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특별재난지역 사실상 확정에 경주시민 대체로 '환영'

재난 이미지로 관광객 감소 우려 목소리도

특별재난지역 사실상 확정에 경주시민 대체로 '환영'
▲ 경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

지진 피해가 난 경북 경주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사실상 확정되자 경주시민은 대체로 환영했다.

최양식 경주시장은 "정부 결단에 감사하고 다행으로 생각한다"며 "국가적인 지원을 하는 만큼 더 체계적이고 신속하게 복구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시민 유종욱(55)씨는 "정부가 문화재 구역에 한옥만 지으라고 해 놓고 막상 지진으로 상당수 한옥이 피해를 봤는데도 지원하지 않는 것은 문제다"며 "특별재난지역 선포는 당연한 일이고 일반 국민의 크고 작은 피해도 정밀하게 조사해 적정하게 지원하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

내남면 용장1리 이용걸(56) 이장은 "아무래도 특별재난지역이 되면 앞으로 피해를 복구하는 데 좀 더 나아지지 않겠느냐"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황남동 주민 남모(56)씨는 "지진으로 집에 기와가 많이 떨어졌는데 정부가 복구하는데 도움을 주지 않겠느냐"며 "어떻게 복구해야 할지 걱정했는데 부담을 한결 덜었다"고 말했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면 피해 복구비에 국비를 추가로 지원해 지자체 부담이 줄어든다.

피해액이 30억원 이상인 재난지역 복구비의 국비와 지방비 부담률은 공공시설은 5대 5, 사유시설은 7대 3이다.

그러나 특별재난지역에는 지방비로 부담하는 금액의 50∼80%를 국비로 추가 지원한다.

피해 주민에게도 국세·지방세와 건강보험료·연금보험료, 통신요금, 전기요금, 도시가스요금 등 경감 또는 납부유예와 같은 혜택을 준다.

농어업인 영농·영어·시설·운전 자금과 중소기업 시설·운전 자금 우선 융자, 상환 유예, 상환 기한 연기 등 지원도 한다.

그러나 일부 시민은 혹시 재난지역이란 이미지 때문에 관광객이 줄어들지 않을까 우려한다.

황성동 주민 박정호(36)씨는 "복구에 큰 도움은 되겠지만 관광객이 줄지 않을까 걱정이다"며 "지금은 그래도 관광객이 20∼30% 줄어든 느낌이지만 재난지역이라고 하면 더 감소할지 모르겠다"고 걱정했다.

김모씨는 "주민으로 봐서는 전기요금 등 공과금이 좀 줄겠지만 그래 봐야 푼돈에 불과하다"며 "오히려 부분 파손된 한옥 등도 지원 대상에 포함해야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