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9일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 1차 회의
민주당 비명계 대선 주자들이 민주당의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의 경선 규칙 논의 과정에 대해 앞다퉈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김동연 경기지사 경선 캠프 대리인인 고영인 전 민주당 의원은 오늘(11일) 예정에 없던 기자회견을 열고 "대선특별당규준비위의 논의가 심각히 우려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국민선거인단을 없애는 방향이라는 여러 제보가 들어오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시간이 촉박할수록 원칙과 상식을 지키는 게 국민과 당원의 마음을 모으는 길"이라며 "기존 당규대로 하면 된다"고 전했습니다.
김 지사 측은 과거 19대 대선과 20대 대선 경선서 활용했던 규칙을 그대로 활용할 것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당시 두 차례 대선은 이른바 '국민경선'으로 대의원과 권리당원은 선거인단에 자동으로 포함하고 일반 국민 중 참여 의사를 밝힌 사람에게도 투표권을 부여합니다.
권리당원이나 일반 국민 모두 1인 1표 개념입니다.
김 지사 측은 대선특별당규준비위가 국민경선이 아닌 권리당원 50% 이하, 권리당원이 아닌 일반 시민 등 유권자 50% 이상을 경선에 참여시키는 국민참여경선을 선택하려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고 전 의원은 "지금이라도 우리가 요구해온 후보 측 대리인 논의 테이블을 만들어 달라"며 역선택을 우려해 과거부터 채택했던 국민경선 규칙을 배제한다는 것에 대해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김두관 전 의원 측도 어제 완전개방형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주장했습니다.
김 전 의원 경선 캠프 백왕순 대변인은 입장문을 내고 "18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주민등록증을 갖고 현장에 참여해 투표하는 방식"이라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백 대변인은 "후보가 지정한 책임자 간의 합의 과정 없이 당이 일방적으로 경선 룰을 정하면 민주적 절차와 과정이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