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불이 난 건물에 근무한 간호사는 1명뿐이었습니다. 신속한 대피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었는데 방화문 같은 안전시설도 부족했습니다. 
  
 
  
 KBC 박성호 기자입니다. 
  
 
  
 <기자> 
  
 
  
 화재가 난 장성 요양병원 별관 건물에는 모두 35명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불이 난 뒤 대피를 한 사람은 7명뿐이었습니다. 
  
 
  
 불은 별관의 한 병실에서 시작됐지만 침구류 등을 태우면서 유독가스는 삽시간에 별관 전체로 퍼져나갔습니다. 
  
 
  
 별관 건물은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화문 등이 따로 설치돼 있지 않았습니다. 
  
 
  
 [이민호/전남 담양소방서장 : 여기 안에 있는 침구라든가 그런 것에서 가연성 유독가스가 많이 나왔습니다. (건물 안에 방화 셔터 같은 건 있어요?) 이 건물 규모로는 방화 셔터 설치 대상이 안 됩니다.] 
  
 
  
 더구나 화재 당시 불이 난 별관 건물 안에는 병원 관계자가 간호사 단 한 명밖에 없었습니다. 
  
 
  
 환자 대부분이 거동이 힘든 노약자인 데다가 자고 있는 상태였지만, 근무자는 간호사 한 명에 불과하다 보니 사실상 대처가 거의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실제로 근무를 하던 간호사는 자고 있던 환자들을 깨우러 다니다 연기를 마시고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숨졌습니다. 
  
 
  
 [병동 탈출 환자 : 연기가 다 차가지고 들어가지도 못하고 계속 플래시만 비추면서 나와 나와 일단 나와 그것만 해주고 있었죠.] 
  
 
  
 화재 방지 시설도 따로 없고, 도와줄 사람도 없었던 장성 요양병원 화재, 또다시 수많은 사람이 소중한 생명을 잃게 됐습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