나눈 복심·이목·조아 같은 용어는 중국 고대 병법서에선 두루 쓰이는 개념입니다. 이 용어는 아마도 태공망의 [육도]가 출처일 듯합니다. [육도]에서는 군대의 참모체계를 정교하게 나열하고 있는데, 그중에서 제갈량은 반드시 필요한 참모로 이 셋을 꼽았습니다.
여기서 잠시 [육도]에 제시된 고대 군대의 참모체계를 살펴보겠습니다. 물론 현대 조직과 고대 조직은 다르다는 점에서 지금도 유용한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옛것을 보다 보면 새로운 영감을 얻는 경우도 있습니다. [육도] '용도'편에 나온 내용입니다.
2. 장수는 팔다리·날개와 같은 보좌진 72명을 두어야 한다.
복심(腹心) 1명 : 은밀히 돌발상황에 대비, 병사 목숨 보전 등을 위한 다양한 계책 마련
모사(謀士) 5명 : 부대 안위 도모, 미연에 형세 변화 고려, 병사 품행과 능력 분석, 상벌 명확히 하고 재능에 따라 관직 내리고, 의혹에 대해 결단
천문(天文) 3명 : 천상과 역법 관장, 바람과 기후 관측, 일진 헤아리고, 천의와 인사 부합 여부 살피고, 군심 향배와 원인 확인
지리(地利) 3명 : 군대의 행군과 숙영하는 곳의 지형과 지세 살피고, 전장의 지형이 미치는 영향 및 양측의 강약 변화 분석, 전지와의 거리 및 험이 살피고, 지리적 이점 놓치지 않도록 면밀히 대비토록 하는 일
병법(兵法) 9명 : 각종 병서에 나오는 병법의 차이 토론, 역대 전사 승패의 교훈 찾아내고, 병기 선택해 훈련하고, 군율 위반자 검거
통량(通糧) 4명 : 군량 및 군수물자 수급 상황 헤아리고, 군수 및 양식 확보 비축, 군량 조달
분위(奮威) 4명 : 무예가 뛰어난 자를 선발, 뛰어난 장비의 선택과 배급 논의, 바람처럼 내달리며 벽력같이 움직여 어디서 출현하는지조차 모르게 하는 일 도맡아야
복기고(伏旗鼓) 3명 : 군기와 전고를 관장. 군령이 병사의 귀와 눈에 정확히 전달토록 하고, 적을 속이기 위해 가짜 부절과 인장을 만들고, 가짜 호령을 발하고, 은밀히 오가는 등 신출귀몰한 행보를 보여야
고굉(股肱) 4명 : 무거운 책무를 도맡아 위기 국면 타개를 주도하고 보루와 해자 수축해 방어에 만전을 기하는 일
통재(通材) 3명 : 장수의 대우에 소홀한 것이 있거나 과실이 있을 때 이를 보완하고, 사자를 접대하고, 교섭과 담판을 주도하고, 재앙을 없애고 맺힌 것을 푸는 일
권사(勸士) 3명 : 임기응변의 기책과 계획 주도, 특이한 작전으로 적이 짐작 못 하도록 하는 무궁무진한 전법 구사
이목(耳目) 7명 : 사방으로 분주히 다니며 여러 소식을 탐문하거나 수집하고 형세 변화를 분석하고, 사방의 사건과 정보 모으고, 군중에서 빚어지는 사건 등 사안의 배경과 정황까지 정확하게 파악
조아(爪牙) 5명 : 무위를 사방에서 떨치고, 3군을 격려하고, 어떤 어려움도 무릅쓰고, 강적과 맞서 싸우는 것을 조금도 꺼리지 않도록 한다.
우익(羽翼) 4명 : 아군을 적극 선양하며, 위명을 널리 떨치게 하고, 사방을 뒤흔들어 적의 투지를 약화시키도록 하는 일
유사(游士) 8명 : 적의 첩자 찾아내고, 적정의 변화 예측, 군심 동향 살피고, 적의 속셈 알아내는 간첩활동 주관
술사(術士) 2명 : 괴이한 일을 꾸며 이를 귀신의 소행으로 가장하면서 적의 군심 뒤흔들도록
방사(方士) 2명 : 치료 약 개발해 병사 상처 치료, 질병 고치는 일 주관
법산(法算) 2명 : 전국이 필요로 하는 영채와 보루 및 군량 등과 관련한 재정 현황 계산해 작전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
복심(腹心) 1명 : 은밀히 돌발상황에 대비, 병사 목숨 보전 등을 위한 다양한 계책 마련
모사(謀士) 5명 : 부대 안위 도모, 미연에 형세 변화 고려, 병사 품행과 능력 분석, 상벌 명확히 하고 재능에 따라 관직 내리고, 의혹에 대해 결단
천문(天文) 3명 : 천상과 역법 관장, 바람과 기후 관측, 일진 헤아리고, 천의와 인사 부합 여부 살피고, 군심 향배와 원인 확인
지리(地利) 3명 : 군대의 행군과 숙영하는 곳의 지형과 지세 살피고, 전장의 지형이 미치는 영향 및 양측의 강약 변화 분석, 전지와의 거리 및 험이 살피고, 지리적 이점 놓치지 않도록 면밀히 대비토록 하는 일
병법(兵法) 9명 : 각종 병서에 나오는 병법의 차이 토론, 역대 전사 승패의 교훈 찾아내고, 병기 선택해 훈련하고, 군율 위반자 검거
통량(通糧) 4명 : 군량 및 군수물자 수급 상황 헤아리고, 군수 및 양식 확보 비축, 군량 조달
분위(奮威) 4명 : 무예가 뛰어난 자를 선발, 뛰어난 장비의 선택과 배급 논의, 바람처럼 내달리며 벽력같이 움직여 어디서 출현하는지조차 모르게 하는 일 도맡아야
복기고(伏旗鼓) 3명 : 군기와 전고를 관장. 군령이 병사의 귀와 눈에 정확히 전달토록 하고, 적을 속이기 위해 가짜 부절과 인장을 만들고, 가짜 호령을 발하고, 은밀히 오가는 등 신출귀몰한 행보를 보여야
고굉(股肱) 4명 : 무거운 책무를 도맡아 위기 국면 타개를 주도하고 보루와 해자 수축해 방어에 만전을 기하는 일
통재(通材) 3명 : 장수의 대우에 소홀한 것이 있거나 과실이 있을 때 이를 보완하고, 사자를 접대하고, 교섭과 담판을 주도하고, 재앙을 없애고 맺힌 것을 푸는 일
권사(勸士) 3명 : 임기응변의 기책과 계획 주도, 특이한 작전으로 적이 짐작 못 하도록 하는 무궁무진한 전법 구사
이목(耳目) 7명 : 사방으로 분주히 다니며 여러 소식을 탐문하거나 수집하고 형세 변화를 분석하고, 사방의 사건과 정보 모으고, 군중에서 빚어지는 사건 등 사안의 배경과 정황까지 정확하게 파악
조아(爪牙) 5명 : 무위를 사방에서 떨치고, 3군을 격려하고, 어떤 어려움도 무릅쓰고, 강적과 맞서 싸우는 것을 조금도 꺼리지 않도록 한다.
우익(羽翼) 4명 : 아군을 적극 선양하며, 위명을 널리 떨치게 하고, 사방을 뒤흔들어 적의 투지를 약화시키도록 하는 일
유사(游士) 8명 : 적의 첩자 찾아내고, 적정의 변화 예측, 군심 동향 살피고, 적의 속셈 알아내는 간첩활동 주관
술사(術士) 2명 : 괴이한 일을 꾸며 이를 귀신의 소행으로 가장하면서 적의 군심 뒤흔들도록
방사(方士) 2명 : 치료 약 개발해 병사 상처 치료, 질병 고치는 일 주관
법산(法算) 2명 : 전국이 필요로 하는 영채와 보루 및 군량 등과 관련한 재정 현황 계산해 작전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