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아몰랑'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논리 없는 주장, 얼렁뚱땅 넘어가려는 태도 등을 뜻하는데, 인터넷에서 장난처럼 시작된 이 말이 요즘 세태를 풍자하는 유행어가 됐습니다.
류란 기자입니다.
<기자>
한 여성이 SNS에 올린 글에서 시작됐다고 알려진 '아몰랑'이라는 말은 이렇다 할 논리 없이 주장해 놓고선 정확한 설명을 요구하자 얼렁뚱땅 넘어가려 하는 모습을 뜻합니다.
몇 달 전부터 '아몰랑'이 유행어로 퍼지면서 각종 패러디 물이 쏟아졌고 광고에도 등장했습니다.
아몰랑의 어투가 여성적이다 보니 일부에서는 여성 비하적 의미로 악용하기도 했습니다.
[김손경미/여성미래센터 활동가 : 여성의 능력을 평가절하하는 편견을 조장하고 무의식중에 그걸 침투시키는 거죠.]
이렇게 사용되던 유행어 '아몰랑'에 불을 붙인 건 온 나라를 뒤흔든 메르스 사태였습니다.
[(다음중 콘트롤타워는 어떤 겁니까?) 아 몰라. (아 몰라? 아몰랑으로 일관하는 정부가 답답하다?)]
제대로 된 설명이나 문책 없이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을 보인 정부의 초기 대응을 꼬집는 데 '아몰랑'이 딱 맞아떨어진 겁니다.
[계속 사망자가 발생하니까.]
[많이 불안해서 되도록이면 밖에 안 나가요.]
주로 세태를 풍자하는 데 사용되고 있지만, 우리 사회 전체의 분위기를 반영한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김선욱/숭실대 철학과 교수 : 서로 더 알지 않겠다고 하는 적극적인 의미로서 관계의 거절을 포함하는 (표현이고요. 따라서) 그 대화가 굉장히 피상적인 수준에 머무르게 됩니다. 각자가 제 할 일을 책임져야 한다는 각자도생, 사회적인 연대가 깨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유행어 하나에 비판이나 저항 정신까지 읽어내는 건 무리겠지만, 국가 재난에 버금가는 위기 상황에서 누군가 팔 걷어붙이고 책임지는 모습을 보고 싶다는 열망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
이 기사 중에 사용된 일부 인터뷰 내용이 당사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사용돼 해당 인터뷰를 삭제하고 동영상 다시보기를 중지했음을 알려드립니다.
해당 인터뷰는 메르스 사태와 관련해 처음에 제대로 된 정보가 공유되지 않아 제대로 된 정보가 나온 뒤에도 정부의 발표나 의료진의 이야기를 못 믿는 풍조가 생겼으며 이렇게 된 데에는 언론도 책임이 있다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취재기자는 이 인터뷰 내용을 부분 인용해서 "정부의 발표나 어떤 기관 또는 의사 선생님 말씀을 못 믿겠다"라고 방송해 인터뷰한 시민의 의도와는 다른 뜻으로 사용됐습니다.
SBS 취재진은 인터뷰에 응해주신 시민 분을 직접 만나 정중한 사과의 뜻을 전했습니다.
앞으로 이와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각별히 노력하겠습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